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스필드 푸즈(Smithfield Foods): 회사 연혁 타임라인
Smithfield Foods company history timeline
📍 1936년: 스미스필드 푸즈의 탄생
식민지 시대부터 **버지니아주 스미스필드(Smithfield)**라는 작은 도시는 고급 햄의 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오늘날까지도 버지니아 법에 따르면, 햄이 ‘진정한 스미스필드 햄(genuine Smithfield)’으로 판매되기 위해서는 해당 도시 경계 안에서 6개월간 숙성되어야 한다.
그 시절, 가족이 운영하던 햄 제조업체 Gwaltney Packing은 **루터 가족(조지프 W. 루터의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일터였다.
1936년, 루터 부자는 자신들만의 햄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심했고, 지역 투자자들로부터 1만 달러를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Gwaltney 공장 건너편에 새로운 회사를 열었으며, 이 작은 사기업은 점차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하게 된다.
🏢 스미스필드 푸즈의 설립과 성장
1936년, 조지프 W. 루터 시니어와 그의 아들 조지프 W. 루터 주니어는 버지니아 스미스필드에 **스미스필드 패킹 컴퍼니(Smithfield Packing Company)**를 설립했다.
당시 이들은 **육류 가공업체 P. D. Gwaltney, Jr. & Co.**에서 근무하고 있었고,
조지프 W. 루터 시니어는 영업 사원, 주니어는 총괄 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었다.
회사의 초기 자금은 서폭(Suffolk) 출신의 **피터 프루덴(Peter Pruden)**과 리치먼드(Richmond) 출신의 **존 S. 마틴(John S. Martin)**으로부터 조달되었다.
2009년 한 인터뷰에서, 조지프 W. 루터 3세는 회사를 이렇게 회상했다:
루터 부자는 하루에 돼지 지육 15구를 구매하여 직접 손질하고 박스에 포장, 이를 **뉴포트 뉴스(Newport News)**와 **노퍽(Norfolk)**의 소규모 상점들에 판매했다고 한다.
🛠️ 주요 생산 시설 건설
1946년, 그들은 하이웨이 10번 도로변에 스미스필드 패킹 공장을 건설했고,
1959년까지 직원 수는 650명에 이를 정도로 기업은 빠르게 성장하였다.
📈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스미스필드는 현재 미국 전역에 약 50개의 시설을 운영하며,
40,000명 이상의 미국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대규모 식품 기업으로 성장했다.
2013년, 이 회사는 중국의 **WH 그룹(구 슈앙후이 인터내셔널 홀딩스)**에 47억 달러에 인수되었다.
부채를 포함한 총 거래 가치는 71억 달러로, 이는 당시 중국 기업이 미국 기업을 인수한 사례 중 최대 규모였다.
WH 그룹은 1년 후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고,
2017년에는 캘리포니아 최대 돼지고기 가공업체인 Clougherty Packing을 인수하면서 미국 내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
\
1946년
- 스미스필드는 버지니아주 하이웨이 10번 도로변에 자체 가공 공장을 건설함.
1959년
- 회사의 직원 수가 650명으로 증가하며, 사업 규모가 빠르게 확장됨.
1962년
- 조지프 W. 루터 주니어가 사망 전까지 CEO로 재직.
- 사망 당시 회사 지분 42%를 소유하고 있었음.
- 그의 아들 조지프 W. 루터 3세는 이 해에 웨이크 포리스트 대학을 중퇴하고 회사에 입사.
- 영업부에서 일하며 자금을 빌려 추가로 8.5%의 지분을 인수함.
- 하루 도축량: 약 3,000두, 직원 수: 800명 수준이었음.
1966년
- 조지프 W. 루터 3세, 26세의 나이로 회장 겸 CEO에 취임.
- 경영 기간 동안 하루 도축량 5,000두, 직원 수 1,400명으로 증가.
1968년 (관련 정보: WH Group 창업자)
- 완 롱(Wan Long), 당시 국영기업이었던 허난 뤄허 육가공 공장에 입사.
- 이후 회사를 성장시켜 WH Group 설립, 스미스필드를 인수하게 되는 인물로 성장함.
