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이탈리아 축산농가가 직접 만드는 소고기 산업 발전계획

by Meat marketer 2025. 5. 19.
반응형

이탈리아 축산농가가 직접 만드는 소고기 산업 발전계획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대표 생산자 단체들이 추진하는 "PIANO CARNI BOVINE NAZIONALE" (국가 소고기 산업 계획)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공식 자료의 표지입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주최 및 주관:
    • A.O.P. ITALIA ZOOTECNICA(이탈리아 소축산 생산자 조직 협회)
    • 전국 각지의 소고기 생산자 단체, 협동조합, 생산자 조직(OP), 연합회 등이 참여
  • 프로젝트 목적: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전국 단위의 ‘소고기 부문 발전계획(PIANO DI SETTORE PER LA ZOOTECNIA BOVINA DA CARNE)’을 수립
    • 생산자, 가공업체, 유통, 소비자 등 전체 밸류체인(필리에라)이 참여하는 전략적 로드맵 마련
  • 핵심 슬로건:
    • “Il progetto degli allevatori italiani per redigere un PIANO DI SETTORE PER LA ZOOTECNIA BOVINA DA CARNE”
    • (이탈리아 축산농가가 직접 만드는 소고기 산업 발전계획)

세부 해설

  • 참여 단체:
    이미지 상단에는 Arborea, APZ, Azove, Bovim Marche, OP Sicilia, OP Unicarve, Asprocarne, Coop Piemonte 등
    전국 주요 소고기 생산자 조직과 브랜드, 협회 로고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 계획의 구조:
    이 계획은 생산자 조직화, 품질 인증, 이탈리아산 소고기 확대, 지속가능성, 경제성, 유통·홍보 강화 등
    소고기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 추진 방식:
    • 생산자 협회, 농업 협동조합, 생산자 조직(OP)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참여 가능
    • 품질 인증(IGP, SQNZ 등), 이탈리아산 원료 확대, 유통·홍보·교육 등 다각적 전략 추진

결론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국 단위 협력 프로젝트(PIANO DI SETTORE PER LA ZOOTECNIA BOVINA DA CARNE)의 공식적 출범과
생산자 주도의 전략 수립 의지를 강조하는 자료입니다

 

 

 

AOP ITALIA ZOOTECNICA: 조직 현황 및 전국 분포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소고기 생산자 조직 연합체인 AOP ITALIA ZOOTECNICA의 전국 네트워크와 주요 회원 조직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지역별 주요 회원 조직

  • PIEMONTE(피에몬테)
    • AP ASPROCARNE PIEMONTE
    • CONSORZIO CARNI QUALITÀ PIEMONTE
  • LOMBARDIA(롬바르디아)
    • AP DEL BOCCARONE
  • EMILIA ROMAGNA(에밀리아로마냐)
    • OP ASSOBOVINI
  • VENETO / FRIULI VENEZIA GIULIA(베네토/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 AP UNICARVE
    • OP AZOVE
    • OP SCALIGERA
    • OP UNICARVE
    • OP VITELLONE DI MARCA
    • OP VITELLO DI MARCA
  • MARCHE(마르케)
    • OP BOVINMARCHE
  • CAMPANIA(캄파니아)
    • COOPERATIVA TERRAMADRE
  • CALABRIA(칼라브리아)
    • OP APZ CALABRIA
  • SARDEGNA(사르데냐)
    • OP ARBOREA
  • SICILIA(시칠리아)
    • OP CARNI SICILIA

네트워크 규모 및 역할

  • 이탈리아 OP·AP의 90%가 AOP ITALIA ZOOTECNICA에 소속
  • **회원 농가들은 연간 약 100만 두의 소를 생산**하며, 이는 이탈리아 전체 소고기 생산의 **71%**를 차지합니다.

시사점

  • **AOP ITALIA ZOOTECNICA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핵심 생산자 조직 연합체**로, 전국 각지의 주요 생산자조직(OP), 협동조합, 품질협회 등이 망라되어 있습니다.
  • 이 조직은 **국가 소고기 산업 발전계획(PIANO DI SETTORE PER LA ZOOTECNIA BOVINA DA CARNE)**의 실행 주체로, 생산, 품질, 유통, 인증 등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주도합니다.
  • **전국적 연대와 협력을 통해 품질관리, 지속가능성, 시장 대응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요약:
AOP ITALIA ZOOTECNICA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70% 이상을 책임지는 전국 최대 생산자 연합체로,
지역별 조직망을 통해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구조적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Uno dei punti più deboli della nostra zootecnia:
L’anonimato della carne bovina!

  • MEZZENE «ANONIME» (익명 도체)
  • ETICHETTE «ANONIME» (익명 라벨)
  • TAGLI «ANONIMI» (익명 부위)

해설

이 슬라이드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구조적 약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 핵심 메시지:
    “우리 축산업(소고기 산업)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
    바로 소고기의 ‘익명성(Anonymous)’ 문제다!”

세부 설명

  • MEZZENE «ANONIME»:
    도축된 소고기 도체(반마리, 큰 덩어리)가 어디서, 어떤 품종·농장에서 왔는지 소비자에게 식별되지 않음.
  • ETICHETTE «ANONIME»:
    포장육의 라벨이 단순 중량·가격·유통기한 등만 표기되어, 생산자·원산지·품질 등 실질적 정보가 부족함.
  • TAGLI «ANONIMI»:
    매장에서 판매되는 부위별 고기도 마찬가지로, 어떤 소에서 유래했는지, 어떤 품질·특징을 지녔는지 알 수 없음.

시사점

  • **이탈리아 소고기 시장은 ‘익명성’(추적 불가, 브랜드·품질 차별화 부재) 문제가 심각**함을 강조합니다.
  • 소비자는 원산지, 생산자, 품종, 사육방식 등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없이 ‘이름 없는’ 고기를 구매하게 되어,
    **품질 차별화, 브랜드화, 신뢰 구축이 어렵다**는 점을 비판합니다.

결론

이 슬라이드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익명성’을 극복하고,
추적성·브랜드화·품질 인증 등 소비자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정보 제공이 필수적임
을 시사합니다.

 

 

이탈리아 육류(특히 소고기) 자급률 및 수입 의존도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의 육류(특히 소고기) 소비 구조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핵심 내용

  • 이탈리아 국내 생산(La produzione di carne in Italia): 45%
    • 이탈리아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45%만이 국내에서 생산됩니다.
    • 최근 몇 년간 이탈리아의 소고기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23년 기준 45%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 이는 유럽 주요국 중에서도 낮은 수준이며,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구조적 한계와 축산업 감소, 생산비 상승 등이 원인입니다
  • 이탈리아 수입(Importazione di carne in Italia): 55%
    • 이탈리아가 소비하는 육류의 55%는 해외(주로 EU 내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에서 수입됩니다.
    • 소고기뿐 아니라 돼지고기, 양고기, 가금류 등도 상당 부분 수입에 의존합니다.
    • 특히 소고기의 경우, 프랑스에서 살아있는 송아지(브루타르드, 비텔로 등)를 수입해 이탈리아에서 비육·도축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배경 및 시사점

  • 자급률 하락:
    2020년 57%였던 자급률이 2023년 45% 이하로 급락했으며, 2024년에도 이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수입 증가:
    생산 감소와 맞물려 수입 의존도가 높아졌고, 특히 프랑스산 송아지·쇠고기, 네덜란드산 돼지고기, 독일산 가금류 등이 주요 수입원입니다
  • 산업 구조적 문제:
    이탈리아 축산 농가 수 감소, 생산비 상승, 대형 유통업체의 가격 압박 등으로 국내 생산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 소비자 인식:
    ‘100% 이탈리아산’ 표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해외에서 도축·사육된 고기가 상당수 소비되고 있습니다

결론

  • **이탈리아는 육류(특히 소고기) 소비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 비중은 45%에 불과**합니다.
  • 이 구조는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어,
    식품 주권, 원산지 표시, 산업 경쟁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019~2023년 이탈리아 도축 소(육우) 연령별 도축 현황 요약

이 표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이탈리아에서 도축된 소(육우)의 연령별(0~8개월, 8~12개월, 12~24개월, 24~36개월, 36개월 초과) 도축 두수를 보여줍니다.

 

연령별 주요 변화(2023년 기준)

  • 0~8개월: 549,452두
  • 8~12개월: 66,824두
  • 12~24개월: 1,356,759두 (전체의 약 51%)
  • 24~36개월: 141,356두
  • 36개월 초과: 473,526두
  • 12~24개월령 소의 도축 비중이 가장 높음(전체의 절반 이상).

연도별 특징 및 추이

  • 2019~2022년:
    • 전체 도축 두수는 매년 소폭 증가(2019년 267만 → 2022년 280만).
    • 2023년에는 266만 두로 감소 전환.
  • 연령별 구조:
    • 12~24개월령 도축이 매년 130~140만 두로 가장 많음.
    • 36개월 초과 도축은 46~52만 두 수준.
    • 0~8개월령 도축은 54~55만 두로 안정적.

해설 및 시사점

  • **이탈리아 소고기 생산의 중심은 12~24개월령 육우**임.
  • **2023년 도축 두수 감소**는 유럽 전체 소고기 생산 감소 추세2와도 일치.
  • **도축 연령 다양성**은 이탈리아 소고기 시장의 품질·제품 다양화와도 연관됨.
  • 2023년 감소 원인:
    • 사료비·생산비 상승, 축산업 구조조정, 시장 수요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요약:
2019~2022년까지 이탈리아 소고기 도축 두수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2023년 들어 감소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전체 도축의 절반 이상은 12~24개월령 소에서 나오며, 이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품질과 생산 구조를 반영합니다.

 

 

2023년 이탈리아 12~24개월령 도축 소 두수: 지역별 상세 현황

이 표는 2023년 한 해 동안 이탈리아에서 도축된 12~24개월령 소의 지역별, 성별, 출생지(이탈리아/해외)별 현황과 각 지역의 전체 점유율을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총 도축 두수:
    1,356,759두 (전국 합계)
    • 이 중 이탈리아 출생: 470,100두(34.65%)
    • 해외 출생(이탈리아에서 사육): 886,659두(65.35%)

지역별 도축 두수 및 비중(상위 5개 지역)

 

세부 구조

  • 성별:
    • 암소: 585,739두
    • 수소: 771,020두
      (수소 도축이 더 많음)
  • 출생지별:
    • 이탈리아 출생: 224,134(암) + 245,966(수) = 470,100두
    • 해외 출생(이탈리아 사육): 361,605(암) + 525,054(수) = 886,659두

기타 특징

  • 해외 출생 소 비중이 65%로, 이탈리아 12~24개월령 도축 소의 절대다수는 해외(주로 프랑스 등)에서 태어나 이탈리아에서 비육·도축됨을 의미합니다.
  • 남부, 도서 지역(캄파니아, 시칠리아, 사르데냐 등)은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음(각 1~3%대).
  • 트렌티노, 프리울리, 움브리아, 마르케 등 중소 규모 지역은 각각 1% 미만.

결론

  • **이탈리아 12~24개월령 도축 소의 2/3는 해외 출생, 1/3만 이탈리아 출생**입니다.
  • **베네토, 피에몬테, 에밀리아로마냐**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핵심 생산지입니다.
  • **전체 도축 두수는 135만 6천두**로, 이 중 38%가 베네토, 20%가 피에몬테, 16%가 에밀리아로마냐에서 도축됩니다.
  • **이탈리아 소고기 생산은 북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해외 송아지 도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2023년 이탈리아 소고기(육우) 도축 현황 및 품질 인증 현황


1. 전체 도축 두수 및 출생지별 비중

  • 2023년 이탈리아 총 도축 소(육우):
    1,356,759두
  • 출생지별 비율:
    • 이탈리아 출생: 470,100두 (34.65%)
    • 해외 출생(이탈리아에서 비육 후 도축): 886,659두 (65.35%)
    •  

4. 종합 해설 및 시사점

  • 이탈리아에서 도축되는 소의 2/3는 해외 출생 송아지(주로 프랑스 등)로, 국내 출생은 1/3에 불과합니다.
  • **IGP(지리적 표시) 인증 소고기는 전체의 1.3%로 매우 적은 비중**이며,
    **SQNZ(이탈리아산 품질 인증) 소고기는 전체의 절반(49.7%)**을 차지합니다.
  • **이탈리아 소고기 시장은 품질 인증(특히 SQNZ) 중심으로 구조가 재편**되고 있으나,
    **진정한 지역 특산(IGP) 소고기는 여전히 희소**합니다.

요약:
2023년 이탈리아에서 도축된 소고기 중

  • 34.7%만 이탈리아 출생,
  • 1.3%만 IGP(지역 특산) 인증,
  • **49.7%는 SQNZ(이탈리아산 품질 인증)**을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소고기는 해외 출생 송아지를 이탈리아에서 비육해 생산되고,
    진정한 지역 특산 소고기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2.

 

2023년 이탈리아 0~8개월령 송아지(화이트비프) 도축 현황: 지역별·출생지별 분석

이 표는 2023년 이탈리아에서 도축된 0~8개월령 송아지(화이트비프)의

  • 지역별 도축 두수
  • 이탈리아 출생 vs 해외 출생(이탈리아에서 사육)
  • 전체 점유율(%)
    을 보여줍니다.

전국 총계

  • 총 도축 두수: 549,452두
    • 이탈리아 출생: 449,951두 (81.9%)
    • 해외 출생(이탈리아에서 사육): 99,501두 (18.1%)

주요 지역별 도축 두수 및 비중

 

특징 및 해설

  • 베네토(41%), 롬바르디아(34%), 피에몬테(15%)
    이 세 지역이 전체 도축의 89%를 차지하는 압도적 생산지입니다.
  • 이탈리아 출생 송아지 비중이 82%로 매우 높음
    (화이트비프는 이탈리아 내 자급률이 매우 높음)
  • 해외 출생 송아지는 주로 북부 대규모 사육지(베네토, 롬바르디아, 피에몬테)에 집중
  • 남부·중부·도서 지역(캄파니아, 풀리아 등)은 상대적으로 소규모

시사점

  • **화이트비프(0~8개월령) 부문은 이탈리아 내 자급률이 매우 높고, 북부 3개 지역이 생산을 주도**합니다.
  • **전체 도축 두수의 18%만이 해외 출생 송아지**로,
    12~24개월령 육우(수입 비율 65%)와는 대조적입니다.
  • **이탈리아 화이트비프 산업은 북부 집중, 자국 생산 중심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요약:
2023년 이탈리아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도축은

  • 총 54만 9천두,
  • 82%가 이탈리아 출생,
  • **북부(베네토, 롬바르디아, 피에몬테)에서 90% 생산**이라는 특징을 보입니다.
  •  

 

2023년 유럽연합(EU-27) 쇠고기 자급률 비교

이 이미지는 2023년 기준 EU 27개국의 쇠고기 자급률(국내 생산량/국내 소비량 비율, %)을 국가별로 비교한 지도와 주요 수치를 보여줍니다.


