그림으로 설명하는 지식 제로에서 시작하는축산 입문 page14~15
2 인간은 왜 고기를 먹을까?
생명유지에 필요한 단백질과 지질
우리가 평소에 먹는 고기는 주로 동물이 활동하기 위해 쓰는 골격근입니다. 골격근에는 단백질, 지질,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과 지질은 3대 영양소로 꼽히며 인간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입니다. 가축의 종류와 고기의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단백질 20%, 지질 10~18%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함유한
인체의 몸은 약 10만 가지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단백질은 근육과 내장, 혈액, 뼈 등을 구성하는 세포의 성분이 되는 것 외에도 뇌를 작동시키고 혈액에 의해 영양분을 전신에 운반하는 것을 돕습니다.
이러한 단백질의 작용으로 우리의 건강이 유지됩니다.
단백질이 부족하면 활력이 떨어지고 쉽게 피곤해지거나 성장이 저해됩니다.
식품으로서의 단백질에는 인간이 이용하기 쉬운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으며, 아미노산의 균형이 결정적입니다.
단백질은 보통 20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인간의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9가지를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합니다.
이는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하며, 필수 아미노산이 종류에서도 부족하면 건강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고기 등의 동물성 단백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균형 있게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곡물과 채소, 과일 등의 식물성 단백질은 포함된 필수 아미노산의 균형이 불균형합니다.
인체 내 흡수율은 식물성 단백질이 84%인 것에 비해 동물성 단백질은 97%로 높아 인간은 고기를 식량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미네랄도 풍부하다
육류에 함유된 지질의 대부분은 중성지방이다.
지방은 체내에서 지방산과 글리세린(글리세롤)으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지방은 당질이나 단백질에 비해 2배 이상의 에너지를 생산한다. 에너지로 사용되지 않은 지방은 간이나 지방세포에 축적되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지질은 세포막을 만드는 주요 성분이며, 지질, 뇌와 신경의 세포막, 혈관 내막을 만드는 영양소로서도 중요하다.
비타민과 미네랄 역시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소다.
육류에는 비타민 B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돼지고기에는비타민 B1이 풍부해 피로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간에는 비타민 B2, B12가 풍부하고 철, 아연, 구리, 망간 등의 미네랄도 함유되어 있다.
용어
3대 영양소
몸을 구성하는 근원이 되거나 에너지원이 되는 주요 영양소.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이 이에 해당한다.
필수아미노산
인체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약 20종의 아미노산 중 체내에서 생성할 수 없어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9종의 아미노산을 말한다.
특히 유아의 경우 성장을 위해 10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필요하다.
고기를 먹으면 고기에 포함된 단백질은 먼저 위장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장에서 흡수된다.
그것이 혈액을 통해 전신의 세포로 운반되어 각 기관에서 필요한 단백질로 재합성된다.
중성지방
지방산과 글리세린이 결합된 단순지질로 90%가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내에서는 간 등에 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