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꿀꿀거림(oink)만 빼고 모든 것?무역 불확실성 시대에 본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에 대한 통찰

by Meat marketer 2025. 4. 14.
반응형

꿀꿀거림(oink)만 빼고 모든 것?
무역 불확실성 시대에 본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에 대한 통찰

Everything but the oink? Insights on U.S. pork variety meats in an era of trade uncertainty

 

농업·식품·자원경제학과(Department of Agricultural, Food, and Resource Economics)의 하이메 루크(Jaime Luke)가 작성한 원문을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관세 부과는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 제품에 대한 국제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돼지고기 산업은 "꿀꿀거림(oink)만 빼고 모든 것"을 판매한다고 자부한다.
이는 시장에 출하된 돼지의 거의 모든 부분이 버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은 지글지글 구워지는 베이컨에서부터
의약품, 산업용 화학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미국 돼지고기 생산자들은
자신들의 땀과 노력의 결과물이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양 공급은 물론 생명을 구하는 필수품까지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수출 시장은 미국산 돼지고기 제품에 있어 점점 더 중요한 판로가 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는 2024년에
미국 전체 돼지고기 생산량의 약 **26%**가 수출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멕시코, 중국, 일본, 한국, 캐나다이다.

최근의 무역 불확실성은
돼지고기를 포함하여 수출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산업들에게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2025년 2월 초,
미국은 캐나다, 중국, 멕시코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부합하는 상품에 대한 관세는
현재 연기된 상태이다.

이는 멕시코산 수입품의 약 50%,
캐나다산 수입품의 약 38%를 포괄한다.
USMCA에 포함된 대부분의 상품은
농업 및 식품 제품이지만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

상황의 유동성은
우리의 무역 파트너들이 어떻게 대응할지,
또 향후 보복 조치로 인해 어떤 제품이 영향을 받을지에 대한
또 다른 불확실성을 추가하고 있다.

한편,
중국산 상품에 대한 미국의 기존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특히 돼지고기를 포함한 여러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현재의 무역 환경은
미국 돼지고기 산업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도표 1(Figure 1)**은
2010년 이후 미국의 돼지고기 총 수출량 변화를 보여준다.
총 수출량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흘러가는 수출 비율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이 세 나라(캐나다, 중국, 멕시코)가
미국 돼지고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45%**에서 2024년에는 **61%**로 증가했다.

따라서
캐나다, 중국, 멕시코와의 무역 관계에서 발생하는 변동성은
국내 돼지고기 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0~2024년 미국 돼지고기 수출 추이 (캐나다, 중국, 멕시코 비중)

이 그래프는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 돼지고기 수출량을 국가별로 구분해 보여주고 있어.

  • 수출량은 십억 파운드(Billion Pounds) 단위로 표시
  • 색깔 구분:
    • 진한 남색: 캐나다
    • 연한 살색: 중국
    • 연두색: 멕시코
    • 회색: 기타 국가(Other Countries)

 

  1. 전체 수출량 증가
    • 2010년에는 약 4.5억 파운드였던 수출량이
    • 2024년에는 약 6.5억 파운드 수준까지 증가했다.
  2. 캐나다·중국·멕시코 비중 확대
    • 2010년에는 전체 수출량의 **45%**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수출되었지만,
    • 2024년에는 **61%**로 상승했다.
    • 특히 2019~2021년 사이에 급격히 비율이 상승했으며,
      2020년에는 무려 **64%**를 기록했다.
  3. 기타 국가 비중 감소
    • 회색(기타 국가)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에 비해 2024년 현저히 줄어들었다.
    • 즉, 미국산 돼지고기 수출이 점점 소수 주요 시장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국가별 변동
    • **멕시코(연두색)**가 가장 꾸준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중국(연한 살색)**은 2019~2020년 무렵 크게 증가했다.
    • **캐나다(진한 남색)**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 2010년에는 캐나다, 중국, 멕시코가 미국산 돼지고기 수출의 45%를 차지했지만, 2024년에는 61%로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 수출량 자체도 꾸준히 증가해, 14년간 약 2억 파운드 이상 늘어났다.
  • 기타 국가로의 수출 비중은 줄어들고, 특정 시장(특히 멕시코, 중국) 의존도가 커졌다.
  • 최근 몇 년간 중국 수출 비중 확대가 눈에 띄며, 멕시코 수출은 안정적으로 성장했다.

