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황색 한우 한 품종으로 통일 지역적 차별화는 엄청난 마케팅 자원
조선 후기에는 지난 세기부터 운영해 오던 관영목장들이 급속히 줄어들었다. 임진왜란으로 국토가 혹심하게 파괴된 데다 봉건 통치기구가 문란해지고 중앙집권적 통제가 약화되면서 가축 사육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반면 개인 축산업은 어느 정도 성장했다. 특히 함경도 지역에는 개인이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목장이 많았다. 조선말기 한 해 동안 블라디보스토크에 수출한 소마릿수가 무려 3만 마리나 됐다는 것은 이 지방에 큰 규모의 개인 소목장이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그 당시 함경도 지역의 소는 총 마릿수가 16만 마리에 이르렀고 또 소의 품질도 좋았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소를 많이 기르면서도 품질이 특별히 좋았던 곳으로는 함경도 함흥·북청, 경기도 개성·수원, 경상도 대구 등이 알려져 있다.
평안도 역시 소의 명산지로 알려졌는데 특히 ‘평양소’는 고기 맛이 좋고 부리기도 편해 ‘천하일품’이라고 불릴 정도였으며 평양 명물의 하나였다. 이렇게 우수한 조선소는 주변 나라들에 널리 수출됐으며 그 나라의재래종을 개량하기 위한 원종으로 이용됐다.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으며 조선의 항구가 개항되자 조선소는 일본의 주요 수탈 자원으로 부상하게 된다.
당시 일본은 농촌 생산력 유지를 위해 농업용으로 조선소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한편 근대산업육성과 군대 서구화를 추진하며 생우 수요가 급증했다.그런데 함경도 지역은 지극히 예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함경북도의 지리적·정치적 특징과도 연관이 깊다. 우선 지리적으로 추운 기후 탓에 논농사가 발달하지 못했던 반면 임야가 많아 소의 방목형 사육이 가능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따라서 인구 대비 공급량이 비교적 풍부했던 소를 부족한 식량으로 교환하는 생활양식이 발달했다. 정치적인 특징으로는 러시아와의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1860년대에 들어서 연해주 지역까지 세력을 넓히며 조선과 국경을 맞대게 된 러시아는 조선소에 대한 수요가 매우 컸다.
극동 지역 러시아군 주둔을 위한 식량 자급이 여의치 않았던 상황에서 조선소는 없어서는 안 될귀중한 군수 보급 자원이었기 때문이다.일본으로 수출되던 조선소는 일본 농촌의 부족한 노동력을 대체하는 일소의 역할을 했고, 같은 시기 러시아로 수출되던 조선소는 러시아 군대의 식량으로 공급됐다.
일본으로 수출되던 소들은 수출 전초기지였던 부산을 중심으로 수집된 남쪽의 소였고, 러시아로 수출되 던 소들은 함경도 지역에서 주로 키우던 소였다.
[조선 후기까지 다양한 한우 존재해]
조선 남쪽의 소들은 체격이 북쪽 소들과 비교하면 외형도 작았고 성질도 온순한 편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경상도 한우, 전라도 한우, 경기도 한우, 강원도 한우가 쉽게 구별되지 않으나 조선 후기까지도 확실히 지역 간 한우는 체형도 성질도 달랐다. 아마 모색도 상당히 다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100년 전까지만 해도 확실히 지역적 특성이있고 차별화된 한우가 단 하나의 품종으로 통일된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볼 시기가 됐다.
일본은 1938년 조선소에 새로운 표준법을 제정한다.‘일본 흑일매(黑一枚) 한국 적일매(赤一枚)’ 일본 소는흑색을 표준으로 하고 조선소는 적갈색을 표준으로 한다는 모색 통일 심사 표준법을 발표한다(동아일보1938년 12월 21일).
일본은 현마다 자체 개량을 통해 지금 약 161종의 다양한 화우 품종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흑우·칡소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황색 한우 한 품종으로통일돼 있다. 일본의 화우 수보다 한국의 한우 수가 많은 현실이지만 우리 한우산업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압축 성장을 위해 재벌에 집중했던 산업 정책처럼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품종의 다양성보다 생산기술의통일로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한 포드의 T-1 자동차 같은 마켓 1.0 시대의 한우 정책이 그간 통했다.
이제 한우 300만 마리 시대를 지속해 가려면 한우의통일적 개량보다는 지역 특색을 감안한 다양성을 추구해야 할 때다.
마켓 4.0 시대다.
백 년 전 한우는 일본 화우보다 훨씬 다양한 지역적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제 일본 화우를 넘어서야한다. 한우의 지역적 차별화는 엄청난 마케팅 자원이될 수 있다.
'미트마케터 김태경박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민족과 개고기 (0) | 2025.01.23 |
---|---|
야생동물 (0) | 2025.01.23 |
재래 돼지 (0) | 2025.01.23 |
한우와 물소 (0) | 2025.01.23 |
현방과 저육전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