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를 위한 케어 혁신
Care Innovations for Aging Societies
전 세계 많은 인구 집단에서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1. 이는 출산율이 감소하면서 사회 내 평균 연령이 높아지고, 고령 인구가 젊은 인구보다 많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1.
인구 집단이 변화함에 따라, 그 요구 사항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많은 노인학 연구는 예방적 개입과 기술 혁신을 통해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2,3.

인구 통계학적 변화: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되는 인구
국제 인구 추정에 따르면 80세 이상 인구는 205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하여 1억 2,650만 명에서 4억 4,660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세계보건기구(WHO)는 80세 이상의 사람들을 “가장 나이 많은 노인”으로 간주합니다. 이 그룹은 건강하게 노화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특별한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4 이 연령대에서는 다중 질환이 흔하며, 이는 의료 기관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5 예를 들어, 다중 질환이 있는 경우 입원 및 재입원 횟수와 입원 기간이 늘어납니다. 5
노인들의 자립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
사회적 혁신과 기술적 혁신은 모두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6,7 이것은 개별적인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더 넓은 사회 보건 의료 환경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6
시니어 리빙 랩(Senior Living Lab)은 스위스에 기반을 둔 연구 허브로, 가정에서의 혁신과 고령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7 이 연구소의 다학제적 연구는 가정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세 가지 영역을 확인했습니다.
-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이동성
- 표적 영양;
- 고립을 줄이기 위한 소통과 공동체.
이 그룹은 노인들을 위한 적절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개인의 행동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아야 합니다.7
노인을 위한 기술 혁신
기술 혁신에는 새로운 도구를 설계하거나 개발하는 것과 개인의 접근 요구에 더 잘 맞도록 기존 기술을 조정하는 것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8
노인의 건강을 지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범위는 이 특정 집단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도구부터 더 광범위한 청중을 대상으로 판매되는 도구까지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장치와 가상 비서와 같은 스마트 홈 기술은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9
일부 연구에 따르면, 특히 자신의 환경에 잘 통합되어 있다면, 노년층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가정에서 사용하고 싶어 하고, 실제로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합니다.10 스마트 홈 기술은 이러한 이유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노인 케어에 있어서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의 역할
로봇은 특히 노인 정신과에서 유용한 보조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11 2021년에 수행된 문헌 검토에 따르면, 보조 로봇은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이 만연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치료를 제공하는 데 특별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11 동반자 관계, 정신 자극, 인지 능력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자율 사회 로봇은 노인 정신과 치료에 특별한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12
일부 연구자들은 돌봄 로봇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로봇의 디자인이 개인화될 수 있는 정도가 제한적이어서 돌봄의 뉘앙스와 환자의 사례를 전체적으로 고려하는 능력이 제한적입니다.13
노인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사용에 대한 연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의 격차가 큽니다.14
이 때문에 고령화 사회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의 정확한 역할은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치매 환자 지원에 도움이 되는 도구일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치매는 고령자에게서 더 흔하게 진단되는 증후군입니다.15 예를 들어, 딥러닝 네트워크는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를 식별하는 데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5
고령화 사회를 위한 정책과 인프라
스칸디나비아, 북미, 영국 등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보건 및 사회 복지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의 사용과 보급을 조사했습니다.6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관련 정책은 같은 속도로 변화하지 않고 있습니다.6

공공 정책은 혁신적인 기술이 접근 가능하고 널리 보급되도록 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6. 특히, 의료 또는 사회 복지 시설과 같은 체계적인 수준에서 기술을 보급하는 것은 어려운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16.
e헬스 정책과 같은 디지털 전략은 고령 인구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17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는 모두 고령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에 디지털화를 통합하고 있습니다.18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는 고령 환자가 참여하지 않아 이러한 서비스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있습니다.18 고령 인구를 위한 디지털 의료 정책의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려면 이러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효과적으로 구현되어야 합니다.