미국산 돼지고기 수출에서 부산물(variety meats)의 역할

돼지고기는 다양한 제품군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범주이며,
"꿀꿀거림(oink)만 빼고 모든 것"을 의미하는 이 표현은,
돼지 족발(pig feet)과 같은 제품이라도 어딘가에는 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비록 평균적인 미국 소비자에게는 이런 제품이 식욕을 돋우지 않을 수 있지만,
세계 각국의 입맛은 다양하다.

특히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은
미국 내 수요가 적은 돼지고기 부산물(offal)에 대한
주요 수출 시장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물(variety meats) 카테고리에는
**돼지 혀(pork tongues)**부터 **창자(intestines)**까지 다양한 부위가 포함된다.

2024년,
미국 전체 돼지고기 수출량의 **20%**가 부산물 형태로 이루어졌다.
즉, 지난해 약 **13억 파운드(1.3 billion pounds)**의 돼지고기 부산물이 수출되어
12억 9천만 달러(1.29 billion dollars) 이상의 수익을 창출했다.

표 1에서는
수출된 돼지고기 부산물의 전체 물량이 제품별 비율로 세분화되어 있다.

2024년 기준,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 수출량의 약 **30%**는 돼지 족발(pig feet) 형태였으며,
그 뒤를 이어 두 개의 일반적인 부산물(offal) 카테고리와
돼지 혀(tongues)가 뒤를 이었다.

 

 

2024년,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냉동 족발(Feet, frozen)**이었다.
냉동 족발은 전체 부산물 수출량의 **29.3%**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은 것은 **냉동 간(liver 제외) 부위(Offal, except livers, frozen)**로,
**16.9%**의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신선 또는 냉장 상태의 부산물(Offal, fresh or chilled)**이 **16.8%**를 차지했다.

네 번째로 높은 비중은 **냉동 돼지 혀(Tongues, frozen)**로,
전체의 **15.6%**를 차지했다.

다섯 번째는 **내장, 방광, 위(Guts, bladders & stomachs)**로,
전체 부산물 수출량의 **9.7%**를 차지했다.

이어서, **냉동 껍질(Skins, frozen)**이 **4.9%**를 기록했으며,
**조리되었거나 보존 처리된 간을 제외한 부산물(Offal, except liver, prepared or preserved)**이 **3.9%**를 차지했다.

**냉동 소시지용이 아닌 창자(Intestines, frozen, not for use as sausage casings)**는
**1.3%**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냉동 머리 고기(Head meat, frozen)**와 **냉동 심장(Hearts, frozen)**은 각각 **0.7%**를 차지했다.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냉동 간(Livers, frozen)**으로,
전체 부산물 수출량의 **0.2%**를 기록했다.

 

  • **상위 4개 품목(족발, 냉동 간 부위, 신선 냉장 부산물, 돼지 혀)**이 전체 수출량의 약 **78.6%**를 차지했다.
  • **족발(29.3%)**이 단일 품목 중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간, 심장, 머리 고기는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이 돼지고기 부산물 제품들은 어디로 수출되었을까?
대체로, 미국이 현재 관세 조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국가들로 향했다.

캐나다, 중국, 멕시코
거의 모든 돼지고기 부산물 제품의
대부분 수출 물량을 차지했으며,
이는 **도표 2(Figure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돼지 족발(pig feet) 수출의 거의 전량이 중국으로 향했다는 것이다.
이는 다시 한번,
돼지 족발이 2024년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 중
가장 큰 수출 품목이었음을 보여준다.