주요 수치 및 국가별 현황

  • EU-27 전체 평균: 108%
    • EU 전체적으로는 쇠고기 생산이 소비를 초과(자급률 100% 이상)함.
  • 주요 국가별 자급률
    • 아일랜드: 398% (EU 내 압도적 1위, 생산량의 4배를 소비, 대규모 수출국)
    • 벨기에: 141%
    • 네덜란드: 128%
    • 스페인: 125%
    • 프랑스: 112%
    • 이탈리아: 45% (자급률 매우 낮음,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
    • 그리스: 19% (EU 최저 수준)

지도 색상 해설

  • 진한 파란색: 자급률 매우 높음(100% 초과, 수출국)
  • 노란색~주황색: 자급률 100% 전후(자급 가능)
  • 빨간색: 자급률 낮음(100% 미만, 수입 의존)
  • 이탈리아,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 자급률 50% 미만(진한 빨간색)

시사점

  • **이탈리아(45%)와 그리스(19%)는 EU 내 쇠고기 자급률이 가장 낮은 국가**로,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해외(주로 프랑스, 아일랜드 등)에서 수입합니다.
  • **아일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프랑스 등은 자급률이 100%를 훨씬 넘는 대표적 쇠고기 수출국**입니다.
  • **EU 전체는 자급률 100%를 초과해 쇠고기 순수출 지역**이지만,
    국가별로 생산·소비 구조의 차이가 매우 큽니다.

결론:
2023년 이탈리아의 쇠고기 자급률은 45%로,
EU 평균(108%)과 비교해 매우 낮으며,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임을 보여줍니다.

 

 

2023년 이탈리아 소고기 자급률: 44.9%로 역대 최저


주요 수치 요약

  • 2020년 자급률: 57.0%
  • 2021년: 58.2%
  • 2022년: 57.1%
  • 2023년: 44.9% (전년 대비 -12.2%p)

세부 지표(2023년 기준)

  • 연말 사육두수: 5,999,000두
  • 도축두수: 602,977두
  • 생체 소 수입: 212,233두
  • 생체 소 수출: 1,395두
  • 국내 생산량: 393,185톤(도체 기준)
  • 소고기 수입: 483,506톤
  • 소고기 수출: 14,336톤
  • 국내 소비(추정): 876,151톤

해설 및 배경

  • **자급률 44.9%는 최근 10년 내 최저치**로,
    이탈리아는 소고기 소비량의 절반 이상(5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2020~2022년까지는 57~5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23년 들어 생산량 급감과 소비 증가, 수입 확대 등으로 급락했습니다.
  • **EU 평균 자급률(2023년 108%)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수치**로,
    아일랜드(398%), 프랑스(112%), 스페인(125%) 등 주요국과 큰 격차를 보입니다
  • 원인:
    • 축산 농가 수 감소(2019~2023년 15,000개 축소)
    • 사육두수 감소(5년간 73,000두 감소)
    • 생산비 상승, 유통업체의 가격 압박
    • 프랑스 등 해외 송아지·쇠고기 수입 증가

결론

  • **2023년 이탈리아 소고기 자급률은 44.9%로, 역대 최저치이자 EU 최저 수준**입니다.
  • **국내 생산 감소와 수입 의존 심화**가 구조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이탈리아 소고기 시장은 절반 이상을 해외(특히 프랑스, 폴란드, 네덜란드 등)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Carni Bovine Nazionale) 3대 핵심 축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이 기반하고 있는 **3가지 핵심 축(필라스트리/목표)**을 요약한 것입니다


1. 첫 번째 축: 품질 인증 생산의 가치 제고 및 홍보

  • 목표:
    IGP(지리적 표시 보호), SQNZ(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 등 공식 인증 시스템을 통한
    품질 인증 생산물의 부가가치 제고와 시장 홍보 강화
  • 주요 수단:
    • IGP, SQNZ 등 유럽 및 국가 인증 마크 활용
    • 품질 기준(Disciplinari) 충족 제품의 차별화·마케팅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등 우산 브랜드 연계

2. 두 번째 축: 해외 의존도 감소, 100% 이탈리아산 육우 생산 확대

  • 목표:
    해외(특히 프랑스 등)에서 수입하는 송아지(비육우) 의존도를 줄이고,
    100% 이탈리아산 육우 생산 체계 확립
  • 주요 전략:
    • 이탈리아 내 번식 암소(모우) 수 확대
    • 낙농(우유) 농가와 협력해 육우 교잡 송아지 생산
    • “Meetbull” 등 시범사업 확산:
      상업적 계약, 품질·지속가능성 기준 적용, 사육·수집·비육·인증 체계 구축

3. 세 번째 축: 산업 구조 완성 및 공동기금 조성

  • 목표:
    소고기 산업 내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 또는 IntercarneItalia의 구조 완성,
    Erga Omnes(공동부담) 규정 적용을 통한 산업발전 공동기금 조성
  • 주요 수단:
    • IntercarneItalia(이탈리아 소고기 산업 직능단체) 중심의 산업 협의체 완성
    • Erga Omnes(모든 이해관계자 공동부담) 적용으로
      산업 전체를 위한 연구·홍보·품질·지속가능성 프로젝트 재원 마련

종합 해설

  • 핵심: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품질경쟁력, 자급률 제고,
    구조적 협력체계 완성을 목표로 하는 전략적 로드맵입니다.
  • 배경:
    최근 자급률 하락, 수입 의존 심화, 품질 차별화 필요성, 산업 내 협력 강화 요구 등에 대응

요약: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은

  1. 공식 품질 인증 생산의 가치 제고,
  2. 해외 의존도 축소 및 100% 이탈리아산 생산 확대,
  3. 산업 구조 완성과 공동기금 조성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소고기 산업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l Piano Carni Bovine Nazionale può essere replicato per ogni prodotto zootecnico, coinvolgendo tutti gli allevatori italiani interessati, attraverso le seguenti forme: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CARNI BOVINE NAZIONALE)은 모든 축산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관심 있는 모든 이탈리아 축산농가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생산자 협회(ASSOCIAZIONI DI PRODUTTORI)
    (소, 돼지, 양·염소, 낙농 등)
    기존 협회 또는 새로 조직, 간소화된 방식(예: 설립증서와 정관을 세무서에 등록)도 가능
  • 농업 협동조합(COOPERATIVE AGRICOLE)
    (소, 돼지, 양·염소, 낙농 등)
    기존 또는 신규 조직, 상호부조 원칙과 농업 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
  • 생산자 조직(ORGANIZZAZIONI PRODUTTORI)
    (소, 돼지, 양·염소, 낙농 등)
    기존, 인정받은 조직 또는 신규 조직,
    ‘직접 판매(Vendita diretta)’ 또는 ‘판매 위임(Mandato a vendere)’ 방식으로 운영

하단 메시지:
이탈리아의 협동조합과 생산자 조직은
시장 관리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집단적 조직·재편이 필요하다!


해설

  • 핵심 메시지: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은 소고기뿐 아니라 모든 축산품(돼지고기, 양고기, 낙농 등)에 적용 가능하며,
    모든 축산농가가 다양한 형태(생산자협회, 협동조합, 생산자조직)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참여 방식:
    • 생산자협회: 설립이 간편, 소규모 농가도 쉽게 결성 가능
    • 농업 협동조합: 상호부조 원칙, 법적 기준에 따라 조직
    • 생산자조직: 직접판매 또는 위임판매 등 다양한 사업모델 가능
  • 목적:
    집단적 협업과 시장 주도권 확보를 통해
    개별 농가의 협상력 강화, 시장가격 안정, 부가가치 창출을 실현

요약: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은

  • 모든 축산품에 복수의 조직 형태로 적용 가능하며
  • 생산자 조직화와 협동조합 재편을 통해
  • 시장을 주도하고 생산자에게 더 큰 경제적 가치를 돌려주는 구조를 지향합니다.

 

1° pilastro:
VALORIZZARE E PROMUOVERE LE PRODUZIONI CERTIFICATE CON I SISTEMI DI QUALITÀ IGP & SQNZ
(1번째 축: IGP & SQNZ 품질 인증 시스템을 통한 인증 생산물의 가치 제고 및 홍보)

  • LA VALORIZZAZIONE DI UN PRODOTTO, PASSA ATTRAVERSO AZIONI DI MARKETING, MIRATE E COSTANTI NEL TEMPO.
    (제품의 가치는, 목표를 명확히 한 지속적 마케팅 활동을 통해 높아진다.)
  • Occorrono investimenti importanti, idee e collaborazione in FILIERA, per valorizzare le produzioni a marchio e renderle facilmente riconoscibili ai Consumatori!
    (브랜드 생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상당한 투자와 아이디어, 그리고 공급망 내 협력이 필요하다!)

핵심 해설

  • IGP(Indicazione Geografica Protetta):
    유럽연합의 지리적 표시 보호제도로, 특정 지역의 전통과 품질을 인증하는 공식 마크.
  • SQNZ(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
    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 제도.
    농장, 도축장, 가공장 등 전 과정에서 엄격한 기준(생산, 동물복지, 환경, 추적성 등)을 적용하여
    ‘일반 제품보다 품질이 우수함’을 국가가 공식 인증
  • 핵심 전략:
    • 공식 인증(IGP, SQNZ 등)을 받은 생산물의 부가가치와 시장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목표가 명확한 마케팅**이 필수.
    • **공급망(FILIERA) 전반의 협력**과 투자, 혁신이 필요.
    • **브랜드화**와 소비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차별화가 중요.

배경 및 시사점

  • SQNZ 인증은 생산자 단체, 협동조합, 지역정부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 가능하며,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에서 품질·추적성·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해야 함
  • IGP, SQNZ 등 공식 인증은 단순한 품질 보증을 넘어,
    이탈리아 축산업의 경쟁력, 소비자 신뢰, 시장 차별화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음.

요약

이 슬라이드는

  • **IGP, SQNZ 등 품질 인증 생산물의 가치 제고와 시장 홍보**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 발전의 첫 번째 핵심 축임을 강조합니다.
  • 이를 위해 지속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마케팅, 공급망 협력, 투자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농림부(Ministero dell’Agricoltura)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요약

SQNZ란 무엇인가?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는 2022년 12월 16일자 법령(D.M. n. 646632)에 의해 도입된 이탈리아의 공식 품질 인증제도입니다27.
  • 유럽연합 규정(1305/2013, 2022/126 등)에 따라 도입된 자발적 품질 체계로, 모든 EU 생산자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567.
  • 목표:
    • 제품의 특정한 품질 특성,
    • 특수한 생산 방식,
    • 공중보건·동물복지·환경보호 등에서 상업적 기준을 뛰어넘는 고품질을 보장하는 축산물 생산을 인증2678.
  • 인증 대상:
    •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우유·계란·수산물 등 다양한 축산물34.

인증의 핵심 요건

  • **공식적으로 승인된 ‘생산 규약(Disciplinari di produzione)’**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이 규약은 농림부가 심사·승인하고, 독립된 인증기관이 준수 여부를 감독합니다27.
  • **제품은 ‘지속가능한 사육 제품(prodotto da allevamento sostenibile)’**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27.
  • 제품 라벨에는:
    • 인증 규약명,
    •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ca(SQNZ)” 및 농림부(MASAF) 공식 인증 문구,
    • 동물의 원산지(필요시)
      등이 명시되어야 합니다2.

SQNZ의 특징 및 효과

  • 품질:
    • 상업적 기준보다 엄격한 위생, 동물복지, 환경보호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의 완전한 추적성이 보장됩니다678.
  • 투명성:
    • 모든 인증 과정과 결과는 공개·투명하게 관리되며,
      소비자는 제품의 출처와 품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678.
  • 시장 활용:
    • SQNZ 인증 제품은 공공급식 등에서 우선 구매 대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2.
  • 프로모션:
    • 농림부 및 지방정부, 생산자 단체,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등이
      SQNZ 제품의 홍보·감시·시장가치 제고를 담당합니다3.

최근 동향

  • 2022년 12월 16일: SQNZ 제도 도입 법령 공포27.
  • 2023~2024년:
    • “Vitello al latte e cereali(곡물·우유 사육 송아지)”, “Latte crudo vaccino e derivati(생우유 및 유제품)” 등
      다양한 품목이 SQNZ 인증을 획득,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 사용 가능34.
    • 2024년 기준 8개 품목이 공식 인증3.

결론

  • SQNZ는 이탈리아 농림부가 공식 인증하는 국가 축산품질인증제도로,
    생산·동물복지·환경·위생 등에서 상업적 기준을 뛰어넘는 고품질 축산물만을 인증합니다.
  • **공식 승인된 생산 규약 준수, 완전한 추적성, 투명한 라벨링, 독립적 인증**이 핵심입니다.
  • **SQNZ 인증 제품은 소비자 신뢰, 시장 차별화, 공공급식 우선구매 등 다양한 장점**을 갖습니다.

이미지 내 주요 문구 해설:

  •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 국가 축산품질인증제
  • “IL NUOVO DECRETO SQNZ Del 16/12/2022”: 2022년 12월 16일자 제도 도입 법령
  • “IL DM DI RICONOSCIMENTO DEL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인정 법령
  • “I DISCIPLINARI DI PRODUZIONE RICONOSCIUTI”:
    공식 승인된 생산 규약 목록

참고:

 

Disciplinari di produzione riconosciuti

Questo sito utilizza cookie tecnici e Matomo Analytics. Il consenso al trattamento non è richiesto. Ok Privacy policy

www.masaf.gov.it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농림부(MASAF)와 유럽연합(EU)에서 공식 승인한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의 생산 규약(Disciplinari di produzione) 목록을 보여줍니다.