노인 케어 혁신의 윤리적 고려 사항
자율성과 존엄성을 유지하는 것은 노인 의료 서비스의 발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18,19 이러한 고려 사항을 보장하는 데 있어, 사람들의 필요를 고려하고 그들의 경험에 집중하는 것이 근본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0
혁신에 관한 지속적인 논쟁은 이러한 도구의 대상이 누구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윤리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1
이러한 관점은 프로토타이핑 및 테스트 단계와 같은 기술의 설계 및 개발의 각 단계에 사용자(이 경우, 고령 인구)를 통합합니다. 10
노인 케어 혁신의 미래 방향
인구 고령화는 특히 예측과 추세가 지속될 경우, 케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12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및 기술 혁신은 계속해서 성장하여 이러한 인구 통계를 보다 적절하게 지원하기 위한 건강 및 사회 케어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22
기술 혁신의 일부 분야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했는데,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의 활용과 관련하여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로봇에 대한 연구는 유망한 것으로 보이지만, 2000년대와 2010년대에 들어서야 주목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고령자의 건강 상태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의 잠재력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12
노인 돌봄이 변화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현대 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의 보급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22 기술 사용에 있어 세대 간의 차이를 강조하는 디지털 격차는 교육, 시간, 접근성 향상으로 완화될 수 있습니다. 23,24 이러한 격차가 줄어들면 기술을 노인 의료 서비스에 보다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습니다.
결론
노인 연구와 혁신의 인기 있는 목표는 개인이 원하는 대로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노인이 집에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에게도 바람직합니다.
기술적 혁신과 사회 혁신은 모두 고령 인구의 생활 여건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것 외에도 노인 케어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근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여, 가장 많은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 중 일부가 필요한 것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 He, W., Goodkind, D., & Kowal, P. R. (2016). An Aging World: 2015. https://www.census.gov/content/dam/Census/library/publications/2016/demo/p95-16-1.pdf
- Escourrou, E., Durrieu, F., Chicoulaa, B., Dupouy, J., Oustric, S., Andrieu, S., & Gardette, V. (2020). Cognitive, functional, physical,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st old encountered in primary care: a systematic review. BMC Family Practice, 21(1), 1-1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099824/
- Gao, W., Chen, Y., Xu, S., Lyulyov, O., & Pimonenko, T. (2023). The Role of Population Aging in High-Quality Economic Development: Medi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AGE Open, 13(4), 21582440231202385. https://journals.sagepub.com/doi/full/10.1177/21582440231202385
- McMaughan, D. J., Oloruntoba, O., & Smith, M. L. (2020). Socioeconomic status and access to healthcare: interrelated drivers for healthy aging. Frontiers in public health, 8, 23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14918/
- Kingston, A., Robinson, L., Booth, H., Knapp, M., Jagger, C., & Modem Project. (2018). Projections of multi-morbidity in the older population in England to 2035: estimates from the Population Ageing and Care Simulation (PACSim) model. Age and ageing, 47(3), 374-380. https://pubmed.ncbi.nlm.nih.gov/29370339/
- Berridge, C., Furseth, P. I., Cuthbertson, R., & Demello, S. (2014). Technology-based innovation for independent living: policy and innovation in the United Kingdom, Scandinavi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26(3), 213-228. https://pubmed.ncbi.nlm.nih.gov/24716894/
- Angelini, L., Carrino, S., Abou Khaled, O., Riva-Mossman, S., & Mugellini, E. (2016). Senior living lab: An ecological approach to foster social innovation in an ageing society. Future Internet, 8(4), 50. https://www.mdpi.com/1999-5903/8/4/50
- Shute, V. J., & Zapata‐Rivera, D. (2007). Adaptive technologies. ETS Research Report Series, 2007(1), i-34.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j.2333-8504.2007.tb02047.x
- Corbett, C. F., Wright, P. J., Jones, K., & Parmer, M. (2021). Voice-activated virtual home assistant use and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mini review. Frontiers in Public Health, 9, 742012.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ublic-health/articles/10.3389/fpubh.2021.742012/full