1969년 7월
- 루터 3세는 회사를 **리버티 이쿼티스(Liberty Equities)**에 2,000만 달러에 매각.
- 그는 1970년 1월 해고됨.
- 이후 **1975년까지 버지니아의 브라이스 마운틴(Bryce Mountain)**에서 스키 리조트를 개발.
1971년
- 리버티 이쿼티스는 회사명을 **Smithfield Foods Inc.**로 변경함.
1974년
- 스미스필드는 재정난에 빠졌고, 은행의 권고로 1975년 조지프 루터 3세를 CEO로 복귀시킴.
- 당시 상황:
- 순자산: 100만 달러 미만
- 부채: 1,700만 달러
- 연간 손실: 200만 달러
- 루터는 “12월 햄 시즌에조차 손실을 낸 것은 7월에 버드와이저가 손해 보는 것과 같다”라고 회고함.
1975년
- 루터 3세,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로 복귀.
- 비핵심 사업 매각, 중간 관리자 축소, 데이터 비용 절감 등으로 7개월 만에 흑자 전환 성공.
1978년
- 6월: 스미스필드는 버지니아주 법무장관과의 환경 오염 관련 소송에서 25,000달러에 합의.
- 루터는 80만 달러를 환경 개선에 사용했으며, 추가로 35만 달러도 투자할 예정이라 밝힘.
- 킨스턴(Kinston, NC)에 위치한 육가공 공장 인수.
1984년
- **Patrick Cudahy Inc.**와 **Esskay(가공 부문만)**을 인수함.
1985년 6월
- 미국 청정수법(Clean Water Act) 위반으로 인해, **체서피크 베이 재단(Chesapeake Bay Foundation)**과
**자연자원보호위원회(NRDC)**가 제기한 소송에서,
리치먼드 연방 판사는 스미스필드 자회사에 120만 달러 이상의 민사 벌금을 부과함.
1986년
- 스미스필드는 연간 매출 8억 6,400만 달러를 보고함.
1987년
- 루터는 **Carroll's Foods(미국 내 5번째로 큰 양돈업체)**와 50:50 지분의 합작회사를 설립함.
- Carroll’s는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해 있었으며, 미국 인구의 절반이 하루 내 운송 가능한 거리에 있어 전략적 입지를 가짐.
- 이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 중서부 공급 농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동부의 Murphy Farms에서 공급되는 돼지들과 함께,
회사의 연간 필요 물량의 50%를 자체 조달할 수 있게 됨. - 이로 인해 운송 비용 절감, 운송 중 체중 손실 감소,
결과적으로 품질 및 시장성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게 됨.
1988년
- 스미스필드는 당시 **Smithfield Foods Inc.**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비(非)돼지고기 사업 인수와 불필요한 인력 확장으로 인해 한때 과도하게 팽창했음. - 1970년대 중반, 스미스필드는 리버티 이쿼티스와 함께 경영난에 빠졌고,
루터는 회사를 제값의 일부만 지불하고 다시 사들일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함.-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치 이후, 리버티는 사실상
스미스필드 푸즈(1억 달러 규모의 실패한 육가공 및 수산 유통 회사) 하나만 남게 되었고,
비생산적인 27개 해산물 레스토랑 체인도 부담이었음. - 식품 산업 전반의 물가 상승과 경영 부실로 인해 회사는
부채 1,700만 달러, 순자산 100만 달러라는 최악의 재무 상태에 처함. - 채권자들은 경영 교체를 요구했고,
루터는 급여 및 주식 옵션 패키지에 동의하며 경영권을 회복함. - 한 금융 전문가는 1988년 『Financial World』에서
“조 루터는 회사를 10센트에 다시 사들인 셈이다”라고 평가함.
