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의 닭고기 시장 분석
현황 분석 (現状分析) – 일본 가금육 산업
1. 소비 (消費)
- 국내 소비량의 2/3는 국산 닭고기, 1/3은 수입산으로 유지됨.
- 1인당 소비량은 증가하는 경향:
-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의 생활 방어 의식이 높아지면서, 소비가 쇠고기·돼지고기에서 닭고기로 이동하는 현상 발생.
- 건강 지향 소비 증가로 인해 닭고기 소비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
- 수입산 닭고기 공급 동향:
- 주요 수입국(브라질 등)에서 생산 비용 증가 및 물류비 상승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함.
- 인플루엔자(조류독감) 확산으로 인해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음.
- 일부 국가에서는 수입 중단 조치가 발생하여, 공급망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2. 수출 (輸出)
- 닭고기는 「농림수산물·식품 수출 확대 전략」의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로 선정됨.
- 일본 정부는 네덜란드, 홍콩 등의 주요 시장에서 일본산 닭고기 브랜드화 및 마케팅 활동 강화.
- 식육·가공육 수출 확대를 위해 수출용 생산 시설 및 가공 설비 정비를 추진 중.
- 국제 질병(조류독감) 확산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 수출 대상국의 검역 기준이 강화되면서 일본산 닭고기 수출이 제한되는 경우 발생.
- 2022년(18개 현) 및 2023~2024년(26개 현)에서 조류독감 발생으로 인해 일본산 닭고기 수출이 일부 제한됨.
- 일본은 조류독감 발생 시, 감염 지역이 아닌 지역에서도 수출 제한 조치를 받는 경우가 많아 영향이 큼.
- 대응 전략:
- 홍콩, 싱가포르 등 가금육 주요 수출국과의 협력 강화.
- HACCP 인증 등 위생 기준 충족 및 검역 기준 대응 필요.
- 가금육 가공 제품(훈제, 조리육 등) 수출 확대 추진.
3. 생산 (生産)
- 닭고기 소비량 증가에 맞춰 국내 생산량 증가 필요:
- 건강 트렌드, 경제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국내 닭고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육계(브로일러) 사육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
- 사육 효율성 및 생산 비용 증가 문제:
- 사육 비용 증가 → 생산 비용 상승 압박.
-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료 효율 개선, 사육 시스템 개량 등 필요.
- 산란계(알을 낳는 닭)의 도태 증가:
- 일본에서는 연간 약 50만 톤 이상이 산란계를 도축하여 소비.
- 산란계 육류 소비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이에 대한 수급 안정이 필요.
- 노동력 부족 문제:
- 생산·도축·유통 과정에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
- 외국인 노동자 활용, 자동화 설비 확대 등의 대응 필요.
- 동물복지(아니멀 웰페어) 대응 필요:
- 국제 기준에 맞춘 동물복지 사육 및 생산 시스템 개선 필요.
- 주요 수출국에서 아니멀 웰페어 규제 강화 움직임에 대응할 필요가 있음.
4. 가공·유통 (加工・流通)
- 국내산 닭고기의 약 90%가 대기업에 의해 일괄 생산·가공·유통됨.
- 일본 가금육 산업은 대형 인테그레이션(수직 계열화) 시스템이 자리 잡고 있음.
-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유통 및 가공 효율성 개선이 주요 과제가 됨.
5.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소비 동향 변화 대응
- 닭고기 소비 증가 지속 전망 → 생산량 및 유통 효율성 개선 필요.
- 수입산 닭고기 의존도를 고려한 안정적 공급망 구축 필요.
- 수출 시장 확대 전략
- 조류독감 발생 시 수출이 중단되는 문제 해결 필요 (지역 제한 방식 도입 검토).
- HACCP, 위생 기준 강화 및 일본산 닭고기 브랜드화 필요.
- 가공 제품(훈제육, 가공육 등) 수출 비중 확대 고려.
- 생산성 향상 및 지속 가능성 확보
- 생산 비용 절감 및 노동력 부족 해결 필요.
- SDGs 및 동물복지(아니멀 웰페어) 대응 강화 필요.