- Wilkowska, W., Brauner, P., & Ziefle, M. (2018). Rethink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older adults: A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duty. Aging, Technology and Health (pp. 1-30). Academic Press. https://psycnet.apa.org/record/2018-00762-001
- Kulpa, E., Rahman, A. T., & Vahia, I. V. (2021). Approaches to assessing the impact of robotics in geriatric mental health care: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33(4), 424-434. https://psycnet.apa.org/record/2021-11611-001
- Sekhon, H., Cray, H. V., & Vahia, I. V. (2022). Robots in Geriatric Mental Health: Pipe Dream or Viable Solution?.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0(2), 246-248. https://pubmed.ncbi.nlm.nih.gov/34593303/
- Maibaum, A., Bischof, A., Hergesell, J., & Lipp, B. (2022). A critique of robotics in health care. AI & Society, 1-1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46-021-01206-z
- Chowdhury, M., Cervantes, E. G., Chan, W. Y., & Seitz, D. P. (2021). Use of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in geriatric mental health research involving electronic health record or administrative claims data: a systematic review. Frontiers in psychiatry, 12, 738466.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iatry/articles/10.3389/fpsyt.2021.738466/full
- Leyhe, T., Reynolds III, C. F., Melcher, T., Linnemann, C., Klöppel, S., Blennow, K., ... & Hampel, H. (2017). A common challenge in older adults: Classification, overlap, and therapy of depression and dementia. Alzheimer's & Dementia, 13(1), 59-71. https://pubmed.ncbi.nlm.nih.gov/27693188/
- Lee, J., Burkett, B. J., Min, H. K., Senjem, M. L., Lundt, E. S., Botha, H., ... & Jones, D. T. (2022). Deep learning-based brain age prediction in normal aging and dementia. Nature Aging, 2(5), 412-424. https://pubmed.ncbi.nlm.nih.gov/37118071/
- MacNeil, M. (2019). Policies and Regulations to Enable Innovation and Adoption of Health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Documented Problems and Proposed Solutions. https://uwspace.uwaterloo.ca/handle/10012/15340
- Robbins, T. D., Keung, S. N. L. C., & Arvanitis, T. N. (2018). E-health for active ageing; A systematic review. Maturitas, 114, 34-40. https://pubmed.ncbi.nlm.nih.gov/29907244/
- Rapp, T., Sicsic, J., Ronchetti, J., & Cicchetti, A. (2023). Preventing autonomy loss with multicomponent geriatric interventions: A resource-saving strategy? Evidence from the SPRINT-T study. SSM-Population Health, 24, 101507.
- Chun, S., & Nam, K. (2019). User-centred design approaches for planning inpatient room of geriatric long-term care hospitals: Design factors with practical suggestions. The Design Journal, 22(4), 413. https://pubmed.ncbi.nlm.nih.gov/29907244/
- Coleman, R., Clarkson, J., & Cassim, J. (2016). Design for inclusivity: A practical guide to accessible, innovative and user-centred design. crc Press. https://www.routledge.com/Design-for-Inclusivity-A-Practical-Guide-to-Accessible-Innovative-and-User-Centred-Design/Coleman-Clarkson-Cassim/p/book/9780566087073
- Jarke, J. (2021). Ageing Socie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o-creating Digital Public Services for an Ageing Society: Evidence for User-centric Design, 5-13. https://library.oapen.org/handle/20.500.12657/42574
- Pásztor, J., & Bak, G. (2020). Digital divide: A technological generation gap. Management, Enterprise and Benchmarking in the 21st Century, 158-168.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9007530_Digital_Divide_-_A_Technological_Generation_Gap
- de Carvalho, C. V., Cano, P., Roa, J. M., Wanka, A., & Kolland, F. (2019). Overcoming the Silver Generation Digital Gap. J. Univers. Comput. Sci., 25(12), 1625-1643. https://kris.kl.ac.at/en/publications/overcoming-the-silver-generation-digital-gap
'외식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 식품업체 마케팅 전략】제2회: 소규모를 '힘'으로 바꾸자! (0) | 2025.03.08 |
---|---|
중소 식품업체 마케팅 전략】제1회: 마케팅적 발상의 중요성 (0) | 2025.03.08 |
초고령사회 식생활 지원-식생활과 자아실현 (0) | 2025.03.01 |
일본의 전통 식문화인 '일식'을 계승하다 (0) | 2025.03.01 |
노인이 이용하는 '새로운 음식'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