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일본 돼지고기 시장 분석

by Meat marketer 2025. 3. 5.
반응형

일본 돼지고기 시장 분

 

 

현황 분석 (現状分析)


1. 소비 (消費)

  • 추정 유통량 중 국산 제품이 약 50%를 차지하며 유지되고 있음.
  • 1인당 소비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의 생활 방어 의식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돼지고기 및 닭고기로 소비가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남.

2. 수입 (輸入)

  • 주요 수입국인 미국, EU 등에서의 수입 가격 상승이 발생.
  • 최근 수입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3. 수출 (輸出)

  • 쇠고기는 「농림수산물·식품의 수출 확대 전략」에서 중요한 수출 품목으로 지정됨.
  • 호주·일본에서의 인증 제도 도입, 현지 프로모션, 프리미엄 시장 개척,
    슬라이스육, 가공육 등의 신제품 개발 및 수출 확대, 식육 가공 시설의 수출 인증 강화 등의 노력이 진행됨.
  •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수출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돼지고기(豚肉) 수출은 돼지열병(CSF)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는 사실상 홋카이도 지역만 가능한 상태.

4. 생산 (生産)

  • 국내 생산량은 최근 90만 톤 이상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공급됨.
  • 그러나 사료비 상승, 환율 변동, 국제 곡물 시장의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생산 비용이 상승하여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 사료비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노동력 부족 또한 심각한 문제로 떠오름.
  • SDGs(지속가능 발전 목표) 대응 및 아미멀 웰페어(Animal Welfare)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 증가.

5. 가공·유통 (加工・流通)

  • 식육 가공 시설의 노동력 부족 및 노후화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가공·유통 부문의 현대화 및 인프라 정비가 필요한 상황.

🔍 시사점

  1. 소비 변화
    • 상대적으로 저렴한 돼지고기, 닭고기로 소비가 이동하는 트렌드 속에서 국산 쇠고기의 경쟁력 강화 필요.
  2. 수출 확대
    • 일본, 호주와 같은 주요 시장에서 프리미엄 전략과 프로모션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돼지고기 수출은 현재 홋카이도로 제한되어 있어, CSF(돼지열병) 방역 강화와 수출 가능 지역 확대 필요.
  3. 생산 과제
    • 사료비 절감 및 생산 효율성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
    • 노동력 부족 해결 및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 구축 필요.
    • SDGs 및 아미멀 웰페어 대응을 위한 개선안 마련.
  4. 가공·유통 혁신
    • 노후화된 식육 가공 시설의 현대화 및 노동력 확보 대책 마련이 필수적.
    • 가공·유통 부문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투자 필요.
  5.  

 

소비량 추이 분석 (부분육 기준, 서기 연도 적용)

1. 소비량 변화 분석

  • 전체 소비량(합계)은 2013년~2023년(1673천 톤) 동안 동일하게 유지됨.
  • 국산 소비량: 2013년 918천 톤 → 2023년 904천 톤, 비교적 일정한 수준 유지.
  • 수입 소비량: 2013년 755천 톤 → 2023년 938천 톤, 꾸준히 증가.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수입육 소비 증가: 2013년 이후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국산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
  • 국산육 소비 안정적 유지: 연평균 900천 톤 내외로 변동 폭이 크지 않음.
  • 수입 증가 이유 분석 필요: 가격 경쟁력, 소비자 선호 변화, 글로벌 공급망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음.

3. 향후 고려 사항

  • 국산 쇠고기의 경쟁력 강화: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 필요.
  • 소비자 트렌드 분석: 수입육 선호 증가 원인 파악 및 국산육의 마케팅 전략 조정.
  • 수입육 의존도 관리: 글로벌 시장 변동성 대응 필요.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 추이 분석 (일본, 정육 기준, 서기 연도 적용)

1. 소비량 변화 분석

  • 2013~2014년: 1인당 소비량 11.8kg으로 유지.
  • 2015년 이후 지속 증가:
    • 2015년 12.2kg, 2016년 12.4kg, 2017년 12.7kg
    • 2018~2019년 12.8kg → 2020년 12.9kg
    • 2021년 13.2kg으로 최고치 기록
    • 이후 2022~2023년 13.1kg로 소폭 감소.

