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축산과 식육의 역사4 1923년 7월 10일자 동아일보 기사 「평남양돈상황조」 1923년 7월 10일자 동아일보 기사 「평남양돈상황조」\평안남도 돼지 사육 현황 조사 (1923년 6월 말 기준)1923년 6월 말 기준으로,평안남도에서 돼지를 키우는 가구 수는 총 8,513가구이고,사육 중인 돼지 마릿수는 약 78만 1,200두에 달합니다.🐖 개량종과 재래종의 비율이 중에서 개량종(품종 개량된 돼지)은 약 21,214마리로,전체 사육 마릿수 중 **약 2.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개량종의 주요 품종으로는사만일천칠백구십사두(41,794두)재래종(토종 돼지)은**삼만육천이백삼십팔두(36,238두)**가 있습니다.🥩 도살 및 사육 동향도축된(도살된) 돼지는 총 56,212마리로,전년도 같은 시기보다 31,742마리(약 77%)가 증가한 수치입니다.이 수치는 평남에서 돼지고기 소비 .. 2025. 6. 23. 축산 장려 필요 (동아일보, 1922.10.26) 축산 장려 필요 (동아일보, 1922.10.26)📌 1. 양돈·양계의 가능성과 과제양돈(돼지 사육)과 양계(닭 사육)는 조선 농가에게 부업으로서 매우 적합합니다.현재 조선은 불경기에 직면해 있지만, 일부 상급지(좋은 환경의 지역)를 제외하면기후 조건이나 사양법(사육 방식), 그리고 기존 축우(소 사육)에 비해돼지나 닭의 경제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고,품질과 사육 마릿수 모두 불균형이 심해, 수요도 제한적입니다.하지만 일본 본토에서는 돼지와 닭이일상적이고 수익성 높은 부업으로 자리 잡았고,심지어 아주 소규모로 경영해도 경제적 성과가 뛰어납니다.또한 정육이나 도축 가공품까지 생산하여 일본 시장에 공급되고 있습니다.이런 일본의 실례는 조선에도 적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참고할 만합니다.📌 2. 조선의 축산 산.. 2025. 6. 23. 1921년 10월 3일 동아일보 -**최근 조선 산업 발달(最近朝鮮產業發達)**의 대관(大觀)(십이)(칠)농업 개량 및 발달(農業改良及發達)(속)12. 임(십이), 목(목축)(속) 1921년 10월 3일 동아일보 -**최근 조선 산업 발달(最近朝鮮產業發達)**의 대관(大觀)(십이)(칠)농업 개량 및 발달(農業改良及發達)(속)12. 임(십이), 목(목축)(속) **「최근 조선 산업 발달에 대한 개관」**이라는 문서에서"12장: 농업의 개량과 발달" 부분 중그 하위 항목인 **“12.7 축산(목축)”**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즉, 전체 문서 구조 중 다음을 나타냅니다:대주제: 최근 조선 산업의 발달중단원: 농업의 개량과 발달소단원 12.7: 축산 부문조선의 소가죽(우피) 수출과 문제점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문제점이 많습니다.예를 들어, 도축되지 않은 채 죽은 소(죽미비)가 많아 가죽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설사 가죽을 얻는다 하더라도, 건조시키는 기술이 부족하거나,보존과 처리 방.. 2025. 6. 23. 조선일보 | 1921.06.02 기사 조선 계양돈수(朝鮮 鷄羊豚數) 조선일보 | 1921.06.02 기사조선 계양돈수(朝鮮 鷄羊豚數) 1921년 조선의 가축 사육 현황🐔 조선의 닭 사육 현황 (양계수)1920년 말 기준, 조선에서 사육 중인 닭의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개량종 닭: 약 633만 6,654마리토종 및 잡종 닭: 약 116만 6,112마리이는 전년도 말에 비해 다음과 같이 증가한 수치입니다.개량종 닭은 약 31만 9,119마리 증가잡종 닭은 약 11만 4,324마리 증가🐑 조선의 양 사육 현황 (양우수)1920년 말 현재, 조선에서 사육되고 있는 양은 총 2만 1,157마리입니다.이는 전년도에 비해 3,541마리 늘어난 수치입니다.이 중 면양(털을 채취하는 양)은 3,986마리로, 전년도보다 5,815마리 증가했습니다.🐖 조선의 돼지 사육 현황 (양돈수).. 2025. 6.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