-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치 이후, 리버티는 사실상
- 루터는 비(非)돼지고기 사업을 매각하여 부채를 빠르게 줄였고,
중간 관리자 감축 및 데이터 처리 비용 절감을 통해
7개월 만에 회사의 수익성을 회복시킴. - 이후 스미스필드는 핵심 사업인 돼지고기 산업으로 재집중하며
인수를 통한 확장 전략을 본격화함. - 이미 진행된 주요 인수:
- 1978년: 노스캐롤라이나 킨스턴(Kinston) 공장 인수
- 1981년: 경쟁사 Gwaltney를 달러당 35센트 가치로 3,400만 달러에 인수
- 루터는 Gwaltney 인수를 특히 자랑스럽게 여겼는데,
Gwaltney는 한때 가족이 근무했던 회사이자 오랜 경쟁사였고,
ITT Corp. 산하에서 방만한 자금 운영으로 몰락했기 때문.
- 루터는 Gwaltney 인수를 특히 자랑스럽게 여겼는데,
- 루터는 이후 Hancock’s Country Hams, Patrick Cudahy Inc.,
Schluderberg-Kurdle Co.(→ Esskay Inc.) 등
성과 부진한 육가공 업체들을 저가에 집중적으로 인수함. - 결과적으로, 1988년 연간 매출은 8억 6,400만 달러에 도달하며,
10억 달러 고지를 눈앞에 둔 대기업으로 성장하게 됨.
1991년
- 스미스필드는 **National Pig Development Co. (NPD)**의 유전자 기술에 대한 미국 및 멕시코 독점 권한을 협상하여 확보함.
- 당시 돼지고기 산업은 **공장 과잉 생산(capacity overhang)**과
10년간 정체된 소비량,
그리고 다른 사업부 수익으로 육가공 부문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대형 복합기업들이 지배하고 있는 어려운 구조였다. -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 샤론 라이어(Sharon Reier)는
“루터가 스미스필드를 부활시킨 것은 기적에 가까우며, 이와 같은 환경에서도 성공한 것이 놀랍다”고 평했다. - 하지만 돼지고기 가격의 4년 주기 사이클은 루터의 ‘황금 손길(Midas touch)’로도 제어하기 어려웠다.
가격이 오르면 더 많은 돼지를 키우고, 그로 인한 과잉 공급은 다시 가격 하락을 부르고,
결과적으로 공급 부족으로 이어지는, 고위험의 원자재 시장 구조였다. - 이로 인해, 스미스필드의 순이익은 1990년 700만 달러에서 1991년 거의 2,900만 달러로 급증했지만,
1992년에는 다시 2,100만 달러로 하락하며 사이클 효과를 겪게 됨.
1992년
- 스미스필드는 이와 같은 변동성 속에서도 장기 복리 성장률(compound growth) 관점으로 실적을 평가함.
1991년 주주서한에 따르면: - “회사의 지난 16년간 실적을 4년씩 나누어 분석해보면,
매출, 순이익, 주당순이익 모두 **14%, 31%, 33%**의 연복리 성장률을 보여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성장 패턴을 보였다.” - 이 주기적 사이클의 장점은 스톡 가격도 함께 상승·하락 패턴을 보였다는 점이다.
루터는 이 기회를 활용해, 수익이 높은 시기엔 저점에서 주식을 사들였으며,
16년간 자사주 약 50%를 환매,
자신의 지분율을 약 20%까지 늘렸다고 『포브스』는 전했다. - 1992년 후반, 스미스필드는 볼티모어의 노후화된 생산시설을 철수하고,
**노스캐롤라이나 윌슨(Wilson)**에 위치한 John Morrell 공장을 인수했다.
또한 미국 서부 지역 공급을 위한 새로운 공장 입지를 물색하고 있었다. - 『포브스』 기자 리타 코셀카(Rita Koselka)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스미스필드의 수익이 향후 4년 내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 기대했지만,
이는 단선적인 상승이 아닌 변동성 속 성장일 것이라 전망했다.” - 당시 다른 대형 육가공업체들이 어려움을 겪는 동안,
스미스필드는 극도로 유연하고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통해 고품질 돼지고기 유통 시장에서 선두를 노리고 있었다.
1996년
- 스미스필드는 연 매출 약 24억 달러를 기록함.
- **‘스미스필드 린 제너레이션 포크(Smithfield Lean Generation Pork)’**라는 저지방 돼지고기 제품을 대형 슈퍼마켓을 통해 대대적으로 출시함.
