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기 정보

소고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어려운 질문: 성장 촉진제가 환경 영향 감소에 기여하나요?

by Meat marketer 2025. 4. 19.
반응형

소고기 지속 가능성에 대한 어려운 질문:
성장 촉진제가 환경 영향 감소에 기여하나요?

성장 촉진제를 통한 소고기 생산 효율 향상과 환경 영향 저감

소고기 생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축산업의 환경 영향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다. **성장 촉진제(Growth Promotants, GP)**는 가축이 섭취한 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기로 전환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소고기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장 촉진제는 가축의 생애 초기부터 일부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도축 전 약 120~140일간의 비육기(finishing phase)**에 주로 활용된다. 현재 소고기 생산에 널리 사용되는 성장 촉진제는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 성장 임플란트(Growth Implants)

성장 임플란트는 소 귀 뒤쪽 피부에 삽입하는 작은 캡슐 형태의 제제로, 일정 기간에 걸쳐 자연 또는 합성 호르몬을 소량 방출한다. 이 호르몬은 동물의 체내 자연 호르몬과 함께 작용하여 성장 속도를 향상시키며, 일반적으로 합성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또는 프로게스테론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2. 아이오노포어(Ionophores)

아이오노포어는 사료에 첨가하는 첨가제로, 반추위 내 세균 발효를 조절함으로써 사료 이용 효율을 높이고, 메탄(CH₄)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탄은 대표적인 **온실가스(GHG)**로서 환경 문제와 직결된다.
아이오노포어는 소의 생애 전반에 걸쳐 사용 가능하며, 초지 사육기나 비육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질 낮은 풀을 먹는 소에게 단백질 또는 에너지 보충제 형태로 제공되어 영양 요구량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3. 베타-아드레날린 작용제(β-adrenergic agonists, βAA)

(※ 이 부분은 원문에 아직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어지는 내용으로 보임. 필요 시 추가 번역 가능)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는 생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행적(conventional)"이라 불리며, 반대로 세 가지 성장 촉진제 모두를 사용하지 않는 생산 시스템은 "내추럴(natural)" 또는 "자연방목" 방식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성장 촉진 기술은 소고기 생산 단위를 줄이고, 자원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다.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소고기 생산의 환경 영향

소고기 생산 과정에서 성장 촉진제(예: 임플란트, 이오노포어, β-아드레날린 작용제 등)를 사용하지 않는 “내추럴(natural)” 사육 방식은 자원의 소비량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1파운드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 있어,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자원 소비 및 환경 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은 약 9.8% 증가한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를 의미한다.
  • **비료 사용량(Fertilizer use)**은 약 7.2% 더 많이 소요된다.
  • **물 사용량(Water footprint)**은 4.2% 증가한다.
  • **토지 사용량(Land use)**은 10.0% 늘어나며, 이는 농지 확대와 환경 훼손 가능성을 시사한다.
  • **사료 사용량(Feed use)**은 10.6% 증가하여, 사료 자원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수치는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생산성이 낮아지면서 동일한 양의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곧 환경적 부담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축산업에서 성장 촉진 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단순한 생산성 향상뿐 아니라, 자원 절감과 탄소 배출 저감 등 환경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β-아드레날린 작용제(βAA)와 종합 성장 촉진제 기술의 효과

β-아드레날린 작용제(βAA) 또한 사료 첨가제로 사용되지만, 사용은 출하 전 20~40일 동안의 비육 마무리 단계로 제한된다. βAA는 지방 축적을 줄이고 순근육량(lean muscle mass)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같은 몸무게를 증가시키더라도 βAA를 투여한 소는 그렇지 않은 소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포함한 체중 증가를 보인다.

각 성장 촉진제(Growth Promotants, GPs)는 개별적으로 사료 효율을 향상시키지만, 임플란트, 이오노포어, βAA 세 가지를 병용하면 특히 비육 후반기에 생산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연구에 따르면, 이 세 가지 기술을 결합하면 체중 1파운드 증가당 온실가스 배출량(GHG)을 28% 감소시킬 수 있다.

이오노포어는 개별 소의 메탄가스 직접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전반적으로 성장 촉진제를 사용할 경우 도축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동일한 양의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가축 수가 줄어든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소고기 1파운드당 자원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다(그림 1 참고).

예를 들어,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는 소고기 생산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한 마리의 소가 GP를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의 소에 비해 약 1.66명의 미국인을 더 먹일 수 있는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그림 2 참고).

이는 실제 사육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들과 컴퓨터 모델링 연구 모두에서 성장 촉진제 기술이 환경 영향 감소에 기여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일부 소비자들은 성장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내추럴 소고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식품 선택권 측면에서 존중되어야 할 선택이지만, 미국의 소고기 생산 시스템에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환경적 지속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이미지는 **성장 촉진 기술(Growth Promoting Technologies, GPTs)**을 사용한 소 한 마리가 더 많은 사람을 먹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검은색 사람 아이콘: 성장 촉진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사육된 소가 공급할 수 있는 사람 수를 나타냄.
  • 초록색 사람 아이콘: 성장 촉진 기술을 사용한 소가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사람 수를 의미함.

성장 촉진 기술을 사용하지 않은 소 한 마리가 공급할 수 있는 인구보다, 해당 기술을 활용한 소 한 마리는 약 1.66명의 미국인을 더 먹일 수 있는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자원으로 더 많은 고기를 생산함으로써, 식량 안보와 지속 가능한 축산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성장 촉진 기술은 소고기 생산의 환경 영향을 줄인다

성장 촉진 기술(Growth Promoting Technologies, GPTs)은 동일한 양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소의 수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환경 부담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는 곧 사료, 물, 토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자원 소모를 절감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도입은 생산된 고기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을 먹일 수 있게 하며, 미국의 식량안보와 지속 가능한 축산 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문헌

  1. Stackhouse-Lawson, K.R., Calvo, M.S., Place, S.E., Armitage, T.L., Pan, Y., Zhao, Y., & Mitloehner, F.M. (2013). Growth promoting technologies reduce greenhouse gas, alcohol, and ammonia emissions from feedlot cattle. Journal of Animal Science, 91:5438–5447.
  2. Cooprider, K.L., Mitloehner, F.M., Famula, T.R., Kebreab, E., Zhao, Y., & Van Eenennaam, A.L. (2011). Feedlot efficiency implication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sustainability. Journal of Animal Science, 89:2643–2656.
  3. Capper, J.L., & Hayes, D.J. (2012).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 of removing growth-enhancing technologies from U.S. beef production. Journal of Animal Science, 90:3527–3537.
  4. Maxwell, C.L., Krehbiel, C.R., Wilson, B.K., Johnson, B.T., Bernhard, B.C., O’Neill, C.F., VanOverbeke, D.L., Mafi, G.G., Step, D.L., & Richards, C.J. (2014). Effects of beef production system on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Journal of Animal Science, 92:5727–5738.
  5. Battagliese, T., Andrade, J., Schulze, I., Uhlman, B., & Barcan, C. (2013). More sustainable beef optimization project: Phase 1 final report. BASF Corporation, Florham Park, NJ.

Growth Promotants

 

Beef Research - Growth Promotants

Finally, βAA are also a feed additive, but are restricted to the final 20-40 days of finishing. β-adrenergic agonists increase lean muscle mass while decreasing fat deposition, which means for every pound of body weight an animal gains when fed βAA, a h

www.beefresearch.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