2. 일본 돼지고기 소비 특징

  1. 돼지고기 소비 증가
    • 일본에서 돼지고기는 가장 많이 소비되는 육류 중 하나로, 최근까지 1인당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2. 소비 패턴
    • 가정 내 소비 비중이 높음: 가정식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돈카츠(とんかつ), 샤브샤브(しゃぶしゃぶ), 생강구이(豚の生姜焼き) 등의 요리에 널리 사용됨.
    • 외식 소비도 안정적: 라멘 토핑(차슈, チャーシュー), 규동 체인점에서 돼지고기를 활용한 메뉴 증가.
    • 부위별 소비 차이: 일본에서는 삼겹살보다 등심, 안심, 뒷다리살 소비가 높음.
  3. 국산과 수입산 비율 변화
    • 일본 내 돼지고기 소비량 증가의 상당 부분이 수입 돼지고기 증가에 기인함.
    • 국산 돼지고기는 자급률이 약 50% 내외, 나머지는 미국, 캐나다, 스페인 등지에서 수입.
    • 최근 유럽산 돼지고기(특히 스페인산)의 점유율 상승.
  4. 가격 및 경제적 요인
    • 일본의 경제 상황이 돼지고기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침.
    • 쇠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경기 침체 시기에 소비 증가.

3. 향후 고려 사항

  • 돼지고기 소비 정체 원인 분석
    • 최근 2년간 소비량(13.1kg)이 정체된 원인이 경기 둔화, 물가 상승, 대체육 소비 증가 등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 필요.
  • 수입 돼지고기와 국산 돼지고기의 경쟁 구도
    • 일본 소비자들이 국산 돼지고기와 수입 돼지고기를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지 조사 필요.
    • 일본 내 브랜드 돼지고기(如水ポーク, かごしま黒豚 등)의 시장 점유율 변화 분석.
  • 건강 트렌드 및 소비자 기호 변화
    • 지방 함량이 낮은 부위를 선호하는 일본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안심(ヒレ), 등심(ロース) 등의 소비가 증가할 가능성.
    • 일본 내 웰빙 트렌드 및 고단백 식단 선호가 돼지고기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필요.

결론

  • 일본의 돼지고기 소비량은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최근 2년간 정체.
  • 가정 내 소비 중심, 등심·안심 부위 선호, 수입산 점유율 증가 등의 특징이 있음.
  • 향후 일본 소비자들의 건강 트렌드 변화, 수입산과 국산산 경쟁 구도, 경기 변동이 돼지고기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해야 함.

 

 

일본 돼지고기 생산량 추이 분석 (부분육 기준, 서기 연도 적용)

1. 생산량 변화 분석

  • 2013년(917천 톤) → 2014년(875천 톤): 급격한 감소
  • 2015년 이후 서서히 회복:
    • 2015년 888천 톤, 2016년 894천 톤, 2017년 890천 톤
  • 2018년부터 지속 증가:
    • 2018년 897천 톤, 2019년 903천 톤, 2020년 917천 톤, 2021년 923천 톤
  • 2022년(901천 톤) 급감 후, 2023년(909천 톤) 소폭 회복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1. 2013~2014년 생산량 감소 원인
    • 국제 곡물 가격 상승 → 사료비 부담 증가 → 생산 감소
    • 일본 내 양돈업 구조조정 및 생산 효율성 개선 노력
  2. 2015년 이후 회복세
    • 사료비 안정화, 일본산 돼지고기 브랜드화 정책 등의 영향
    • 육질 개선 및 고급화 전략으로 소비자 수요 증가
  3. 2021년 최고치(923천 톤) 이후 하락
    • 2022년(901천 톤) 감소 원인 분석 필요:
      • 일본 내 소비 둔화?
      •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문제?
      • 수입산 돼지고기와의 경쟁 심화?