- 가공 및 유통 혁신
- 가공·유통 시스템 효율화 및 자동화 설비 확대 필요.
- 일본 내 수직 계열화 구조의 지속 가능성 검토 필요.
결론
- 일본 닭고기 산업은 소비 증가, 생산 비용 상승, 노동력 부족, 조류독감 리스크, 수출 확대 가능성 등의 다양한 도전에 직면.
- 국내 생산력 강화, 수입 안정성 확보, 가공·유통 시스템 개선, 수출 전략 정비가 핵심 과제.
- 지속 가능한 닭고기 산업을 위한 구조 개혁 및 환경 규제 대응이 필요함
일본 닭고기 공급량 추이 분석 (조리 가공품 포함, 서기 연도 적용)
1. 공급량 변화 분석
- 2013년(2195천 톤) → 2023년(2600천 톤):
- 10년간 총 공급량 405천 톤 증가(약 18.5% 상승).
- 국산 닭고기 공급 증가:
- 2013년 1450천 톤 → 2023년 1686천 톤, 꾸준히 증가.
- 수입 닭고기 증가:
- 2013년 717천 톤 → 2023년 914천 톤, 증가 추세 유지.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닭고기 소비 증가에 따른 공급 확대
- 일본 내 가금육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생산 및 수입량 모두 증가하는 추세.
- 건강 지향 소비 트렌드와 가격 경쟁력으로 닭고기가 주요 육류 소비원으로 자리 잡음.
- 국산 닭고기 생산 증가 지속
- 일본 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산 닭고기의 비율도 유지됨.
- 일본 내 닭고기 시장에서 국산과 수입산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음.
- 수입 닭고기 변동
- 수입 닭고기는 일부 변동성이 있음.
- 2020년(859천 톤)까지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
- 조류독감(Avian Influenza) 발생 여부, 글로벌 물류 비용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음.
3. 향후 고려 사항
- 닭고기 소비 지속 증가 여부 분석
- 일본 내 인구 감소 속에서도 닭고기 소비 증가가 지속될지 여부 모니터링 필요.
- 국산과 수입산 닭고기의 경쟁력 분석
- 가격, 품질, 브랜드 마케팅 등에서 국산 닭고기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평가 필요.
- 수입 공급망 안정성 확보
- 조류독감, 물류비 상승 등의 외부 요인이 일본 내 닭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전략 필요.
결론
- 일본 닭고기 시장은 국내 생산과 수입이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성장 중.
- 소비 증가에 맞춰 국산 닭고기 생산을 확대하는 전략 필요.
- 수입산 닭고기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공급 안정화 방안 검토 필수.
일본 1인당 닭고기 소비량 추이 분석 (서기 연도 적용)
1. 소비량 변화 분석
- 2014년(12.2kg) → 2023년(14.4kg)
- 9년간 2.2kg 증가 (약 18% 상승).
- 꾸준한 증가세 유지
- 2014~2019년 매년 증가.
- 2020~2021년 소비량 13.9kg으로 정체.
- 2022년 14.6kg으로 최고치 기록 후, 2023년 14.4kg로 소폭 감소.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닭고기 소비 증가 지속
- 건강 트렌드 확산 → 저지방·고단백 식품으로 소비 증가.
- 경제적 요인 → 쇠고기·돼지고기 대비 가격 경쟁력으로 소비 상승.
- 2022년 이후 소비 감소 요인 분석 필요
- 경제 불확실성, 물가 상승, 식품 가격 변동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있음.
- 외식산업 변화 및 가정 내 소비 패턴 변화 분석 필요.
3. 향후 고려 사항
- 닭고기 소비 증가 지속 여부 분석
- 2023년 소비 감소가 일시적인지, 장기적인 변화인지 검토 필요.
- 국내 생산과 수입산 닭고기의 영향 분석
- 일본 내 생산 증가 vs. 수입 닭고기의 비율 변화 모니터링.
- 경제적 요인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기 침체 시 소비자의 닭고기 선호도가 지속될지 확인 필요.
결론
- 일본에서 닭고기 소비는 장기적으로 증가했으나, 최근 정체 현상.