1997년
- 스미스필드는 기업형 양돈업에 대한 강한 반발에 직면하게 됨.
- 청정수법(Clean Water Act) 위반으로 인해 역대 최대 규모인 1,260만 달러의 민사 벌금을 부과받음.
- 버지니아주에서 22,000건의 오염 위반에 대해 추가로 380만 달러의 벌금을 명령받음.
- 이어지는 환경단체와 시민단체의 비판 속에,
2000년 9월, 스미스필드는 노스캐롤라이나주와 환경 협약을 체결하고,
1,500만 달러를 투자해 돼지 분뇨 처리 관련 친환경 기술 R&D를 약속함. - 그러나 2001년까지도 환경 운동가, 동물권 단체, 독립 농장주들이 스미스필드를 계속 비판함.
- 스미스필드가 수년간 환경법과 청정수법을 고의적으로 체계적으로 위반했다고 주장하는 소송이 이어졌지만,
2001년 3월, 노스캐롤라이나주 판사는 두 건의 관련 소송을 기각함.
1998년
- 스미스필드는 오랜 파트너였던 **서클 포 팜스(Circle Four Farms)**를 인수함.
- 같은 해, 세계 최대 규모의 육류 가공 공장을
**노스캐롤라이나 타힐(Tar Heel)**에 열었으며,
이 시설은 97만 3천 평방피트 규모로, 하루 32,000두의 돼지를 처리할 수 있음. - 업계 전반이 어려웠던 1998년에도, 스미스필드는
탄탄한 전략과 제품 개발, 마케팅 성과 덕분에 성장을 지속함.- 위스콘신에 본사를 둔 Patrick Cudahy 부문을 통해
저지방 이탈리안 소시지와 즉석 조리용 소시지 제품군을 출시함.
- 위스콘신에 본사를 둔 Patrick Cudahy 부문을 통해
1999년
- 스미스필드는 본격적으로 글로벌 확장 전략에 돌입함.
- 2월: **캐나다 온타리오 키치너(Kitchener)**에 위치한
**돼지고기 가공업체 슈나이더(Schneider Corp.)**를 인수함.
(이 인수는 1년 전부터 추진되었던 거래임) - 8월: 멕시코에서 50% 지분의 통합 양돈 합작법인 설립으로 국제 진출을 확장함.
- 9월: 프랑스 최대의 PB(private brand) 햄, 삼겹살, 베이컨 생산업체를 인수함.
- 다음 해에는 또 다른 프랑스 육가공 업체를 인수하여,
프랑스 내 가공육 사업을 두 배로 성장시킴.
- 다음 해에는 또 다른 프랑스 육가공 업체를 인수하여,
- 이후에는 폴란드 최대 육류기업 Animex SA도 인수함.
- 같은 해, 미국 내 최대 규모의 돼지고기 생산업체 2곳도 인수함:
- Carroll's Foods – 인수 금액 약 5억 달러
- Murphy Family Farms (노스캐롤라이나) – 당시 미국 최대 돼지고기 생산업체
- 이 인수는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마무리됨:
- 스미스필드 주식 330만 주,
- 현금 1억 7,800만 달러,
- 부채 인수 약 2억 1,600만 달러
2000년
- 스미스필드는 1999년 허리케인 플로이드 당시 **돼지 분뇨 웅덩이(cesspools)**가 범람한 사건 이후,
노스캐롤라이나주 법무장관과 협약을 체결하여
최대 6,500만 달러를 분뇨 처리 대체기술 연구(R&D)에 투자하기로 합의함. - Smithfield Foods Inc.는 2000 회계연도 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가공업체로 등극함.
- 연간 생산량:
- 신선육 및 가공육 합산 약 60억 파운드(약 270만 톤)
- 연간 도축두수: 약 1,200만 마리 → 세계 최대 양돈 기업
- 연간 생산량:
- 스미스필드는 지주회사(Holding Company) 형태로 운영되며,
- 육류 가공 그룹(meat-processing group)
- 양돈 그룹(hog-production group)
두 개의 주요 부문 아래 다수의 자회사들을 통해 사업을 운영함.