3. 향후 고려 사항

  • 생산량 증가세 유지 여부 분석
    • 최근 2년간 하락세가 일시적 현상인지, 지속적인 경향인지 분석 필요
  • 수입 돼지고기와의 경쟁 분석
    • 일본 소비자들이 국산과 수입산을 선택하는 기준 변화 여부 조사
  • 사료비 및 생산 비용 관리
    • 글로벌 사료 가격 변동성이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예측 필요

결론

  • 일본 돼지고기 생산량은 2014년 급감 이후 회복했지만, 최근(2022~2023년) 다시 하락세.
  • 생산 비용, 수입산과의 경쟁, 소비 트렌드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할 시점

 

일본 돼지고기 산업 분석 – 국내 식량 공급 (豚肉)


1. 현재 동향 (すう勢)

○ 소비 (消費)

  • 1인당 소비량은 소폭 증가하지만, 인구 감소로 인해 국내 소비 구조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인구 감소가 장기적으로 돼지고기 소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생산 (生産)

  • 국내 수요에 따라 사육 두수가 감소하고 있어, 국내 생산량도 서서히 감소할 전망.
  • 일본 내 돼지고기 자급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

2. 극복해야 할 과제 (克服すべき課題)

○ 소비 (消費)

  • 국내 소비에서 국산 돼지고기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
  • 수입산과 차별화할 수 있는 국산 돼지고기 브랜드 전략 필요.

○ 수출 (輸出)

  • 수출 시장 개척 및 수출 대상국의 니즈에 맞는 생산·수출 시스템 구축.
  • 돼지고기 수출 확대를 위한 위생 기준 강화 및 물류 체계 정비 필요.

○ 생산 (生産)

  • 수입산 돼지고기와 경쟁하기 위해 생산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노동 부담 경감 필요.
  • 아니멀 웰페어(Animal Welfare) 기준을 고려한 사육 관리 시행 필요.
  • 지속 가능한 돼지고기 생산 체계를 구축해야 함.

○ 가공·유통 (加工・流通)

  • 식육 가공 시설의 노후화, 가동률 저하,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필요.
  • 가공·유통 단계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 마련.

3. 검토해야 할 관점 (検討の視点)

○ 소비 (消費)

  • 국산 돼지고기의 차별화 및 브랜드화,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판매 전략 필요.
  •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수용할 수 있는 유통·마케팅 전략 마련.

○ 수출 (輸出)

  • 수출 확대를 위해 돼지고기 위생 기준 강화 및 수출 대상국별 맞춤형 전략 필요.
  • 기존 유통망 확장 및 새로운 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유통 구조 개선 필요.
  • 가공·물류 시스템을 수출 특화형으로 개선하는 전략 고려.

○ 생산 (生産)

  • 생산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경제 경영 분석 시스템 도입 필요.
    • 예) 벤치마킹(Benchmarking), 올-인·올-아웃 시스템 도입, 사육 효율 데이터 분석 강화
  • 우량 종돈 육성, 노동력 부담 경감, 환경 대응 설비 도입 필요.
  • 아니멀 웰페어 관련 정책 강화가 요구됨.

○ 가공·유통 (加工・流通)

  • 효율적인 돼지고기 가공·유통 시스템 구축 필요.
  • 가공·유통 시설의 현대화 및 생산성 향상 필요.

4. 시사점

  1. 소비 패턴 변화 대응
    • 국산 돼지고기의 브랜드화가 핵심 전략이 될 것.
    • 인구 감소 속에서도 고품질 및 차별화된 돼지고기 시장 창출 필요.
  2. 수출 확대 전략
    •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위생 기준 강화, 물류 개선, 해외 마케팅 전략 수립 필요.
    • 일본산 돼지고기의 해외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차별화 전략 필요.
  3. 생산성 향상 및 지속 가능성 확보
    • 생산 비용 절감, 노동력 부족 해결, 환경 대응 설비 구축 등 생산 구조 개혁 필요.
    • SDGs 및 아니멀 웰페어 대응 강화 필요.
  4. 가공 및 유통 혁신
    • 식육 가공 시설 개선 및 자동화, 노동력 부족 해결 대책 마련.
    • 수출에 적합한 물류 시스템 구축 필요.

결론

  • 일본 돼지고기 산업은 국내 소비 감소, 생산량 감소, 수출 확대 가능성 등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음.
  • 브랜드화, 생산성 향상, 수출 전략 수립, 유통 혁신이 향후 핵심 과제.

241120-13.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