SQNZ 공식 승인 생산 규약(2024년 기준)

현재 운영 중(operativo)인 주요 규약

  • VITELLONE ALLEVATO AI CEREALI
    곡물 사육 송아지(비육우)
  • SCOTTONA ALLEVATA AI CEREALI
    곡물 사육 암송아지(스코토나)
  • FASSONE DI RAZZA PIEMONTESE
    피에몬테제 파소네 품종
  • BOVINO PODOLICO AL PASCOLO
    파스콜 방목 소(현재 주도 생산자 조직 지정 대기 중)
  • UOVO+ QUALITÀ AI CEREALI
    곡물 사육 고품질 계란
  • ACQUACOLTURA SOSTENIBILE
    지속가능 양식(수산물)
  • VITELLI AL LATTE E CEREALI
    우유·곡물 사육 송아지(화이트비프)
  • LATTE CRUDO E DERIVATI
    생우유 및 유제품
  • STANDARD DI PRODUZIONE ZOOTECNIA DA CARNE SOSTENIBILE
    지속가능 축산육 생산 표준(‘Allevamenti Sostenibili’)

이미 EU 승인, MASAF 공식 도입 예정(곧 적용)

  • MIELE
  • CONIGLIO AL FIENO
    건초 사육 토끼
  • AGNELLO AL PASCOLO
    방목 양고기

해설 및 시사점

  • **SQNZ 인증은 소고기, 송아지, 양고기, 토끼, 계란, 수산물, 우유·유제품, 꿀 등 다양한 축산·수산물에 적용**됩니다.
  • 각 품목별로 생산·사육·가공·환경·동물복지 등 엄격한 기준(생산 규약)을 충족해야 하며,
    공식 인증 제품에는 ‘지속가능한 사육 제품’(prodotto da allevamento sostenibile) 등 SQNZ 로고와 인증 문구가 부착됩니다
    2367.
  • 신청 및 인증 주체:
    생산자 단체, 협동조합, 지역정부, 생산자 조직(OP/AOP) 등
    (전국 생산량의 30% 이상 대표 필요)6.
  • SQNZ는 단순 품질 인증을 넘어,
    동물복지, 환경보호, 완전한 추적성, 공공급식 우선구매 등
    이탈리아 축산업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267.

요약:
이 표는 이탈리아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의 공식 생산 규약 목록으로,
소고기, 송아지, 양고기, 토끼, 계란, 우유·유제품, 양식 수산물, 꿀 등
다양한 품목이 이미 인증을 받았거나 곧 적용될 예정임을 보여줍니다.
SQNZ 인증은 ‘지속가능한 사육’, 고품질, 동물복지, 환경보호, 완전한 추적성 등을 보장합니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각 지역(레지오네)의 축산물 생산 규약(Disciplinari Zootecnici) 중, 이미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통보(통지, NOTIFICATI)되어 승인된 경우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에 직접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표 해석 및 요약

주요 내용

  • 법적 근거:
    2022년 12월 16일자 법령(DM 16/12/2022) 제3조 5, 6, 7항에 따라,
    이미 EU에 통보·승인된 지역 생산 규약은 SQNZ에 즉시 포함 가능.
  • 지역별(EU 승인) 주요 생산 규약 예시:
  •  

  • 특징:
    • 각 지역은 다양한 축산·수산·양봉(꿀)·유제품·가공식품까지 포함한
      *자체 품질 기준(Disciplinari)*을 EU에 통보·승인받으면,
      별도 절차 없이 SQNZ 공식 인증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시사점 및 배경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는 단일 국가 규약뿐 아니라,
    각 지역이 자체적으로 개발·승인받은 생산 규약도 공식 품질 인증 체계에 통합
    할 수 있습니다23.
  • 이탈리아는 지역별 특산물, 전통 생산방식, 품종, 환경을 반영한 다양한 품질 인증을
    국가 차원에서 인정·통합함으로써, 지역 브랜드와 산업 경쟁력을 함께 강화
    하고 있습니다.
  • VENETO, EMILIA ROMAGNA, FRIULI VENEZIA GIULIA, PUGLIA, SICILIA 등 주요 지역이
    이미 다양한 규약을 EU에 통보·승인받아 SQNZ에 직접 포함할 수 있음
    을 의미합니다.

결론

  • 유럽연합에 이미 통보·승인된 지역 생산 규약은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에 별도 심사 없이 직접 포함 가능
    하며,
  • 이는 이탈리아 각 지역의 전통·특색·품질 기준을 국가 공식 인증체계와 연계
    국내외 시장에서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높이는 제도적 기반입니다

 

«ALLEVAMENTI SOSTENIBILI»
“지속가능한 축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이탈리아 농림부(Ministero dell’agricoltura)에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Sostenibilità Ambientale, Sociale ed Economica)을
공식 인증하는 최초의 생산 규약(Disciplinare di produzione).

  • Vitellone (비육우)
  • Vitello a carne bianca (화이트비프 송아지)

하단:
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Consorzio Sigillo Italiano)에 등록된 우산 브랜드(공식 로고)


해설

  • 핵심 내용: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에서 ‘지속가능한 축산(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은
    유럽연합과 이탈리아 정부가 공식 승인한 최초의 생산 규약입니다.
  • 지속가능성 3대 축:
    • 환경적(Environmental): 친환경 사육, 탄소·에너지 절감, 자원순환 등
    • 사회적(Social): 동물복지, 지역사회 기여, 노동자 권리 등
    • 경제적(Economic): 농가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공정한 가치분배 등
  • 적용 대상:
    • 비육우(Vitellone)
    • 화이트비프 송아지(Vitello a carne bianca)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및 지속가능 축산 인증의
    공식 우산 브랜드(umbrella brand)로,
    인증 받은 모든 축산물에 부착할 수 있는 신뢰의 상징입니다2456.

시사점

  • 이 인증은 단순한 품질 인증을 넘어,
    환경, 사회, 경제 세 축의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평가·보증
    합니다.
  • 이탈리아산 소고기(비육우, 송아지)에서 ‘지속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증받은 제품은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를 통해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이 제도는 생산자·유통·소비자 모두에게
    투명성, 신뢰,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합니다.

요약:
‘지속가능한 축산(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은
이탈리아와 EU가 공식 승인한 최초의 환경·사회·경제 통합 인증으로,
비육우와 화이트비프 송아지 사육에 적용되며,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로 식별됩니다.
이 인증은 이탈리아 축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신뢰의 핵심입니다.

 

 

 

“ALLEVAMENTI SOSTENIBILI(지속가능한 축산) 생산규약은 IGP 소고기 농장도 별도 규약 수정 없이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즉, 기존 IGP(지리적 표시 보호) 인증 생산자도, IGP 규약을 바꾸지 않고 ‘지속가능성’ 인증(SQNZ)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음)


구조 및 흐름

  • 왼쪽:
    • IGP 인증
      • 유럽연합의 ‘지리적 표시 보호’(Indicazione Geografica Protetta) 공식 마크
      • 예시: 비텔로네 피에몬테세 델라 코시아, 비텔로네 비앙코 아펜니노 첸트랄레 등
      • MARCHIO FACOLTATIVO (선택적 마크, 즉, 의무는 아님)
  • 가운데:
    • ALLEVAMENTO(사육, 농장)
      • IGP 인증을 받은 농장이, 별도의 규약 변경 없이
      • ‘지속가능한 축산(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 규약도 적용 가능
  • 오른쪽: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지속가능한 축산’ 인증
      •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로고
      • MARCHIO FACOLTATIVO (선택적 마크)

핵심 해설

  • **‘Allevamenti Sostenibili’(지속가능한 축산) 표준**은
    • 유럽연합과 이탈리아 농림부(MASAF)에서 공식 승인된
    • 환경, 사회, 경제 3대 축의 지속가능성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
    • 소고기(비육우·송아지) 생산자용 인증 규약입니다2356.
  • **기존 IGP 인증 농가(예: 키아니나, 피에몬테세 등)**는
    • IGP 규약을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도
    • ‘지속가능성’ 인증(SQNZ Allevamenti Sostenibili)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35.
  • 이중 인증 구조:
    • 한 농장이 IGP(지리적 표시)와 SQNZ(지속가능성) 두 가지 인증을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두 인증 모두 제품 라벨·홍보에 활용 가능(‘MARCHIO FACOLTATIVO’).

배경 및 시사점

  • 제도적 유연성:
    • 기존 IGP 농가가 규약 복잡한 변경 없이
      ‘지속가능성’ 인증을 쉽게 추가할 수 있어
      행정적 부담과 비용이 줄어듭니다.
  • 시장적 가치:
    • 소비자는 한 번에 ‘지역성’(IGP)과 ‘지속가능성’(SQNZ) 두 가지 신뢰 마크를
      확인할 수 있어, 브랜드 가치와 차별성이 커집니다.
  • 공식 인증 절차:
    • SQNZ 인증을 받으려면,
      농가는 MASAF(농림부) 공식 인증기관에 신청,
      생산·사육·환경·동물복지 등 엄격한 기준과
      추적성·자율점검·정기감사 등 의무를 이행해야 합니다236.

요약

  • ‘지속가능한 축산’(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은 기존 IGP 소고기 농가도
    별도 규약 수정 없이 추가로 받을 수 있으며,
    두 인증 마크를 제품 라벨에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중 인증 구조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품질·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합니다.

 

  •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에 가입한 공급망 대표(협동조합, 생산자조직 등)는,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기준을 충족하는 생산물에 대해 공식 등록 마크(로고) 사용을 신청할 수 있다.
  • 이 마크는 생산물의 품질과 인증을 홍보하고, 시장에서 차별화하는 데 사용된다.

로고 종류 및 사용 조건

  • 왼쪽 2개(초록·빨강, 이탈리아 지도): Consorzio Sigillo Italiano
    • 일반 인증(좌):
      • SQNZ 기준을 충족한 이탈리아산 축산물에 사용
    • 지속가능성 인증(우):
      • ‘Allevamenti Sostenibili(지속가능한 축산)’ 기준까지 충족한 이탈리아산 생산물에 사용
    • → 두 마크 모두 ‘이탈리아 생산 기업’만 사용 가능
  • 오른쪽 2개(파랑·초록, 영문): National Livestock Quality System
    • 일반 인증(좌):
      • SQNZ 기준을 충족한 유럽 내(이탈리아 외) 생산물에 사용
    • 지속가능성 인증(우):
      • ‘Sustainable Livestock(지속가능한 축산)’ 기준까지 충족한 유럽 내 생산물에 사용
    • → 두 마크 모두 ‘유럽 내 생산 기업’만 사용 가능

하단 주석 해설

  • 이탈리아 삼색(초록·하양·빨강) 마크:
    • 오직 이탈리아에서 생산·인증된 SQNZ 제품에만 부착 가능
  • 파랑·초록 마크:
    • 유럽 내 타국에서 생산·인증된 SQNZ 제품에만 부착 가능

배경 및 시사점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는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체계에서
    공식적으로 품질·추적성·지속가능성 등을 인증받은 축산물에만 부착할 수 있는 신뢰의 상징입니다.
  • 이탈리아에서 생산된 제품은 삼색(이탈리아 국기색) 마크,
    유럽 타국 생산품은 파랑·초록 마크로 명확히 구분되어,
    소비자에게 원산지·품질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합니다.
  • 지속가능성 인증까지 받은 제품은 별도 ‘Allevamenti Sostenibili/Sustainable Livestock’ 표기가 추가됩니다.

요약

  • Consorzio Sigillo Italiano에 가입한 공급망 대표는,
    SQNZ 인증 생산물에 대해 공식 마크(이탈리아 또는 유럽용)를 신청·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 마크는 품질, 투명성, 지속가능성의 신뢰를 상징하며,
    소비자가 쉽게 인증 제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l «marchio ombrello» del CONSORZIO SIGILLO ITALIANO può fare la differenza per promuovere e valorizzare le produzioni zootecniche certificate SQNZ.
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Consorzio Sigillo Italiano)의 ‘우산 브랜드(marchio ombrello)’는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인증 축산물의 홍보와 가치 제고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Solo l’1,3% della carne prodotta in Italia è IGP e i consumatori la riconoscono soprattutto perché di RAZZA Chianina, Marchigiana, Romagnola e può contare, soprattutto sulla conoscenza della RAZZA.
Gli allevatori piemontesi hanno scelto l’SQNZ del Fassone di Razza Piemontese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고기의 단 1.3%만이 IGP(지리적 표시 보호) 인증을 받았으며,
소비자들은 주로 키아니나(Chianina), 마르키자나(Marchigiana), 로마뇰라(Romagnola) 품종임을 근거로 이 고기를 인식한다.
즉, 품종에 대한 인지도가 주요 기준이다.
피에몬테 지역 축산농가들은 피에몬테세 파소네 품종에 대해 SQNZ 인증을 선택했다.


Il restante 98,7% della carne prodotta in Italia in «forma anonima», non ha un brand e per il consumatore diventa difficile poterla riconoscere e preferirla a quella estera.

나머지 98.7%의 이탈리아산 고기는 ‘익명 형태(forma anonima)’로 유통되며,
별도의 브랜드가 없어 소비자가 이를 인식하거나 외국산보다 선호하기 어렵다.