- 노스캐롤라이나에 세계 최대 규모의 도축 시설을 운영 중이며,
미국 내 10개 주에 산업형 대규모 양돈장을 보유하고 있음. - 스미스필드는 1987년 이후로 수직 통합형 돼지고기 산업 모델의 선두주자로 평가되며,
사육 → 도축 → 가공 → 유통까지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함. - 주력 제품군:
- 햄, 핫도그, 베이컨, 소시지, 델리미트, 런천미트 등
- 유통 형태: 도매, PB(private brand), 자체 브랜드
- 대표 브랜드: Smithfield, Esskay, Gwaltney, Luter’s, Jamestown, Patrick Cudahy
- 스미스필드는 1998년부터 본격적인 해외 확장을 시작하여
캐나다, 프랑스, 폴란드 등지에서 기업 인수를 진행함. - 📍추가 정보:
- 2000년, 스미스필드는 **아이오와 주 더뷰크(Dubuque, Iowa)**에 있는
Farmland Foods의 공장 인수 결정을 발표함.
- 2000년, 스미스필드는 **아이오와 주 더뷰크(Dubuque, Iowa)**에 있는
2001년
- 2001년 초, 스미스필드는 **미국 최대 가금류 회사 타이슨(Tyson)**과 함께
미국 최대 쇠고기 회사 IBP의 인수를 놓고 치열한 경쟁에 돌입함.- IBP 인수에 성공할 경우, 양사 중 어느 쪽이든 미국 최대 육류기업이 되는 상황이었음.
- 최종적으로는 타이슨이 IBP 인수전에 승리하였으나,
이후 합병을 철회함. - 스미스필드는 이후 IBP 재인수에 대한 즉각적인 계획은 없다고 발표함.
- 이와 동시에, 스미스필드는 **소규모 쇠고기 가공업체 Moyer Packing Co.**를 인수함.
- 이번 인수로 브랜드화된 포장육(prepackaged, branded meat) 제품군 확대,
- 원재료형 상품보다 2배 이상 높은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효과를 기대함.
- 한편, 유럽에서는 광우병(BSE) 및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발생으로 인해,
스미스필드는 유럽 수출 확대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받음.- 분석가들은 “스미스필드가 유럽 내 광범위한 유통망을 활용해 수출 증가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함.
2002년 7월
- 스미스필드는 연간 약 1,200만 마리의 돼지를 시장에 출하하고 있었으며,
이는 미국 국내 돼지 시장의 약 12%를 점유하는 규모였다.
2003년
- 스미스필드는 미국 6위 돼지고기 가공업체인 Farmland Foods를 인수함.
이를 통해 가공 및 유통 영역에서의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함.
2004년
- 스미스필드는 영국의 육류 회사 2곳을 인수 완료,
영국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이어감. - 같은 해, 스미스필드는 공정거래법(antitrust law) 위반 혐의에 대한 정부의 고발을 해결하기 위해
200만 달러의 민사 벌금을 납부하기로 합의함.- 해당 혐의는 스미스필드가 경쟁업체인 IBP Inc.의 주식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지적됨.
2005년
- 스미스필드는 **글로벌 급식기업 컴퍼스 그룹(Compass Group)**과 협력하여
돼지고기 생산 과정에서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함. - 또한 MF Cattle Feeding을 인수하고,
ContiBeef와 합작해 미국 최대의 사료용 육우(feedlot cattle) 기업을 설립함.
2006년
- **C. 래리 포프(C. Larry Pope)**가 조지프 루터 3세의 후임으로 CEO에 취임함.
- 이는 루터 가문의 경영 시대의 종료이자 전문 경영인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함.
- 스미스필드는 **유명 셰프 폴라 딘(Paula Deen)**과 협력해 브랜드 제품 라인을 출시함.
⚠️ 산업 지배력과 규제 우려 (맥락 설명 포함)
- 스미스필드의 인수 전략은 미국 내 식품 공급망에 대한 과도한 통제 우려를 불러일으킴.