- 건강 트렌드와 경제적 요인이 소비 증가를 뒷받침하고 있음.
- 향후 소비 트렌드 변화 및 경제적 영향 분석 필요.
일본 닭고기 생산량 추이 분석 (부분육 기준, 서기 연도 적용)
1. 생산량 변화 분석
- 2013년(1459천 톤) → 2023년(1690천 톤)
- 10년간 약 231천 톤 증가 (약 15.8% 상승).
- 꾸준한 증가세 유지
- 매년 지속적으로 생산량 증가.
- 2021년 이후 증가 속도 둔화 → 2022~2023년 거의 정체.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닭고기 소비 증가에 따른 생산 확대
- 일본 내 가금육 소비 증가에 맞춰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증가.
- 국산 닭고기의 자급률 유지를 위한 생산량 증가 전략 유지.
- 생산 증가 둔화 원인 분석 필요
- 2022년 이후 증가 속도 둔화 → 생산 비용 증가, 사료비 상승, 노동력 부족 등의 영향 가능성.
- 닭고기 생산 효율성 개선 및 사료비 절감 방안 검토 필요.
- 조류독감(Avian Influenza) 리스크
- 일본 내 조류독감 발생 여부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음.
- 사육 환경 개선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 필요.
3. 향후 고려 사항
- 닭고기 생산 증가 지속 여부 분석
- 향후 닭고기 생산량이 계속 증가할 것인지, 현재 수준에서 정체될 것인지 분석 필요.
- 생산 비용 절감 및 사육 효율 개선 필요
- 사료비 상승 및 노동력 부족 문제가 지속될 경우 생산성 저하 우려.
- 국내 생산과 수입산 닭고기의 영향 분석
- 일본 내 생산 증가가 수입산 닭고기의 점유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모니터링.
결론
- 일본 닭고기 생산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최근 성장 속도가 둔화.
- 생산 비용 절감 및 사육 효율성 개선을 위한 대응 필요.
- 조류독감 등 생산 리스크 관리 및 지속적인 공급 안정화 전략이 중요.
일본 닭고기 1마리당 출하 체중 추이 분석 (서기 연도 적용)
1. 출하 체중 변화 분석
- 2013년(2.91kg) → 2023년(3.02kg)
- 10년간 약 0.11kg 증가 (약 3.8% 상승).
- 꾸준한 증가세 유지
- 2013~2017년까지 서서히 증가.
- 2017년 3.00kg 도달 후, 2018년 2.98kg로 소폭 하락.
- 2019~2021년 2.99kg 유지 후, 2022년 3.03kg으로 최고치 기록.
- 2023년(3.02kg)로 소폭 감소하여 정체 상태.
2.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출하 체중 증가 요인
- 일본 닭고기 산업에서 생산성 향상 및 사육 기술 개선으로 체중 증가.
- 사료 효율 개선, 성장기 관리 최적화 등으로 인해 출하 시 체중 증가.
- 최근 체중 증가 둔화 원인 분석 필요
- 2022년 3.03kg으로 최고치 기록 후, 2023년 3.02kg로 소폭 감소.
- 사료비 상승, 사육 환경 변화, 조류독감 등의 요인 분석 필요.
3. 향후 고려 사항
- 출하 체중 증가 지속 여부 분석
- 최근 3.02~3.03kg 수준에서 정체, 추가적인 체중 증가 가능성 평가 필요.
- 사료 효율 및 사육 환경 변화 분석
- 사료비 인상과 환경 변화(기온 상승, 질병 리스크 등)가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 검토 필요.
- 출하 체중과 소비자 선호 관계 분석
- 일본 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닭고기 부위 및 크기 변화 파악 필요.
결론
- 일본 닭고기 출하 체중은 장기적으로 증가했으나, 최근 3년간 정체 상태.
- 사료비 절감, 생산성 향상, 소비자 선호 변화 분석이 필요.
- 향후 생산 전략 및 시장 대응 방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함.
일본 닭고기 산업 분석 – 국내 식량 공급 (鶏肉, 가금육)
1. 현재 동향 (すう勢)
○ 소비 (消費)
-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소폭 증가.