핵심 해설

  • Consorzio Sigillo Italiano의 ‘우산 브랜드’ 역할: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인증 축산물에 공식 브랜드 마크를 부여함으로써,
    소비자가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을 쉽게 인식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현실:
    • 이탈리아산 소고기 중 IGP 인증(키아니나, 마르키자나, 로마뇰라 등 특정 품종)은 1.3%에 불과.
    • 나머지 98.7%는 브랜드·라벨 없이 ‘익명’으로 유통되어,
      소비자가 이탈리아산임을 알아보기 어렵고, 외국산과의 차별화가 힘듦.
  • 시사점:
    • SQNZ 인증과 우산 브랜드 도입은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인지도·신뢰도·시장 선호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요약:
이탈리아산 소고기의 98.7%는 브랜드·인증 없이 ‘익명’으로 유통되어
소비자가 이를 인식하거나 외국산보다 선호하기 어렵다.
SQNZ 인증과 Consorzio Sigillo Italiano의 우산 브랜드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을 강조하는 슬라이드입니다

 

 

Il nuovo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Benessere Animale SQNBA (in itinere i disciplinari) presenta molte criticità:
새로운 국가 동물복지 품질인증제도(SQNBA, 현재 규약 마련 중)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모든 유럽 생산자에게 개방
    모든 유럽 생산자는 SQNBA로 자사 농장을 인증할 수 있다(기존 SQNZ와 유사하나, 차이점은 2번에 있음).
  2. 공식 등록 마크의 사용
    법률에 따라 MASAF(이탈리아 농림부)와 보건부가 등록한 마크는 SQNBA로 인증받은 모든 유럽산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SQNZ는 MASAF 등록 마크가 없음).
  3. 항생제 사용 산출 방식의 문제
    SQNBA 규약에 ‘중앙값(mediana)’을 적용해 항생제 사용량을 산출하는 방식이,
    Classyfarm의 점수 방식 대신 도입되면 상업 활동에 영향을 주고, 해외 경쟁을 더 쉽게 만들어줄 수 있다.
  4. 규제의 경직성 및 비용 증가
    (법적으로 동물복지 표시는 SQNBA만 허용)
    이로 인해 대형 유통업체(GDO)는 생산자에게 추가 인증을 요구할 수 있어,
    생산비가 늘어나도 보상받지 못할 위험이 있다.

핵심 해설

  • **SQNBA(국가 동물복지 품질인증제도)**는 2025년부터 이탈리아에서 시행되는 새로운 공식 동물복지 인증제도입니다345.
  • 비판적 쟁점 요약:
    • 1. 유럽 전역 개방:
      SQNBA는 이탈리아뿐 아니라 모든 EU 생산자에게 개방되어,
      이탈리아산과 외국산 간 차별화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2. 공식 마크 사용:
      MASAF 공식 등록 마크가 부착되어,
      SQNBA 인증을 받은 모든 유럽산 동물성 제품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3. 항생제 산출 방식:
      ‘중앙값’ 방식 도입이 상업적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고,
      해외 경쟁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 4. 법적 강제 및 비용:
      동물복지 표시는 SQNBA만 허용되어,
      대형 유통업체가 추가 인증을 요구할 수 있고,
      생산비 증가가 보상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배경:
    • SQNBA는 기존 다양한 동물복지 인증을 통합·표준화하고,
      과학적·비교가능한 기준을 도입해 소비자 신뢰와 시장 투명성을 높이려는 제도입니다345.
    • 하지만, 비용 증가, 외국산과의 차별화 약화, 상업적 불이익 
      실무적·경제적 문제에 대한 우려가 현장과 전문가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6.

요약:
SQNBA는 이탈리아의 공식 동물복지 인증제도이지만,

  • 유럽 전역 개방,
  • 공식 마크의 범용성,
  • 항생제 산출 방식,
  • 법적 강제와 비용 증가
    등의 문제로 업계 내 비판과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

 

“공공 블록체인 도입 예정:
SQNZ 인증,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 생산물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전달합니다.”

공급망의 요구를 앞서 예측하고,
소비자에게 공증된(공개적으로 검증된)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핵심 해설

  • 무엇을 말하는가?
    이탈리아의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
    그리고 생산물의 ‘지속가능성’(환경·사회·경제 기준 충족) 정보를
    **‘공공 블록체인’**에 기록해
    **소비자와 유통망 모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인증·추적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왜 블록체인인가?
    • 공증(노타리제이션) 기능: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누구나 공개적으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 투명성·신뢰성:
      소비자는 QR코드 등으로
      고기의 생산자, 사육방식, 인증여부, 지속가능성 등
      모든 이력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급망 요구 대응:
      유통·소매(GDO), 수출, 공공급식 등에서
      점점 더 엄격한 ‘추적성’과 ‘공인된 품질정보’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적용 예시:
    • 사료회사 → 사육농가 → 도축장 → 가공·포장 → 유통 → 소비자
      모든 단계의 품질·인증·추적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공증되어
      소비자에게 QR코드 등으로 제공됩니다35.
    • SQNZ, Consorzio Sigillo Italiano, 지속가능성 인증 등
      다양한 품질마크와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관리·제공.

시사점

  •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신뢰·차별화:
    블록체인 기반 인증·추적 시스템은
    이탈리아산 고기와 가공육의 신뢰도를 높이고,
    ‘익명’ 고기와 외국산과의 차별화에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소비자 보호:
    소비자는 라벨·QR코드만으로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의 공증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고 투명한 식품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요약:
이탈리아는 SQNZ, Consorzio Sigillo Italiano, 지속가능성 인증 정보를
공공 블록체인에 기록해
소비자와 유통망 모두에게
공증된(위·변조 불가) 투명한 인증·추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는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신뢰, 차별화, 시장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혁신입니다

 

 

이탈리아 소비자에게 식품 이력 추적(트래서빌리티)의 중요성

이 이미지는 2022년 Osservatorio Smart AgriFood 연구(1034명 대상) 결과로,
이탈리아 소비자들이 식품의 이력 추적(트래서빌리티) 정보를 얼마나 자주,
어떤 디지털 도구로 찾는지 보여줍니다24.


1. 소비자의 트래서빌리티 정보 탐색 빈도

  • 항상 찾는다: 14%
  • 자주 찾는다: 39%
  • 가끔 찾는다: 35%
  • 전혀 찾지 않는다: 12%

→ **76%**가 “가끔 이상” 디지털 도구로 식품 이력 정보를 찾아본 경험이 있습니다.


2. 가장 많이 쓰는 디지털 도구

  •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도구:
    기업 공식 웹사이트(60%가 경험),
    다음으로 소셜·플랫폼, QR코드, 공식 소셜채널, NFC 순입니다.

3. 해설 및 시사점

  • 대부분의 이탈리아 소비자는 식품의 이력, 원산지, 생산·유통 정보를 알고 싶어 하며,
    **디지털 도구(웹사이트, QR코드, 소셜 등)를 점점 더 활용**하고 있습니다42.
  • 특히 젊은 층일수록 디지털 활용도가 높고,
    트래서빌리티 정보가 식품 구매에 중요한 기준
    이 되고 있습니다.
  • 기업·유통업체는 웹사이트, QR코드, 소셜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투명한 이력 정보를 제공해야 소비자의 신뢰와 선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요약:
이탈리아 소비자 10명 중 9명은 식품 이력 추적 정보에 관심이 있으며,
4명 중 3명은 디지털 도구로 정보를 찾아본 경험이 있습니다.
공식 웹사이트, 소셜, QR코드 등이 주요 채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24.

 

L’innovazione digitale per la tracciabilità alimentare: il punto di vista dei consumatori italiani

Il Rapporto presenta i risultati della ricerca svolta dall’Osservatorio Smart AgriFood su un campione di oltre 1000 consumatori italiani, all’interno della quale è stato indagato il rapporto di questi ultimi con la tracciabilità alimentare, la sua ri

www.osservatori.net

 

 

COME COMUNICARE AI CONSUMATORI LE PRODUZIONI DEGLI ALLEVATORI ITALIANI E RENDERLE FACILMENTE RICONOSCIBILI SUI BANCHI DELLA GDO?
이탈리아 축산농가의 생산물을 소비자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리고,
대형 유통매장(GDO) 진열대에서 쉽게 인식 가능하게 할 것인가?

SEGUONO ALCUNI ESEMPI CONCRETI DI UTILIZZO DEL MARCHIO OMBRELLO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이제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공식 로고)의
실제 적용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하단: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


해설 및 맥락

  •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는
    이탈리아산 축산물(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계란, 우유, 수산물 등)이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기준**을 충족했음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만든 공식 통합 로고입니다2345.
  • 목적:
    • 소비자가 진열대에서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을
      쉽게 식별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입니다.
    • 생산자·유통업체가 자사 제품의 품질, 동물복지, 추적성, 원산지 등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 배경:
    • DOP, IGP 등 전통 인증 외에,
      전체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80% 이상이 ‘익명’으로 유통되어
      소비자가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5.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활용:
    • 대형마트(GDO) 진열대, 포장, 라벨, 광고, 프로모션 등
      다양한 채널에서 로고를 부착해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고,
      외국산과의 차별화, 신뢰성 강화에 기여합니다2345.

요약:
이 슬라이드는

  •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식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를
    대형 유통매장 등에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메시지와,
  • 실제 적용 사례 소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  

 

 

이탈리아는 많은 고기, 우유, 생선을 해외에서 수입합니다!
이탈리아 농민이 생산한 제품을 안심하고 구입하고 싶으신가요?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를 찾아보세요.
이 마크가 붙은 제품은 이탈리아 농민이 생산한 고품질 생산물로,
농림부 및 식품주권부의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시스템으로 인증받은 것입니다!

당신의 가게에서 이 제품을 찾을 수 없나요?
가게 주인에게 이탈리아 농민이 생산한 제품을 주문해달라고 요청하세요!


해설

  • 핵심 메시지:
    이탈리아산 육류·유제품·수산물의 상당 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니,
    소비자가 안심하고 이탈리아 농민의 고품질 인증 제품을 구매하려면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로고**를 확인하라는 안내입니다.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시스템:
    농림부(MASAF)와 식품주권부가 공식 인증하는 품질 시스템으로,
    동물복지·환경·추적성 등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이탈리아산 축산물에만 부여됩니다.
  • 소비자 행동 촉구:
    만약 매장에서 이 마크가 붙은 제품을 찾을 수 없다면,
    **직접 점주에게 ‘이탈리아 농민이 생산한 인증 제품’ 주문을 요청하라**고 권장합니다.

요약:
이 이미지는

  •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 부착, SQNZ 인증)을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찾고,
  • 매장에서 보이지 않을 경우 점주에게 주문을 요청하라는
    **국산 인증제품 소비 촉진 캠페인 메시지**입니다.

 

 

UN MARCHIO OMBRELLO SEMPLICE, VISIBILE ED INEQUIVOCABILE!
“간단하고, 눈에 잘 띄며, 명확한 우산 브랜드(공식 통합 로고)!”


이미지 설명

  • 왼쪽(A):
    일반 포장육(라벨만 있음)
  • 오른쪽(B):
    같은 고기이지만,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로고가 부착되어 있음

하단 질문 번역

Quale vaschetta di carne comprerebbe più facilmente il consumatore ...se la sera prima ha visto in TV o sui SOCIAL la promozione del logo Consorzio Sigillo Italiano? La vaschetta A o B?
“만약 소비자가 전날 TV나 소셜미디어에서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 홍보를 봤다면,
어떤 고기 포장(A 또는 B)을 더 쉽게 구매할까요?”


핵심 메시지 및 시사점

  • 우산 브랜드(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의 효과:
    • 소비자가 TV, SNS 등에서 이탈리아산 인증마크(Consorzio Sigillo Italiano)를 인지했다면,
      매장에서 로고가 부착된 B 포장육을 훨씬 더 신뢰하고, 쉽게 선택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브랜드·인증의 중요성:
    • 단순한 라벨만 있는 A보다,
      **공식 인증마크가 부착된 B가 ‘이탈리아산, 품질보증, 신뢰’의 상징**으로
      소비자 선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메시지입니다.
  • 마케팅·홍보의 힘:
    • TV·SNS 등에서 브랜드·인증마크를 반복적으로 노출하면,
      실제 구매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요약

이 이미지는

  •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인증마크**가
    소비자가 매장에서 ‘이탈리아산 고품질 축산물’을
    **쉽게 인식하고, 신뢰하며, 선택하도록 돕는 핵심적 역할**임을 강조합니다.
  • **브랜드·인증의 힘**이 실제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이미지는 “소비자에게 별로 매력적이지 않은 정육점 진열대”의 예시를 보여주며,
소비자가 정육 코너에서 실제로 어떤 정보를 보고, 어떤 불편을 겪는지 설명합니다.


이미지 주요 내용 요약

상단 노란색 박스

  • Esempio di un banco macelleria, «poco interessante» per il consumatore
    “소비자에게 별로 흥미롭지 않은 정육점 진열대의 예시”
  • Simulazione a titolo esemplificativo
    “예시 시뮬레이션”

좌측 하단(파란색/빨간색 박스)

COSA GUARDA IL CONSUMATORE:
소비자가 주로 보는 것:

  1. 고기의 색깔
  2. 부위(컷)
  3. 가격

우측 하단(파란색/빨간색 박스)

QUESTO E’ UN BANCO MACELLERIA «POCO LEGGIBILE»!
“이것은 ‘읽기 어려운’(정보가 부족한) 정육점 진열대입니다!”

  • 고기 부위를 잘 모르는 소비자는 항상 정육점 직원에게 물어보고, 결국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 시간도 낭비되고, 종종 “이 고기는 어디서 온 것일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 맛있기를 바라지만, 불안하고, 불편함을 느낍니다.
    정보가 부족합니다!

해설 및 시사점

  • 문제점:
    • 진열대에 고기 색, 부위, 가격 외에는
      원산지, 품질, 생산자, 인증 등 소비자가 신뢰할 만한 정보가 거의 없습니다.
    • 소비자는 정보 부족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매번 직원에게 물어보거나, 단순히 ‘믿고’ 구매해야 합니다.
    • 구매 결정이 느려지고, 만족도·신뢰도가 떨어집니다.
  • 시사점:
    • 명확한 라벨링, 원산지·인증 정보, 브랜드(예: Consorzio Sigillo Italiano 등) 표시가
      소비자 신뢰와 구매욕구를 높이고,
      선택을 빠르고 쉽게 만들어줄 수 있음을 강조하는 맥락입니다234.