- 특히 1999년 Murphy Family Farms 인수 이후,
**미국 농무부(USDA)**는 스미스필드를 가리켜 "터무니없이 거대하다(absurdly big)"고 표현함. - **농업 경제학자 질 홉스(Jill Hobbs)와 린다 영(Linda Young)**은 2001년에 발표한 연구에서
스미스필드의 인수들이 미국 양돈 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평가함.- 스미스필드는 미국 내 돼지고기 생산의 10~15%를 통제하는 위치에 있었음.
- 2006년 현재, 스미스필드, 타이슨 푸드(Tyson Foods), 스위프트(Swift & Co.), 카길(Cargill)
이 4개 회사가 미국 내 돼지고기 생산의 70%를 담당하고 있었음.
2007년
- **미국 동물보호협회(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와 동물윤리단체 PETA의 찬사를 받으며,
스미스필드는 향후 10년간 임신한 암퇘지를 좁은 ‘임신틀(gestation stalls)’이 아닌 '군집형 사육(group housing)'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함. - ConAgra Foods의 브랜드육 부문을 인수함.
- 인수 대상에는 Armour와 Eckrich 브랜드가 포함되어 있었음.
- 또한, Sara Lee의 유럽 육류 사업 인수에 참여하여
Groupe Smithfield를 통해 유럽 최대 포장육 생산업체로 도약함. - 더불어, 중국에 6천만 파운드(약 2.7만 톤)의 돼지고기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함.
- 당시 중국은 **돼지 질병(예: PRRS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시기였음.
2008년
- 2008년 7월, 스미스필드는 주요 유럽 자회사 Groupe Smithfield를
스페인의 Campofrio Alimentacion에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함. - **조지프 W. 루터 3세(Joseph W. Luter III)**는 1975년 CEO로 복귀한 이래,
재무 위기 속에서 회사를 구조조정하여 성장시켰으며,
2006년 CEO에서 물러났고, 2013년 WH그룹에 회사를 매각할 때까지 회장직을 유지함. - 그의 아들 **조지프 W. 루터 4세(Joseph W. Luter IV)**는
2008년 스미스필드 부사장 및 주요 자회사 Smithfield Packing Company 사장으로 취임.
이후 2013년 10월 사임함.- 사임 당시 그의 보유 주식 가치는 2,110만 달러,
루터 3세의 주식 가치는 3,000만 달러에 달했음.
- 사임 당시 그의 보유 주식 가치는 2,110만 달러,
- 2007년 인수·합병에 포함된 기업:
- Farmland Foods (캔자스시티) – 2003년 인수
- Sara Lee의 유럽 육류 사업
- ConAgra Foods의 냉장육 부문
- Butterball (가금류 생산업체)
- Brown’s of Carolina
- Premium Standard Farms
- 그러나 스미스필드는 2008년, Butterball에 대한 49% 지분을
약 1억 7,500만 달러에 매각함.
2009년
- 2009년 12월, 스미스필드는 회계연도 2분기에 2,640만 달러의 손실을 발표함.
이는 4분기 연속 적자 기록임. - 기업 인수·합병 관련 정리:
- 2003년: Farmland Foods (캔자스시티) 인수
- 2007년:
- Sara Lee의 유럽 육류 부문
- ConAgra Foods의 냉장육 사업
- Butterball (칠면조 생산업체)
- Brown’s of Carolina
- Premium Standard Farms 등을 추가 인수
- 2008년, 스미스필드는 Butterball에 대한 49% 지분을 약 1억 7,500만 달러에 매각함.
- 2009년, 미국 법무부는 Premium Standard Farms 인수 당시 불법적인 합병 행위가 있었다며
스미스필드에 9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함.
2010년
- 2010년 3월: 스미스필드는 회계연도 3분기에서 수익성을 회복했다고 발표함.
4분기 연속 손실 끝에 흑자 전환한 것임. - 2010년 9월: 스미스필드는 Butterball LLC의 파트너사가
스미스필드의 49% 지분을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함.