- 국내 닭고기 소비량은 대체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전망.
○ 생산 (生産)
- 닭 한 마리당 생산량 증가로 인해 사육 두수는 감소할 가능성 있음.
- 하지만, 국내 닭고기 총생산량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2. 극복해야 할 과제 (克服すべき課題)
○ 소비 (消費)
- 외식업·가공 산업에서 국산 닭고기의 활용 확대 필요.
- 수입산 닭고기와의 차별화를 위한 전략 마련 필요.
○ 수출 (輸出)
- 수출 대상국 개척 및 맞춤형 생산·수출 시스템 구축 필요.
- 일본산 닭고기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출전략 강화.
○ 생산 (生産)
- 사료비가 경영비의 50% 이상 차지 → 생산 비용 절감 필요.
- 고병원성 조류독감(AI) 등 질병 예방이 중요.
- 출하 시 위생 관리 과정에서 노동력 부담 완화 및 인력 확보 문제 해결 필요.
- 아니멀 웰페어(Animal Welfare) 대응을 위한 사육 환경 개선 필요.
○ 가공·유통 (加工・流通)
- 식육 가공 시설 가동률 향상 필요.
- 가공·유통 구조 효율화를 통해 국산 닭고기의 경쟁력 강화 필요.
3. 검토해야 할 관점 (検討の視点)
○ 소비 (消費)
- 닭고기의 기능성 및 다양한 소비 패턴을 고려한 신규 시장 개척 필요.
- 가정 내 조리, 가공식품, 외식 시장에서 국산 닭고기의 포지셔닝 전략 강화.
○ 수출 (輸出)
- 수출 확대를 위해 새로운 유통 구조 구축 필요.
- 기존 유통망을 확장하고, 가공 제품의 수출도 고려해야 함.
○ 생산 (生産)
- 생산 비용 절감 및 질병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 기술 향상 필요.
- 시설 개선 및 자동화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 향상 고려.
- 아니멀 웰페어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지속적인 사육 환경 개선 필요.
○ 가공·유통 (加工・流通)
- 식육 가공 공장의 자동화 및 생산 효율 개선 필요.
- 국내산 닭고기 가공·유통 구조의 최적화 및 경쟁력 강화 필요.
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소비 트렌드 변화 대응
- 일본 내 닭고기 소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만큼, 국산 닭고기의 차별화 전략 필요.
- 가공·외식 산업에서 국산 닭고기의 점유율을 확대할 방안 검토 필요.
- 수출 시장 확대 전략
- 일본산 닭고기의 수출 확대를 위해 위생 기준 충족, 물류 개선, 해외 마케팅 전략 수립 필요.
- 가공 제품 수출 비중 확대 고려.
- 생산성 향상 및 지속 가능성 확보
- 생산 비용 절감 및 노동력 부족 해결 필요.
- 사료비 절감, 아니멀 웰페어 대응 등 지속 가능한 사육 모델 구축 필요.
- 가공 및 유통 혁신
- 식육 가공 시설의 현대화 및 생산성 향상 필요.
- 수출을 위한 가공·유통 인프라 정비 필요.
결론
- 일본 닭고기 산업은 소비 안정, 생산 비용 증가, 수출 확대 가능성 등의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음.
- 차별화된 국산 닭고기 브랜드 전략, 생산 비용 절감, 수출 전략 수립, 유통 혁신이 향후 핵심 과제.
- 지속 가능한 닭고기 산업을 위한 구조 개혁 및 환경 규제 대응이 필요함.
241120-13.pdf
반응형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의 쇠고기 구매 패턴과 그 요인 (0) | 2025.03.05 |
---|---|
와규 시장 규모, 점유율 및 산업 분석, 유형별(순혈, 순종, 교배종), 유통 채널별(외식, 오프라인 소매, 온라인 소매), 지역별 2025-2032년 예측 (2) | 2025.03.05 |
일본 돼지고기 시장 분석 (0) | 2025.03.05 |
일본 소고기 소비 동향 (0) | 2025.03.05 |
2024-2026년 산업 전망: 냉장, 냉동 및 가공 닭고기 산업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