요약:
이 이미지는

  • 단순히 색, 부위, 가격만 표시된 ‘정보 부족’ 정육 코너는
    소비자에게 불안과 불편을 주며,
  • 명확한 정보와 인증마크, 브랜드 표시가
    소비자 만족·구매욕구·신뢰를 높이는 데 필수적임을 시사합니다

이미지 해설 및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정육매대에서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와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MDD, Marca del Distributore) 라벨이 함께 부착된 고기 제품의 예시를 보여줍니다. 각 부위별로 가격, 사육 방식(곡물 사육), 품종 정보가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주요 메시지 및 효과

  1. 정보의 명확성 및 추적성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와 함께, 제품명, 부위, 사육 방식(예: "di Scottona allevata ai Cereali" – 곡물 사육 암송아지, "di Vitellone allevato ai Cereali" – 곡물 사육 비육우), 가격(€/kg)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명확한 정보와 추적성 표시는 소비자가 제품의 품질, 원산지, 사육방식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2356.
  2. 구매 욕구와 신뢰도 증가
    • 소비자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마크와 투명한 정보 덕분에 더 안심하고, 적극적으로 구매하게 됩니다.
    • 슬라이드 하단 문구처럼,
    • "정보가 명확하고 Consorzio Sigillo Italiano의 추적성 문구를 사용하면(유통업체 브랜드와 병행), 소비자는 더 자극받고, 더 안심하며 구매한다.
      구매 욕구가 높아지고, 선택과 구매가 빨라진다!"
      라고 강조합니다.
  3. 선택과 구매의 용이성
    • 명확한 라벨링과 인증마크 덕분에 소비자는 제품을 빠르고 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로 구매 전환율과 만족도를 높입니다56.

시사점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는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신뢰와 차별화,
    그리고 소비자에게 ‘품질 보증’과 ‘추적성’을 명확히 전달하는 핵심 도구입니다235.
  • **유통업체 브랜드(MDD)와의 병행 표기**는 브랜드 신뢰도와 시장 접근성을 동시에 높여줍니다.
  • 결론적으로,
    이런 시스템은 소비자 신뢰, 구매욕구, 선택의 속도와 용이성을 모두 높여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요약:
명확한 정보와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마크, 그리고 유통업체 브랜드가 함께 표시된 고기 제품은
소비자에게 신뢰와 안심, 구매욕구를 높여주며,
실제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임을 보여줍니다

 

이미지 해설 및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대형 유통업체 ‘IL GIGANTE’의 하이퍼마켓/슈퍼마켓 정육 코너(banco macelleria)를 보여줍니다.


주요 특징

  • ‘QUALITÀ E SICUREZZA DI FILIERA’(공급망 품질 및 안전) 인증 라벨:
    • 각 고기 부위마다 파란색 ‘Q’ 마크와 함께 “Qualità e sicurezza di filiera”라는 표식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 이는 해당 고기가 **공식적으로 인증된 공급망(추적성, 품질, 동물복지 등 기준 충족)**에서 생산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가격 및 부위 정보의 명확한 표시:
    • 각 부위별로 가격(€/hg 또는 €/kg), 부위명, 트래서빌리티(추적성) 정보가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 소비자가 쉽게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있습니다.
  • 품종 및 동물복지 정보:
    • 하단 파란색 배너에 “INCROCIO DI GARONNESE BLONDE D’AQUITAINE”
      (가론네즈 블론드 다키텐 품종 교잡우)라고 표시되어,
      고기의 품종까지 명확히 안내합니다.
    • “BENESSERE ANIMALE”
      (동물복지: 사육환경, 복지 기준 준수) 문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사점

  • 소비자 신뢰와 선택성 강화:
    • 인증마크, 품종, 동물복지, 추적성, 가격 등
      다양한 정보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진열되어
      소비자가 안심하고, 빠르고 쉽게 구매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브랜드·인증의 역할:
    • ‘Q’ 마크와 공식 문구는
      이탈리아산 고기의 품질과 안전, 신뢰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외국산·무인증 고기와의 차별화를 돕습니다.

요약:
이 이미지는

  • 이탈리아 대형마트 정육 코너에서
  • 공식 인증마크, 품종, 동물복지, 추적성, 가격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명확히 제공함으로써
  • **신뢰와 구매욕구를 높이는 진열·라벨링의 모범 사례**를 보여줍니다.

 

이미지 해설 및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대형 유통업체 ‘IL GIGANTE’의 하이퍼마켓·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인증 소고기 포장육 진열대입니다.


주요 특징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 라벨 부착
    • 모든 포장육에 ‘SCOTTONA’(암송아지), ‘BENESSERE ANIMALE’(동물복지), ‘Q’ 마크(공급망 품질·안전 인증) 등
      공식 인증 라벨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 이는 해당 고기가 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합니다.
  • 명확한 정보 제공
    • 각 포장에는 부위명, 사육 방식(곡물 사육 등), 가격, 추적성 정보, 동물복지 인증 등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소비자가 쉽게 신뢰하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브랜드 신뢰도 및 차별화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와 ‘IL GIGANTE’ 유통업체 브랜드가 병행 표기되어
      소비자에게 이탈리아산 고품질 인증 축산물임을 강조합니다.

하단 문구 번역

LE VASCHETTE PRECONFEZIONATE NEGLI IPER E SUPERMERCATI «IL GIGANTE» CON IL DEL CONSORZIO SIGILLO ITALIANO.

“IL GIGANTE” 하이퍼마켓·슈퍼마켓의 모든 포장육에는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인증 라벨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결론

이 이미지는

  • **공식 인증마크와 명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 신뢰와 구매욕구를 높이고,
  •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의 시장 경쟁력과 차별화를 실현하는
    모범적인 진열·라벨링 사례임을 보여줍니다.

 

이미지 해설 및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대형 유통업체 ‘IL GIGANTE’에서 배포한 공식 전단지 예시로,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와 ‘Q’(공급망 품질·안전) 인증을 받은 소고기 제품의 홍보와,
곡물 사육, 동물복지, 추적성 등 품질 정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1.


주요 구성 및 메시지

  • 상단:
    • “QUALITÀ E SICUREZZA DI FILIERA Q”
      (공급망의 품질과 안전 ‘Q’)
    • “LE NOSTRE CARNI DI FILIERA”
      (우리의 공급망 인증 육류)
  • 중앙:
    • “SOLO ALLEVAMENTI CERTIFICATI”
      (오직 인증된 농장에서만 생산)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와 ‘Q’ 마크가 모든 고기 사진에 부착
    • “ESEMPIO DI UN VOLANTINO DEI SUPERMERCATI «IL GIGANTE» Stampati 1,6 milioni x 3 uscite, distribuiti ai consumatori.”
      (슈퍼마켓 ‘IL GIGANTE’ 전단지 예시, 160만 부 × 3회 발행, 소비자 배포)
  • 우측:
    • 다양한 소고기 부위(폴파 마그라, 피짜이올라용 슬라이스, 스코타디토, 아로스토 등)와
      각 부위별 가격(€/etto, 100g 단위), 용도, 인증마크가 명확히 표기
  • 하단:
    • “ALIMENTAZIONE DEI BOVINI A BASE DI CEREALI”
      (곡물 사육 소고기)
    • “BENESSERE ANIMALE”
      (동물복지: 깨끗한 물, 무기생충, 통제된 기후, 스트레스 없음, 질병 보호 등)
    • “IL CONSORZIO SIGILLO ITALIANO GARANTISCE LA TRACCIABILITÀ DELLE CARNI”
      (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가 고기의 추적성을 보장)
    • “mipaaf” (농림부 공식 인정)

시사점 및 효과

  • **공식 인증마크(Consorzio Sigillo Italiano, Q)와 명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는 제품의 원산지, 사육 방식, 동물복지, 추적성, 품질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단지 대량 배포(160만 부 × 3회)**로
    소비자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인증 축산물의 시장 경쟁력과 차별화를 실현합니다.
  • **각 부위별 용도·가격·인증 표시**는
    소비자의 선택과 구매를 빠르고 쉽게 만들어줍니다.

요약:
이 이미지는

  • ‘IL GIGANTE’ 슈퍼마켓에서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과 Q마크, 동물복지, 추적성 등
    공식 품질 정보를 강조한 소고기 제품을
  • 대규모 전단지로 홍보하여
    소비자 신뢰와 구매욕구를 높이는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 마케팅 사례를 보여줍니다1.
 
 
 
 
 

 

이미지 해설 및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의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와 그 인증마크의 의미, 그리고 2023년 밀라노 TUTTOFOOD 박람회 현장 홍보 부스를 보여줍니다.


좌측: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마크와 메시지

  • 인증마크(로고) 주요 요소
    • Spazi adeguati: 적정 사육 공간
    • Alimentazione sana: 건강한 사료(영양관리)
    • Controlli veterinari: 수의사 건강관리
    • Filiera tracciabile: 공급망(생산~유통) 추적 가능
    • Qualità superiore: 우수한 품질
  • 중앙 문구
    • Allevamenti sostenibili per il benessere degli animali e dell’ambiente
      “동물과 환경의 복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축산”
  • 하단 메시지
    • Pensiamo al loro benessere per garantire il tuo
      “우리는 동물의 복지를 생각합니다. 그것이 곧 당신의 안전입니다.”
  • 배경: 이탈리아산 소 떼 사진
    → 인증마크가 실제 축산 현장과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

우측: 2023 밀라노 TUTTOFOOD 박람회 홍보 부스

  •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부스(TUTTOFOOD 2023, 밀라노)
    • “Qualità e Sicurezza” (품질과 안전)
      “I nostri allevamenti per l’ambiente e il benessere”
      “우리 농장은 환경과 동물복지를 지향합니다”
    • I nostri allevamenti sono sostenibili!
      “우리 농장은 지속가능합니다!”
  • 부스 디자인
    • 브랜드 컬러(녹색, 적색, 흰색)와 인증마크를 전면에 배치
    • 다양한 홍보물, 상담 데스크, 실제 농장 사진 등으로 신뢰와 투명성 강조

배경 및 시사점

  •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기준을 충족한
    고품질·지속가능·동물복지 축산물에 부여되는 공식 우산 브랜드입니다34.
  • 목적:
    • 소비자에게 “이탈리아산, 추적가능, 동물복지, 환경보호, 우수품질”을 한눈에 알릴 수 있도록
      단일 마크로 통합 홍보
    • 생산자·유통·가공업체가 함께 참여해,
      투명하고 신뢰받는 공급망 구축23.
  • **TUTTOFOOD 박람회**는 이탈리아 및 세계 식품업계의 대표적 B2B 행사로,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이 자리에서
    “지속가능성, 품질, 추적성, 동물복지”의 가치를
    국내외 바이어와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습니다26.

결론

이 이미지는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마크가 의미하는 “동물복지, 환경보호, 우수품질, 추적성, 건강관리”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 2023년 밀라노 TUTTOFOOD 박람회에서
    이탈리아산 인증 축산물의 신뢰와 경쟁력을
    국내외 시장에 홍보하는 현장을 보여줍니다.

이탈리아산 축산물의 신뢰, 투명성, 지속가능성의 상징이 바로 Consorzio Sigillo Italiano입니다.

 

 

SQNZ “Uovo + Qualità ai Cereali” 인증 계란: 브랜드, 기준, 시장 적용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의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 “Uovo + Qualità ai Cereali” 인증을 받은 계란의 실제 브랜드(AgriOvo, Fantolino) 포장과,
이 인증 계란이 대형마트에 진열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1. “Uovo + Qualità ai Cereali”란?

  • **SQNZ “Uovo + Qualità ai Cereali”**는 이탈리아 농림부(MASAF)가 공식 승인한 생산 규약에 따라,
    • 주사료가 곡물(최소 60%)인 닭이 낳은 계란만 인증합니다258.
    • 동물복지, 사육환경, 위생, 추적성, 비유전자변형 사료(Non-OGM) 등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 로고가 부착됩니다259.

2. 브랜드별 적용 사례

  • Fantolino
    • “Delicate ai Cereali” 계란은 SQNZ “Uovo + Qualità ai Cereali” 인증을 받은 대표 제품입니다.
    • **피에몬테 지역**에서 생산, 곡물 위주 사료, 동물복지·위생·추적성 기준을 모두 충족23511.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와 함께,
      “allevamento a terra”(방사 사육), “origine Italia”(이탈리아산) 등 정보가 명확히 표시됨.
  • AgriOvo
    • “Le Monelle” 등 다양한 라인업이 SQNZ 인증을 받았으며,
      생산~유통 전 과정의 완전한 추적성 신선도를 강조4.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 사육방식, 원산지, 추적코드 등 상세 정보 표기.

3. 인증 기준 및 특징

  • 사료:
    • 닭 사료의 주성분이 곡물(최소 60%), 동물성 단백질·합성 색소·유전자변형 사료 금지568.
  • 동물복지:
    • 사육환경, 공간, 온도, 습도, 공기질 등 엄격한 기준.
    • OGM(유전자변형생물) 금지, 건강·위생관리, 항생제 최소 사용.
  • 생산·유통:
    • 계란은 전 과정 추적 가능(코드·라벨 부착).
    • 신선도 보장(24시간 내 유통 등), 위생·살모넬라 예방 등 강화된 위생관리610.
  • 공식 인증: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 부착 시,
      소비자에게 “이탈리아산, 곡물사육, 동물복지, 완전 추적성”을 한눈에 알릴 수 있음259.

4. 시장 적용 및 소비자 효과

  • 대형마트 진열:
    • 사진처럼, SQNZ 인증 계란은 대형마트 전용 진열대에 별도 배치되어
      소비자가 쉽게 식별·구매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신뢰·차별화:
    • SQNZ 인증과 Consorzio Sigillo Italiano 로고는
      품질, 안전, 동물복지, 이탈리아산임을 보증하는 신뢰의 상징입니다.
    • 브랜드별 차별화(AgriOvo, Fantolino 등)와 동시에
      국가 인증 체계로 통합 관리되어,
      익명·무인증 계란과 명확히 구분됩니다.

결론

  • **SQNZ “Uovo + Qualità ai Cereali” 인증 계란**은
    • 곡물 위주 사료, 동물복지, 위생, 추적성 등
      이탈리아 국가 기준을 충족한 계란만 공식 인증·유통됩니다.
  • **Fantolino, AgriOvo 등 주요 브랜드가 대표적**이며,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와 함께
      대형마트 등에서 별도 진열·홍보되고 있습니다.
  • **소비자는 라벨만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이탈리아산, 동물복지 인증 계란을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259.