이를 통해 스미스필드는 Butterball과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정리하게 됨. - 2010년 12월:
- **미국 동물보호협회(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는
스미스필드 자회사(웨이벌리 소재)의 돼지 농장에서 촬영한 영상을 공개함.- 영상에는 임신한 암퇘지가 좁은 임신틀에 갇혀 있는 모습,
작업자들이 돼지를 찌르거나 던지는 장면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영상에는 임신한 암퇘지가 좁은 임신틀에 갇혀 있는 모습,
- 이에 대해 스미스필드는 즉각적인 조사에 착수했으며,
**동물복지 전문가 템플 그랜딘(Temple Grandin)**을 초빙해 - “영상 속 사건의 사실 관계를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 및 절차 개선 사항을 권고받을 것”이라고 성명을 발표함.
- **미국 동물보호협회(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는
- 같은 해, **데니스 트리시(Dennis Treacy)**가 회사 최초의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 Chief Sustainability Officer)**로 임명되며,
스미스필드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6대 핵심 축(pillars) 아래 체계화함.
2011년 6월
- 스미스필드는 연 매출 12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2012년 1월
- 스미스필드는 **리처드 페티 모터스포츠(Richard Petty Motorsports)**와
나스카(NASCAR) 스프린트 컵 시리즈 대회 공식 후원 파트너십을 다년 계약으로 체결했다고 발표함.
→ 본격적인 스포츠 마케팅 진출
2012년 6월
- 스미스필드는 연 매출 131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함.
→ 전년 대비 약 9억 달러 증가
2012년
- 스미스필드는 **버지니아주 스미스필드 시(Main Street)**에
자사 최초의 레스토랑 Taste of Smithfield를 오픈함.
이 레스토랑은 기존 자사 소매점인 The Genuine Smithfield Ham Shoppe와 같은 건물에 위치함.
→ 브랜드 체험 공간으로 외식업에 진출한 사례
2013년 4월
- 양돈 사업 부문 매각 압박이 거세지자,
스미스필드는 지금까지 중 가장 강력한 공개 방어 논리를 펼침.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스미스필드는 다음과 같이 밝힘:
- “양돈 사업부를 매각할 경우,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고객들과의 관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 해당 부문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 전략상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
- “양돈 사업부를 매각할 경우,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2013년 9월 6일
- **중국의 Shuanghui International Holdings(현 WH Group)**이
Smithfield Foods Inc. 인수에 대해 미국 정부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음. - 인수 총액은 약 71억 달러,
이에는 스미스필드의 부채도 포함되어 있음. - 해당 거래는 중국 기업이 미국 기업을 인수한 사례 중 최대 규모의 주식 인수로 기록됨.
- 이번 거래에는 스미스필드가 보유한 14만 6천 에이커(약 5,900만 평)의 미국 토지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WH Group은 미국 내 최대 외국계 농지 소유자 중 하나가 됨. - 인수 발표 당시, Shuanghui는 인수 완료 후 스미스필드를 홍콩 증시에 상장할 것이라고 밝혔음.
2015년
- Smithfield Foods Inc.는 미국 기반의 육류 제조 및 가공 기업으로,
주로 돼지고기 생산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업체로 평가됨. - 미국 내에 26개의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도축장 및 가공 공장도 보유하고 있음. - 미국 외에도 멕시코 및 유럽 10개국에 진출해 있음.
- 총 직원 수는 약 46,000명,
연간 매출은 13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함. - 2015년 기준,
**중국 국영 기업인 Shanghai International Holdings Ltd.**가
스미스필드의 지분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음.- 이는 Shuanghui(WH Group)의 지주회사이자 국영 형태의 기업임.
- 수십 년간 스미스필드는 인수한 기업들을 독립적으로 운영해왔지만,
2015년부터 ‘One Smithfield’ 전략을 도입하여 구조를 통합함. - 예를 들어, 유타주 밀포드(Milford)의 Circle Four Farms는
**‘Smithfield Hog Production – Rocky Mountain Region’**이라는 통합 명칭으로 변경됨.
2016년
- 스미스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의 돼지고기 가공업체 Clougherty Packing PLC를
1억 4,500만 달러에 인수함.- 이 인수에는 Farmer John 및 Saag’s Specialty Meats 브랜드도 포함되어 있었음.