멕시코
신선/냉장(offal, fresh/chilled) 부산물 제품
대다수를 구매한 국가였다.

그리고
돼지 혀(tongues),
내장(guts),
방광(bladders),
위(stomachs) 제품은
중국과 멕시코의 조합
거의 모든 수출량을 소화했다.

 

2024년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 수출 대상국별 비율

이 그래프는 **2024년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이
캐나다, 중국, 멕시코 3개국으로 얼마나 수출되었는지를 품목별로 보여준다.

 

  • Feet (족발)
    미국산 돼지 족발 수출량의 **93%**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수출되었다.
    특히 거의 대부분이 중국으로 집중되었다.
  • Offal (frozen) (냉동 부산물)
    냉동 부산물의 **67%**가 이 세 나라로 수출되었다.
  • Offal (fresh/chilled) (신선/냉장 부산물)
    신선 또는 냉장 상태의 부산물은 **98%**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수출되었으며,
    주로 멕시코가 주요 수입국이다.
  • Tongues (돼지 혀)
    돼지 혀 제품은 **92%**가 이 세 나라로 수출되었다.
    역시 중국과 멕시코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 Guts, bladders & stomachs (내장, 방광, 위)
    이 부위들의 수출도 **89%**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향했다.
  • Skins (껍질)
    돼지 껍질은 **60%**가 세 나라로 수출되었으며,
    기타 국가들도 꽤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 Offal (prepared/preserved) (조리되거나 보존 처리된 부산물)
    이 카테고리는 **81%**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수출되었다.
  • Intestines (창자)
    창자는 **49%**가 세 나라로 수출되었고,
    나머지 절반 정도는 기타 국가로 수출되었다.
  • Head meat (머리 고기)
    머리 고기의 경우 **42%**만 이 세 나라로 수출되었으며,
    과반 이상은 다른 국가로 향했다.
  • Hearts (심장)
    돼지 심장은 **59%**가 세 나라로 수출되었다.
  • Livers (간)
    간 제품은 **64%**가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수출되었다.

 

  • 돼지 족발(Feet)과 신선/냉장 부산물(Offal fresh/chilled)은
    90% 이상이 캐나다, 중국, 멕시코로 집중 수출되었다.
  • 창자(Intestines), 머리 고기(Head meat) 등 일부 품목은
    기타 국가로도 상당량 수출되었다.
  • 중국은 특히 족발, 혀, 내장 부위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 멕시코는 신선/냉장 부산물의 최대 구매국이다.
  • 캐나다는 다양한 부위에 걸쳐 일정 비율로 수입하고 있다.

 

캐나다, 중국, 멕시코와의 무역 차질은 미국 돼지고기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이들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로 인해 다른 곳에서 돼지고기를 조달하려 한다면,
미국 돼지고기 생산자들에게 시장 불안정성이 초래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국가는 미국 내 많은 소비자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은
**돼지고기 부산물(variety meats)**에 대한
주요 수출처 역할을 해왔다.

이 점은 매우 중요한데,
국제 소비자들이 구매하지 않으면
부산물들은 폐기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국제 시장으로 부산물을 수출함으로써
미국 돼지고기 산업은 추가적인 가치를 창출해왔다.


궁극적으로
이런 역동적인 무역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제품 단위로 과거 무역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고려해야 할 잠재적 영향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꿀꿀거림만 빼고 모든 것을 활용한다"는
미국 돼지고기 산업의 접근 방식은
다가오는 무역 불확실성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까?

 

 

#미국돼지고기

#돼지고기부산물

#미국양돈산업

#돼지고기수출

#무역불확실성

#NPPC

#미국축산업

#국제무역

#돼지고기시장

#부산물수출

#PorkIndustry

#미국농업

#양돈산업전략

 

Everything but the oink? Insights on U.S. pork variety meats in an era of trade uncertainty - Por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