 

 

 

SQNZ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 수산물의 상업화 개시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에서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의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을 받은 수산물(양식 어류, 예: 송어 등)이
실제 유통·판매(상업화)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안내입니다.


주요 내용 및 해설

  • 상단 메시지: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의 상업화도 시작되었습니다.”
  • 로고 및 브랜드 예시:
    • Assaggi e paesaggi: SQNZ 인증(농림부 MASAF 공식 인정)
    • AQUA DeMâ: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와 함께 사용
    • 이미지 예시: 송어(양식 어류)
    • IL GIGANTE(대형마트)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라벨(오페르콜로: 포장지 앞/뒤면)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이란?

  • 정의:
    • 이탈리아 농림부와 유럽연합이 공식 인정한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은
      환경적, 사회적, 윤리적 기준을 충족한 양식 수산물에 부여됩니다.
  • 인증 기준:
    • 생산·사육·가공 전 과정에서
      환경보호, 동물복지, 완전한 추적성, 위생, 사회적 책임 등
      법적 기준을 뛰어넘는 엄격한 규약을 적용2.
    • **SQNZ 인증 라벨**은
      해당 수산물이 이러한 기준을 충족했음을 공식적으로 보증합니다.
  • 효과:
    • 소비자는 SQNZ,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가 부착된 수산물을 통해
      “이탈리아산, 지속가능, 추적 가능, 고품질”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형마트, 레스토랑 등에서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의 유통·소비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2.

시사점

  • 시장 확대:
    •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은
      이제 대형 유통업체, 레스토랑, 급식 등 다양한 채널에서
      공식 인증 라벨과 함께 판매·소비되고 있습니다.
  • 소비자 신뢰:
    • 인증마크는
      품질, 환경, 안전, 사회적 책임까지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하는 신뢰의 상징입니다.
  • 공식 정보:
    • 관련 기업·생산자·유통업체는
      Hello Fish 공식 포털 등에서
      인증 기업과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2.

요약:
이탈리아에서는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을 받은 수산물(예: 송어 등)이
공식 인증마크(Consorzio Sigillo Italiano 등)와 함께
대형마트, 레스토랑 등에서 본격적으로 상업화·유통되고 있습니다.
이 인증은 환경보호, 동물복지, 완전한 추적성 등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고품질 수산물임을 보증합니다

 

 

SQNZ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 수산물의 상업화 개시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에서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의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을 받은 수산물(양식 어류, 예: 송어 등)이
실제 유통·판매(상업화) 단계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안내입니다.


주요 내용 및 해설

  • 상단 메시지: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의 상업화도 시작되었습니다.”
  • 로고 및 브랜드 예시:
    • Assaggi e paesaggi: SQNZ 인증(농림부 MASAF 공식 인정)
    • AQUA DeMâ: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와 함께 사용
    • 이미지 예시: 송어(양식 어류)
    • IL GIGANTE(대형마트)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라벨(오페르콜로: 포장지 앞/뒤면)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이란?

  • 정의:
    • 이탈리아 농림부와 유럽연합이 공식 인정한
      지속가능 양식(Acquacoltura Sostenibile) 인증은
      환경적, 사회적, 윤리적 기준을 충족한 양식 수산물에 부여됩니다.
  • 인증 기준:
    • 생산·사육·가공 전 과정에서
      환경보호, 동물복지, 완전한 추적성, 위생, 사회적 책임 등
      법적 기준을 뛰어넘는 엄격한 규약을 적용2.
    • **SQNZ 인증 라벨**은
      해당 수산물이 이러한 기준을 충족했음을 공식적으로 보증합니다.
  • 효과:
    • 소비자는 SQNZ,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가 부착된 수산물을 통해
      “이탈리아산, 지속가능, 추적 가능, 고품질”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대형마트, 레스토랑 등에서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의 유통·소비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2.

시사점

  • 시장 확대:
    •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 수산물은
      이제 대형 유통업체, 레스토랑, 급식 등 다양한 채널에서
      공식 인증 라벨과 함께 판매·소비되고 있습니다.
  • 소비자 신뢰:
    • 인증마크는
      품질, 환경, 안전, 사회적 책임까지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하는 신뢰의 상징입니다.
  • 공식 정보:
    • 관련 기업·생산자·유통업체는
      Hello Fish 공식 포털 등에서
      인증 기업과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2.

요약:
이탈리아에서는 SQNZ “지속가능 양식” 인증을 받은 수산물(예: 송어 등)이
공식 인증마크(Consorzio Sigillo Italiano 등)와 함께
대형마트, 레스토랑 등에서 본격적으로 상업화·유통되고 있습니다.
이 인증은 환경보호, 동물복지, 완전한 추적성 등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고품질 수산물임을 보증합니다

 

(IN DIRITTURA D’ARRIVO) IL DISCIPLINARE SQNZ MIELE
“(도입 임박) SQNZ 꿀(꿀벌산물) 생산 규약”


이미지 설명

  • 왼쪽:
    일반 꿀 제품(라벨 없음)
  • 오른쪽:
    같은 꿀 제품이지만,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인증마크가 부착되어 있음
  • 중앙 화살표: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생산 규약이 도입되면,
    이탈리아산 꿀에도 공식 인증마크를 부착할 수 있게 됨을 시각적으로 표현

해설 및 시사점

  • **SQNZ “MIELE”(꿀) 생산 규약은 현재 도입이 임박한 상태**임을 알리는 슬라이드입니다.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인증마크**는
    이탈리아 국가 축산품질인증(SQNZ) 기준을 충족한
    고품질, 추적성, 안전, 환경·동물복지 기준을 갖춘 꿀에 부여됩니다.
  • 소비자 효과:
    • 인증마크가 부착된 꿀은
      “이탈리아산, 국가 공식 기준 충족, 신뢰할 수 있는 품질”임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 익명·무인증 꿀과 명확히 구분되어
      시장에서 신뢰와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결론

  • **SQNZ 꿀(꿀벌산물) 생산 규약이 곧 도입될 예정**이며,
    앞으로 이탈리아산 꿀에도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이 출시될 것임을
    알리는 안내 이미지입니다.
  • 이는 이탈리아산 꿀의 품질, 추적성, 신뢰성
    국가 차원에서 공식 인증하는 제도가 곧 시행됨을 의미합니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의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에서 곧 도입될 돼지고기(“Carne suina”) 생산 규약에 관한 안내입니다.
베네토 주가 이미 생산 규약을 농림부(MASAF)에 제출한 상태로,
SQNZ에 공식 포함되면 살루미(가공육), 갈비, 브라촐라, 소시지 등 다양한 돼지고기 제품에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를 부착할 수 있게 됨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주요 메시지

  • 상단 문구 번역:
    “SQNZ에 ‘Carne suina(돼지고기)’ 생산 규약이 포함되면
    (베네토 주가 이미 MASAF에 제출),
    살루미, 갈비, 브라촐라, 소시지 등을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로 식별할 수 있게 됩니다.”
  • 이미지 구성:
    • 왼쪽:
      • 인증마크 없는 기존 돼지고기 가공육(살루미, 소시지, 갈비 등)
    • 중앙 화살표:
      • SQNZ 규약 도입 후 변화(공식 인증 적용)
    • 오른쪽:
      • 모든 제품에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인증마크가 부착된 모습
      • 소비자가 한눈에 “이탈리아산, 국가 인증, 추적성·품질 보장”임을 확인 가능

해설 및 시사점

  • **SQNZ “Carne suina” 생산 규약**이 공식 도입되면
    이탈리아산 돼지고기 및 가공육(살루미, 소시지, 갈비 등)에도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효과:
    • 기존에는 브랜드·인증 없이 ‘익명’으로 유통되던 돼지고기 제품도
      국가 인증마크로 한눈에 구별, 신뢰,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 시장 효과:
    • 이탈리아산 돼지고기·가공육의 신뢰·차별화·브랜드 가치가 크게 높아집니다.
    • 외국산·무인증 제품과 명확히 구분되어,
      소비자와 유통업체 모두에게 품질·원산지 보증의 기준이 됩니다.
  • 제도적 배경:
    • SQNZ 우산 브랜드는 소고기, 송아지, 양고기, 계란, 우유, 수산물 등
      다양한 축산품에 이미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돼지고기까지 확대될 예정입니다23456.

결론

  • 곧 SQNZ ‘Carne suina’(돼지고기) 생산 규약이 공식 도입되면,
    이탈리아산 돼지고기 및 가공육(살루미, 소시지, 갈비 등)에도
    Consorzio Sigillo Italiano 국가 인증마크를 부착할 수 있게 됩니다.
  • 이로써 소비자는 한눈에 ‘이탈리아산, 국가 인증, 품질·추적성 보장’ 돼지고기를
    쉽게 구별·신뢰·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가죽·피혁 산업(특히 명품 브랜드)이 소가죽의 지속가능성(환경, 사회, 경제) 인증을 요구하는 현황과,
이를 위해 “Allevamenti Sostenibili(지속가능 축산)” 인증이 핵심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설명합니다.


핵심 내용 및 해설

  • 명품 브랜드의 요구:
    이탈리아 주요 가죽·피혁 브랜드(Gucci, Prada 등)는
    **소가죽이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생산된 것임을 공식 인증**받기를 요구합니다56.
  • “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의 역할:
    • 이 인증은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의 공식 생산 규약 중 하나로,
      단순히 고기뿐 아니라 가죽, 젤라틴 등 부산물까지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했음을 보증합니다236.
    • 인증 기준:
      • 보호되고 지속가능한 환경에서 사육
      • 동물복지 준수
      • 기생충·항생제 사용 금지
      • 통제된 기후·청결한 물·고품질 사료
      • 분뇨 등 부산물의 관리·재활용
      • 노동자 근로조건 준수 등
         환경, 사회, 경제 3대 축의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평가536.
  • 인증 절차 및 효과:
    • SQNZ “Allevamenti Sostenibili” 인증을 받은 농장은
      **가죽·피혁 제품에 공식 인증마크(예: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를 부착할 수 있습니다35.
    • 이 인증은 유럽연합 및 이탈리아 농림부(MASAF) 공식 인정을 받은 제도입니다32.
  • 시장 및 국제적 흐름:
    • 글로벌 명품 브랜드는 동물복지,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공급망 전반에 요구하며,
      인증 없는 가죽은 시장 접근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56.
    • 프랑스 등 주요국도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축산물·가죽의 추적성과 지속가능성**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추세입니다5.

결론

  • 이탈리아산 소가죽이 명품 브랜드와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으려면,
    “Allevamenti Sostenibili” 등 SQNZ 공식 인증을 통한
    환경·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보증이 필수
    입니다.
  • 이 인증은 고기뿐 아니라 가죽 등 모든 부산물에도 적용되며,
    동물복지, 환경보호, 노동권, 품질, 추적성 
    다층적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2356.
  •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인증마크가
    지속가능 가죽의 신뢰와 시장 경쟁력을 상징합니다.

요약:
이탈리아 가죽·피혁 산업은

  • 명품 브랜드와 글로벌 시장의 요구에 따라
  • SQNZ “Allevamenti Sostenibili” 공식 인증을 통해
  • 지속가능성(환경·사회·경제) 기준을 충족한 가죽만을
    “지속가능 가죽”으로 인증·유통
    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외식업에서 고기 이력 추적(트래서빌리티)은 유용한가?
소비자에 따르면, 그렇다!

  • #mangiareinformati (정보를 알고 먹자)
  • #siamociochemangiamo (우리는 우리가 먹는 것이다)
  • #carneebuoideipaesituoi (네 고기와 소는 네 고장에서)

프랑스에서는 2002년부터 외식업에서 판매되는 고기의 이력(트래서빌리티) 정보를
다음과 같이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 소의 출생국, 사육국, 도축국

이탈리아에서는 2009년부터 축산농가들이
외식업(공공·민간 부문 모두)에서
고기 이력 추적을 의무화하는 법 제정을
농림부에 요청해왔다.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의 목표:

  • 외식업과 협약을 맺어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인증 고기의 이력 정보를
    메뉴에 표기하고,
    인증 생산물의 정보 제공 및 홍보 활동을 전개하는 것.

해설 및 맥락

  • 프랑스는 2002년부터 외식업(레스토랑 등)에서
    고기의 출생·사육·도축국 정보를 반드시 공개해야 하며,
    이는 소비자 알권리와 식품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 이탈리아는 아직 외식업에서 고기 이력 정보 공개가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지 않으며,
    2009년부터 축산업계가 관련 법 제정을 요구해왔습니다.
  •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SQNZ 인증 고기의
    이력 정보(원산지, 인증여부 등)를 외식업 메뉴에 표기하고,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알리는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배경 및 시사점

  • 이탈리아 소비자들도 외식업에서 고기 이력 정보(원산지, 인증 등)를
    알고 싶어 하며, 이를 통해 신뢰와 선택권이 높아집니다.
  • 프랑스와 달리, 이탈리아는 아직 의무화되지 않아
    소비자 보호와 국산 고기 가치 제고를 위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업계·소비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SQNZ 인증과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는
    이력 추적 정보 제공의 모범 사례로,
    외식업·유통업 전반에 확산될 필요가 있습니다.

요약:
프랑스는 2002년부터 외식업에서 고기 이력 정보 공개를 의무화했으나,
이탈리아는 아직 관련 법이 없고,
축산업계와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SQNZ 인증 고기의 이력 정보 공개와 소비자 홍보를
제도화·확산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산 곡물 비육우(Vitellone e Scottona allevati ai cereali)**와 피에몬테제 파소네(Fassone di razza piemontese), 그리고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의 홍보·가치 제고를 위한 대규모 EU 지원사업을 알리는 공식 안내입니다.