- 또한 Hormel Foods Corporation으로부터
PFFJ(Pigs for Farmer John) LLC와 그 소속 양돈장 3곳도 함께 인수함.
2017년
- 2017년 8월, 스미스필드는 폴란드의 육류·가금류 업체 3곳을 인수함:
- Pini Polska
- Hamburger Pini
- Royal Chicken
- 같은 해 9월, 스미스필드는 루마니아의 포장육 가공업체 2곳을 인수한다고 발표함:
- Elit
- Vericom
- 이 유럽 내 확장을 통해 스미스필드는 EU 지역 시장 점유율을 크게 확대하게 되었음.
- 같은 해, 스미스필드는 “Pure Farms”라는 신제품 브랜드를 출시함.
- 해당 브랜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제품을 제공함:
- 항생제 무첨가
- 인공 성분 무첨가
- 호르몬 및 스테로이드 무첨가
- 식물성 단백질 기반 제품 포함
- → 건강·청정 식품 트렌드에 대응한 포지셔닝 전략
- 해당 브랜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제품을 제공함:
- 참고로, Clougherty Packing(캘리포니아 최대의 돼지고기 가공업체) 인수는
WH Group이 스미스필드 인수(2013년) 이후
미국 내 영향력을 더욱 확대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임.
2018년
- (※ 관련 기사에는 스미스필드의 직접적인 기업 활동은 명시되어 있지 않음.
범죄 뉴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스미스필드 Foods와는 무관한 사례로 보임.)
2019년
- 스미스필드는 루마니아의 육류 가공업체 Maier Com을 인수함.
- 이는 2017년 인수한 Elit 및 Vericom에 이은
루마니아 시장 내 포장육 사업 확장 전략의 일환임.
- 이는 2017년 인수한 Elit 및 Vericom에 이은
- 이로써 스미스필드는 루마니아 내 3대 육류 브랜드를 모두 확보하게 되었으며,
동유럽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유럽 내 생산기지 강화에 기여함.
2020년
- 스미스필드는 **미국 군인 출신 참전용사(Veterans)**의 고용 및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인 **"Helping Our Heroes"**를 시작함.- 이 이니셔티브는 재향 군인의 일자리 창출, 고용 유지, 경력 전환 지원 등을 목적으로 개발됨.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대 차원에서 진행된 대표 프로젝트임.
2022년
- LinkedIn이 발표한 ‘2022년 소비재 분야 최고 기업(Top Companies in Consumer Goods)’ 순위에 스미스필드가 선정됨.
- 이는 스미스필드가 직원 성장, 경력 개발, 장기 근속 기회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임. - 글로벌 식품 대기업으로서 브랜드 신뢰도, 고용 안정성, 리더십 육성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사례임.
- 이는 스미스필드가 직원 성장, 경력 개발, 장기 근속 기회 측면에서
- Smithfield Foods History: Founding, Timeline, and Milestones - Zippia
Smithfield Foods History: Founding, Timeline, and Milestones - Zippia
Smithfield Foods
www.zippia.com
#스미스필드 #스미스필드푸즈 #돼지고기산업 #육가공기업
#식품제조업 #글로벌식품기업 #기업연혁 #미국식품기업
#WH그룹 #식품산업사 #육류가공 #기업인수합병 #CSR경영
#지속가능축산 #식품브랜드 #식품유통 #미국돼지고기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전쟁으로 미국산 쇠고기 중국 수출 중단, 호주가 그 공백을 메우다 (0) | 2025.04.17 |
---|---|
AI가 쓴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미국 육류의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17 |
스미스필드 푸드(Smithfield Foods): 그 역사, 성공, 그리고 도전 과제에 대한 심층 분석 (0) | 2025.04.15 |
꿀꿀거림(oink)만 빼고 모든 것?무역 불확실성 시대에 본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에 대한 통찰 (0) | 2025.04.14 |
모든 미국산 돼지고기 시설이 중국 수출 허가를 회복했다고 NPPC가 밝혔다.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