주요 내용 요약

  • EU(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AOP Italia Zootecnica(이탈리아 축산생산자조직연합)가 제출한 2024~2025년 프로젝트를 공식 승인·지원
    • 지원 근거: EU 농식품 홍보 프로그램(Reg. 1144/2014)
    • 지원금액: €2,723,580 (약 2백72만 유로)
  • 사업 목적:
    • 곡물 비육우(Vitellone e Scottona allevati ai cereali)
    • 피에몬테제 파소네(Fassone di razza piemontese)
    • **SQNZ 인증**을 받은 이탈리아산 소고기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우산 브랜드
      이 네 가지의 홍보와 가치 제고(프로모션·밸류업)
  • 프로젝트의 의의:
    • 이탈리아 소고기 자급률이 50% 이하로 하락하는 등
      외국산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탈리아산 인증 소고기의 차별화, 소비자 인지도 제고, 신뢰 회복**을 위한 대규모 캠페인임246.
    • **SQNZ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고품질, 동물복지, 추적성, 지속가능성 등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핵심 가치를 상징하는 공식 인증체계임35.
  • 추진 주체:
    • AOP Italia Zootecnica(이탈리아 축산생산자조직연합, 이탈리아 소고기 생산량의 70% 이상 대표)
    • 다양한 생산자조직, 협회, 유통업체 등이 연계

배경 및 기대효과

  • EU 공식 지원(AGRIP SIMPLE):
    • 농식품의 품질·안전·지속가능성 홍보를 위한 공식 프로그램
    • 소비자 정보 제공, 시장 내 이탈리아산 소고기 인지도·신뢰도 제고,
      외국산·무인증 고기와의 차별화,
      “가짜뉴스” 및 오해 해소 등 다층적 효과 기대26.
  • 실행:
    • 통합 캠페인, 전시·홍보, 미디어·SNS, 유통매장 프로모션 등
      다양한 채널에서 2024~2025년 집중 전개

결론

  • **이탈리아산 곡물 비육우, 피에몬테제 파소네, SQNZ 인증,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의
    **홍보·가치 제고를 위해 EU가 272만 유로를 공식 지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2024~2025년 동안 추진됩니다.
  • **이 사업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품질, 신뢰, 차별성, 지속가능성**을
    국내외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고,
    “이탈리아산 인증 소고기”의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미지 해설 및 의미


이미지 설명

  • 좌측 상단:
    • Consorzio Sigillo Italiano (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로고가 보입니다.
  • 중앙:
    • 하트 모양의 소고기 스테이크가 프라이팬에 담겨 있으며,
      주변에 허브, 소금, 후추 등 신선한 재료가 놓여 있습니다.
  • 좌측 문구:
    • “Assuring animal well being means
      ASSURING YOU EXCELLENT QUALITY MEAT.”
      (동물복지를 보장하는 것은
      곧 여러분에게 우수한 품질의 고기를 보장한다는 의미입니다.)

Consorzio Sigillo Italiano란?

  •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이탈리아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 기준을 충족한
    고품질 축산물에 부여되는 공식 우산 브랜드(umbrella brand)입니다25.
  • 이 컨소시엄은 생산, 가공, 유통 등 공급망 전반의 SQNZ 인증 기업들이 참여하며,
    소비자가 한눈에 “이탈리아산, 고품질, 동물복지, 추적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공식 인증마크를 제공합니다256.

SQNZ 인증의 핵심 기준

  • 동물복지:
    국제·국가 기준에 따라 동물의 건강, 사육환경, 복지 수준을 평가·관리36.
  • 영양 및 사료:
    저환경부하 곡물 사료, 100% 식물성 식단 등 엄격한 기준 적용36.
  • 위생·안전:
    수의사 정기 점검, 항생제·질병 관리, 바이오시큐리티 강화36.
  • 추적성:
    생산~유통 전 과정의 완전한 이력 관리6.
  • 지속가능성:
    환경영향 평가, 폐기물 관리, 에너지·물 사용 모니터링 등
    환경·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기준을 통합 적용36.

소비자에게 주는 의미

  • SQNZ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가 부착된 고기는
    • 동물복지, 환경보호, 위생, 품질, 완전한 추적성 등
      **유럽 및 이탈리아 최고 기준을 충족한 “우수한 품질의 이탈리아산 고기”임을 공식 보증**합니다236.
  • 이 마크를 찾으면
    • “동물복지가 곧 품질”이라는 메시지처럼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지속가능, 안전한 고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이미지는

  • Consorzio Sigillo Italiano 공식 인증마크와
  • “동물복지가 곧 최고의 품질”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 이탈리아산 SQNZ 인증 고기의 신뢰, 품질, 지속가능성, 동물복지 가치를
    소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합니다

 

이미지 해설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 설명


이미지 설명

이 이미지는 다양한 이탈리아 농식품·지역·관광 관련 브랜드와 함께,
중앙 상단에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로고가 크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 중앙을 가로지르는 주황색 배너에는
"Coordinamento azioni di comunicazione del brand «CONSORZIO SIGILLO ITALIANO» con l'AGENZIA AB COMUNICAZIONI di MILANO"
(밀라노의 AB Comunicazioni 에이전시와 함께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조율)
이라는 문구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Consorzio Sigillo Italiano란?

  •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이탈리아의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Sistema di Qualità Nazionale Zootecnia)**를 기반으로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을 인증받은 고품질 축산물에 부여되는
    **공식 우산 브랜드(umbrella brand)**입니다3567.
  • 로고 특징:
    • 이탈리아 지도와 삼색(트리콜로레) 원,
    • 중앙에 'Q'가 강조된 디자인으로
      소비자가 한눈에 이탈리아산 고품질 인증 축산물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38.
  • 목적 및 역할:
    • 소비자가 작은 글씨의 라벨을 읽지 않아도
      **Consorzio Sigillo Italiano 마크만 보면 "이탈리아산, 품질 인증, 안전, 추적성, 동물복지"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35678.
    • 이 브랜드는 이탈리아 축산업계(생산자, 가공업체, 유통업체)가
      직접 설립·운영하며,
      **이탈리아 농림부(MASAF) 공식 인정**을 받았습니다38.
    • 외국산·무인증 제품과의 차별화,
      소비자 신뢰 회복,
      'Made in Italy'의 품질·안전성 홍보를 목표로 합니다3568.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 **이미지의 주황색 배너**는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홍보 활동이
    밀라노 소재 전문 에이전시(AB Comunicazioni)와 협력해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립니다.
  • 주요 활동:
    • PR, 소셜미디어, TV·디지털 광고,
    • 매장 프로모션, 이벤트,
    • 소비자 대상 정보 제공,
    • 이탈리아 및 해외(특히 프랑스) 시장 홍보 등4.

결론

  • **Consorzio Sigillo Italiano**는
    이탈리아산 고품질 축산물의 공식 인증·홍보 브랜드로,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Made in Italy'의 상징입니다.
  • 이 마크가 부착된 제품은
    품질, 안전, 동물복지, 추적성 등
    국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이탈리아산임을 보장합니다.
  • **전문 에이전시와의 협업을 통한 적극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국내외 소비자에게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를 높이고 있습니다
  •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Carni Bovine Nazionale)

2번째 축(필라스트로): 해외 의존도 감소, 100% 이탈리아산 육우 생산 확대


슬라이드 핵심 내용 요약

  • 2번째 축(2° pilastro):
    • 목표:
      해외(특히 프랑스 등)에서 수입하는 송아지(비육우) 의존도를 줄이고,
      100% 이탈리아산 육우 생산 체계 확립
    • 주요 전략:
      • 이탈리아 내 번식 암소(모우) 수 확대
        (Aumentando le vacche nutrici in Italia)
      • 낙농(우유) 농가와 협력해 육우 교잡 송아지 생산
        (Coinvolgendo allevatori di vacche da latte per ottenere vitellini incroci da carne)
    • 실행방안:
      • 암소 사육 농가의 참여 확대
      • 젖소 농가와 연계해 고기용 송아지(교잡종) 생산 프로젝트 추진
  • 오른쪽 목표(Obiettivo):
    • 이탈리아 내 송아지(비육우) 자급률을 높여,
      해외(특히 프랑스) 의존도를 줄이는 것

      (aumentare l’approvvigionamento di ristalli in Italia per non dipendere quasi totalmente dall’estero)

배경 및 시사점

  • 현황:
    • 이탈리아는 매년 약 100만 마리의 어린 송아지(주로 프랑스산)를 수입해 비육·도축하고 있음5.
    • 이탈리아 내 번식 암소(모우) 수는 약 38만 마리에 불과,
      프랑스는 400만 마리로 약 10배 규모5.
  • 문제점:
    • 수입 의존도가 높아 가격·공급 불안,
      국산 브랜드 경쟁력 약화,
      산업·농가의 지속가능성 저하.
  • 해결책:
    • 암소(모우) 사육 확대,
      젖소 농가와의 협업을 통한 고기용 교잡 송아지 생산,
      100% 이탈리아산 비육우 공급망 구축.

결론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두 번째 전략적 축은
    “해외 송아지(비육우)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이탈리아 내에서 100% 국산 송아지 생산·비육·도축 체계를 확립하는 것”**입니다2345.
  • 이를 위해 암소 사육 확대, 젖소 농가와의 협업, 교잡종 송아지 생산 등
    다양한 산업 연계 전략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자급률·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

 

 

 

2023년 이탈리아 비육우(12~24개월령) 도축 및 송아지 수입 현황


주요 내용 요약

  • 이탈리아 육우(비육우) 농가들은 매년 송아지(비육우용)를 해외에서 대량으로 수입하며,
    이로 인해 매년 10억 유로(1 MILIARDO DI EURO) 이상의 외화가 유출됩니다.
  • 2023년 기준 도축 실적(12~24개월령, 비텔로네/스코토나):
    • 이탈리아 출생: 470,100두 (34.65%)
    • 해외 출생(수입 후 이탈리아에서 비육): 886,659두 (65.35%)
    • 총 도축 두수: 1,356,759두 (100%)
  • 2023년, 이탈리아에서 비육을 위해 해외에서 수입한 송아지(ristalli) 수:
    886,659두 × 약 1,300유로/두 = 약 15억 유로(1.5 MILIARDI EURO)
     이탈리아 농가가 해외 송아지 구입에만 연간 약 1.5조 원(한화 기준)을 지출

배경 및 해설

  • **이탈리아 육우 산업은 자국 내 번식 기반이 약해 전체 도축의 2/3를 해외(주로 프랑스, 폴란드 등)에서 송아지를 수입해 비육·도축하는 구조**입니다234.
  • **이로 인해 beef supply chain(소고기 공급망)의 ‘취약성’**이 심화되고,
    **프랑스·폴란드 등 주요 공급국의 송아지 수출 감소**가 곧 이탈리아 내 소고기 생산 감소로 직결되고 있습니다2.
  • **이탈리아의 대표적 대형 비육 농장들도 매년 수천~수만 두의 해외 송아지를 구매해 비육·도축**하고 있습니다3.
  • **이 구조는 자급률 저하, 외화 유출, 가격·공급 불안정, 산업 지속가능성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합니다.

결론

  • 2023년 이탈리아에서 도축된 12~24개월령 소의 65% 이상(약 89만 두)은 해외에서 송아지로 수입한 후 이탈리아에서 비육·도축된 것입니다.
  •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 농가가 해외 송아지 구입에만 연간 약 15억 유로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수입 의존도, 외화 유출)이 심각하며,
    자국 내 번식 기반 강화와 자급률 제고가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해설 및 해석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번식 암소(모우, vacche nutrici) 두수 비교를 통해,
이탈리아가 100% 자국산 비육우(송아지, ristalli) 공급을 달성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

  • 이탈리아 번식 암소(모우) 두수:
    약 38만 마리
    • 품종: 피에몬테세, 마르키자나, 로마뇰라, 키아니나, 포돌리카, 샤롤레, 리무진 등
    • 다양한 교잡종 포함, 일부는 혈통등록(LG)에 미등록
  • 프랑스 번식 암소(모우) 두수:
    약 395만 마리
    • 품종: 샤롤레, 리무진, 블론드 다키텐, 가론네즈, 오브락 등
    • 다양한 교잡종 포함

해설 및 시사점

  • 규모 차이:
    프랑스의 번식 암소 수는 이탈리아의 약 10배에 달합니다356.
  • 구조적 한계:
    이탈리아는 번식 암소 기반이 매우 약해,
    자국 내에서 100% 이탈리아산 송아지(비육우)를 충분히 생산하기 어렵습니다.
  • 수입 의존: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은 매년 대량의 송아지를 프랑스 등에서 수입해 비육·도축하는 구조에 놓여 있습니다356.
  • 정책적 과제:
    자급률 제고와 수입 의존도 감소를 위해서는
    번식 암소(모우) 사육 기반 확대가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요약:
이탈리아는 약 38만 마리의 번식 암소만 보유해
프랑스(약 395만 마리)에 비해 현저히 적은 규모이며,
이로 인해 100% 자국산 비육우 공급이 구조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자급률 제고를 위해서는
번식 암소 사육 기반의 대폭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이미지 번역 및 해설


번역: 이탈리아산 비육우(송아지) 생산 확대를 위한 젖소 농가 협력 전략

AUMENTARE I RISTALLI PRODOTTI IN ITALIA IN COLLABORAZIONE CON ALLEVATORI DI VACCHE DA LATTE!
“젖소 농가와 협력해 이탈리아산 비육우(송아지) 생산을 확대하자!”


핵심 실행 방안: ‘MEETBULL’ 실증 프로젝트의 전국 확산

  • REPLICARE NELLE REGIONI VOCATE IL PROGETTO SPERIMENTALE «MEETBULL»
    “적합 지역에서 ‘MEETBULL’ 실증 프로젝트를 확산”
    • 계열화 상업 계약 체결:
      공급망 내 농가, 비육장, 유통업체 간 상업적 계약을 체결
    • 성감별 정액(seme sessato) 활용:
      젖소 농가에서 암소 번식(내부 개체 교체)을 위해 암컷 정액을 사용
    • 육우 정액 활용:
      젖소에 육우(고기용) 수소 정액을 인공수정해 교잡 송아지(비육우) 생산
    • 품질·지속가능성 기준 적용:
      공식 생산 규약(Disciplinari di qualità e sostenibilità) 적용
    • 송아지(바리오티) 수거·집하 조직화:
      송아지 집하·수거 센터 설립 및 운영
    • 이유(젖떼기) 센터 조직화:
      송아지 이유(젖떼기) 전문 센터 운영
    • 보호 비육장(Stalle Protette)에서 비육:
      위생·복지 기준을 갖춘 보호 비육장에서 사육
    • SQNZ 인증 및 공식 브랜드 사용:
      비육된 소는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인증을 받고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공식 브랜드 사용

해설 및 시사점

  • MEETBULL 프로젝트란?
    젖소 농가와 육우 산업을 연계해,
    젖소에 육우 정액을 인공수정(성감별 정액 병행)함으로써
    **이탈리아산 교잡 비육우(송아지) 생산을 대폭 확대**하는 실증 사업입니다456.
  • 핵심 효과:
    • 젖소 농가의 부가수익 창출(송아지 판매)
    • 이탈리아산 비육우 자급률 제고(수입 송아지 대체)
    • 품질·지속가능성 기준 충족, 공식 인증·브랜드화
  • 전국 확산 필요성:
    • 북부(베네토 등)에서 성공적으로 시범 적용된 MEETBULL 모델을
      전국 젖소 밀집 지역으로 확산해
      **수입 의존도(특히 프랑스산 송아지) 감소**와
      **이탈리아산 공급망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함23457.

요약

이 슬라이드는

  • **젖소 농가와의 협업(성감별 정액, 육우 정액 활용, 송아지 집하·이유·비육 체계화)**을 통해
  • **이탈리아산 비육우(송아지) 생산을 대폭 확대**하고,
  • **SQNZ 공식 인증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화**로
    품질·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을 높이자는 전략을
    ‘MEETBULL’ 실증 프로젝트의 전국 확산을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Carni Bovine Nazionale)

3번째 축(필라스트로): 산업 구조 완성과 공동기금 조성


슬라이드 핵심 내용 요약

  • 3번째 축(3° pilastro)의 목표:
    • 산업 구조(상호직능조직, Interprofessione) 완성:
      생산자(Allevatori), 도축업체(Macellatori), 유통업체(Distribuzione) 등
      소고기 공급망 전체를 조직화
    • 자국산 소고기(전체 생산의 45%)의 가치 제고:
      이탈리아산 소고기 생산·유통을 체계화해
      소비자·학교 등에서 정보 제공 및 홍보 강화
    • Erga Omnes(공동부담) 규정 적용:
      모든 관련 기업·농가가 일정 분담금을 내어
      소고기 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기금 조성
    • OI IntercarneItalia(이탈리아 소고기 상호직능조직) 중심:
      이미 농림부(MASAF) 공식 인정을 받은 조직을 통해
      구조적 협의체 완성 및 기금 운영

세부 해설

  • 산업 구조화(Interprofessione):
    • 생산자, 도축장, 유통업체 등 공급망 전 과정을
      하나의 협의체(OI IntercarneItalia)로 조직화
    • 각 주체가 공동의 목표(품질, 지속가능성, 정보 제공 등)로 협력
  • Erga Omnes(에르가 옴네스) 규정:
    • 산업 전체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기금(levy) 제도
    • 이 기금으로 연구, 품질·지속가능성 인증, 소비자 홍보, 학교 교육 등
      소고기 산업 발전 프로젝트를 지원
  • 정보 제공 및 홍보:
    • 이탈리아산 소고기(전체 생산의 45%)의
      가치 제고, 소비자 인식 개선, 학교 교육 등
      다양한 정보·홍보 활동 추진

정책적 의의 및 시사점

  • 공동기금(Erga Omnes)과 산업 구조화(OI IntercarneItalia)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지속가능성, 품질경쟁력, 소비자 신뢰 회복의 핵심 기반
    입니다.
  • 공급망 전체의 협력과 공동 투자로
    자국산 소고기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정보 제공·홍보·연구개발 등 다양한 산업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
    할 수 있습니다.

결론

  • **이탈리아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의 3번째 축은
    “공급망 협의체(OI IntercarneItalia) 완성과
    Erga Omnes(공동기금) 적용을 통한
    산업 발전·홍보·품질 프로젝트 추진”**입니다.
  • 이로써 이탈리아산 소고기의 가치 제고,
    산업의 지속가능성, 소비자 신뢰 강화가
    구조적으로 뒷받침됩니다.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 OI Intercarneitalia


핵심 내용 요약

  • **OI Intercarneitalia**는 이탈리아 농림부(MASAF)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은
    **유일한 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입니다.
  • 이 조직은 이탈리아산 소고기,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비육우(12~24개월령) 
    소고기 전 부문을 대표합니다356.

공식 인정 및 역할

  • 최초 인정: 2019년 12월 12일, 이탈리아 농림부로부터 공식 인정35.
  • 갱신: 2024년 11월 19일, 2024~2027년 3년간 공식 인정 갱신35.
  • 대표성:
    • 이탈리아 전체 소고기 생산량의 60% 이상을 대표6.
    • 생산자, 도축업체, 유통업체 등 공급망 전반을 아우르는 협의체.
  • 주요 기능:
    • 산업 내 자율 규정(Erga Omnes) 도입 및 적용
    • 품질·생산·환경·동물복지·홍보·연구 등 14개 분야의 공급망 규칙 설정 및 관리5.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등 공식 인증 체계와 연계된 산업 구조화·공동기금 조성5.

국제 협력

  • 2023년 8월, 브뤼셀에서 유럽 주요국(프랑스, 벨기에, 스페인, 폴란드 등) 상호직능조직과
    ‘유럽 소·양고기 생산자 협회’ 창립에 참여
    3.

시사점

  • OI Intercarneitalia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공식 대표 협의체로,
    품질·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적 역할
    을 수행합니다.
  • 공급망 전체(생산~유통)의 협력과 자율 규정(Erga Omnes) 도입을 통해
    이탈리아산 소고기 산업의 구조적 경쟁력과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있습니다.

요약:
OI Intercarneitalia는

  • 이탈리아 농림부가 공식 인정한 유일한 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으로,
  • 소고기, 화이트비프, 비육우 등 전 부문을 대표하며,
  • 품질·지속가능성·공동기금 등 산업 발전의 핵심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OI IntercarneItalia 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 운영 구조 해설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공식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인 OI IntercarneItalia
운영 구조와 의사결정 시스템(특히 12~24개월령 비육우 부문)을 도식화한 것입니다.


1. 3대 공급망(섹션)별 구조

A. 생산(Produzione)

  • 주요 주체:
    • AOP Italia Zootecnica(이탈리아 축산생산자조직연합)
    • 기타 생산자조직, 협회, 컨소시엄 등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ionale Produzione Bovino Adulto (12-24 mesi)
      (국가 비육우 생산위원회, 5명)
  • 조건:
    • 공식 인정: 해당 부문 생산량의 최소 40% 대표
    • Erga Omnes(공동규정) 적용: 66% 이상 대표 필요

B. 가공/도축(Trasformazione)

  • 주요 주체:
    • ASSITAMA(도축업체 협회), ASSOCARNI(가공업체 협회), 기타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ionale Trasformazione Bovino Adulto (12-24 mesi)
      (국가 비육우 가공위원회, 3명)
  • 조건:
    • 공식 인정: 해당 부문 생산량의 최소 40% 대표
    • Erga Omnes 적용: 66% 이상 대표 필요

C. 유통/판매(Distribuzione)

  • 주요 주체:
    • GDO(대형유통), DO(조직유통), NT(전통유통)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ionale Distribuzione Bovino Adulto (12-24 mesi)
      (국가 비육우 유통위원회, 3명)
  • 조건:
    • 공식 인정: 해당 부문 생산량의 최소 40% 대표
    • Erga Omnes 적용: 66% 이상 대표 필요

2. 통합 의사결정 및 자문 구조

  • Collegio di Prodotto Bovino Adulto (12-24 mesi)
    (비육우 통합제품위원회, 10명):
    • 생산·가공·유통 각 위원회에서 선출된 대표들이 참여
    • 아이디어·프로젝트 통합, 정책·규정 제정
  • Collegio di Vigilanza delle Organizzazioni Sindacali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 Erga Omnes(공동규정) 등 주요 결정의 사전 검토·자문
    • 전국 주요 노동조합이 참여, 이해관계자 권익 보호
  • Assemblea Generale IntercarneItalia
    (총회, 6명):
    • 조직의 최고 의사결정기구
  • Consiglio Amministrativo IntercarneItalia
    (이사회, 3명):
    • 조직의 행정·운영 책임
  • Comitati Consultivi dei Consumatori e degli Accademici
    (소비자·학계 자문위원회):
    • 소비자·전문가 의견 반영
  • Altri Comitati Nazionali
    (기타 전국위원회, 예: 화이트비프(0~8개월), 노령우(36개월 이상) 등):
    • 필요시 추가 구성

3. 운영의 핵심 원칙

  • 공식 인정 및 Erga Omnes 적용:
    • 각 섹션별로 전체 생산량의 일정 비율 이상 대표성 확보 필요
    • Erga Omnes 규정(공동부담·공동규정) 적용 시 66% 이상 대표 필수
  • 민주적 의사결정:
    • 각 공급망 단계별 위원회에서 대표 선출 → 통합제품위원회에서 최종 정책 결정
  • 노동조합 감시:
    • Erga Omnes 등 주요 규정은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자문 필수(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투명성·공정성 강화)

4. 시사점

  • 이 구조는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을 망라하는 ‘공급망 전체의 협의체’로,
    품질·지속가능성·공동기금 등 산업 발전을 위한 통합적 의사결정과 자율규정(Erga Omnes) 운영이 가능
    합니다.
  • 노동조합, 소비자,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자문·감시 역할을 하며,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합니다.
  • 이런 구조는 프랑스 Interbev 등 유럽 선진국의 상호직능조직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입니다36.

요약:
OI IntercarneItalia의 운영 구조는

  • 생산, 가공, 유통 각 단계별 대표가 참여하는 위원회 체계와
  • 통합제품위원회,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총회, 이사회, 소비자·학계 자문 등
    다층적 의사결정·감시 시스템으로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품질·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급망 전체의 공식 협의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OI IntercarneItalia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부문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 운영 구조 해설

이 이미지는 OI IntercarneItalia의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Vitello Carne Bianca) 부문에서의 공식 상호직능조직 운영 구조를 도식화한 것입니다.


1. 3대 공급망별 위원회

A. 생산(Produzione)

  • 주요 주체:
    • OP Vitello di Marca(생산자조직),
    • Ass. Prod. Allevatori(생산자협회),
    • 기타 AOP, OP 등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le Produzione Vitello Carne Bianca
      (국가 화이트비프 생산위원회, 5명)
    • 이 위원회에서 선출된 대표(의장 등)가 상위 통합위원회에 참여

B. 가공/도축(Trasformazione)

  • 주요 주체:
    • ASSITAMA(도축업체 협회),
    • ASSOCARNI(가공업체 협회),
    • 기타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le Trasformazione Vitello Carne Bianca
      (국가 화이트비프 가공위원회, 3명)
    • 이 위원회에서 선출된 대표가 상위 통합위원회에 참여

C. 유통/판매(Distribuzione)

  • 주요 주체:
    • GDO(대형유통), DO(조직유통), NT(전통유통)
  • 의사결정기구:
    • Comitato Naz.le Distribuzione Vitello Carne Bianca
      (국가 화이트비프 유통위원회, 3명)
    • 이 위원회에서 선출된 대표가 상위 통합위원회에 참여
  • 각 위원회는 공식 인정 시 부문별 생산량의 40% 이상 대표,
    Erga Omnes(공동규정) 적용 시 66% 이상 대표 필요

2. 통합 의사결정 및 자문 구조

  • Collegio di Prodotto Vitello Carne Bianca (10명):
    • 생산(5), 가공(3), 유통(2) 대표로 구성
    • 아이디어·정책·프로젝트 통합 논의 및 결정
  • Collegio di Vigilanza delle Organizzazioni Sindacali:
    •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 Erga Omnes(공동규정) 등 주요 결정의 사전 검토·자문
    •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투명성·공정성 강화
  • Assemblea Generale IntercarneItalia(총회, 6명):
    • 조직의 최고 의사결정기구
  • Consiglio Amministrativo IntercarneItalia(이사회, 3명):
    • 조직의 행정·운영 책임
  • Comitati Consultivi dei Consumatori e degli Accademici:
    • 소비자·학계 자문위원회
    • 소비자·전문가 의견 반영
  • Altri Comitati Nazionali:
    • 기타 전국위원회(예: 비육우(12~24개월), 노령우(36개월 이상) 등)

3. 운영의 핵심 원칙

  • 공식 인정 및 Erga Omnes 적용:
    • 각 섹션별로 전체 생산량의 일정 비율 이상 대표성 확보 필요
    • Erga Omnes(공동규정) 적용 시 66% 이상 대표 필수
  • 민주적 의사결정:
    • 각 공급망 단계별 위원회에서 대표 선출 → 통합제품위원회에서 최종 정책 결정
  • 노동조합 감시:
    • Erga Omnes 등 주요 규정은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자문 필수(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투명성·공정성 강화)

4. 시사점

  • 이 구조는 생산~가공~유통 전 과정을 망라하는 ‘공급망 전체의 협의체’로,
    품질·지속가능성·공동기금 등 산업 발전을 위한 통합적 의사결정과 자율규정(Erga Omnes) 운영이 가능
    합니다.
  • 노동조합, 소비자,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자문·감시 역할을 하며,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합니다.
  • 이런 구조는 프랑스 Interbev 등 유럽 선진국의 상호직능조직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입니다.

요약:
OI IntercarneItalia의 화이트비프 부문 운영 구조는

  • 생산, 가공, 유통 각 단계별 대표가 참여하는 위원회 체계와
  • 통합제품위원회, 노동조합 감시위원회, 총회, 이사회, 소비자·학계 자문 등
    다층적 의사결정·감시 시스템으로
  • 이탈리아 화이트비프 산업의 품질·지속가능성·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급망 전체의 공식 협의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OI IntercarneItalia의 Erga Omnes(공동규정) 권한과 14가지 적용 규정

이 이미지는 **OI IntercarneItalia(이탈리아 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가
**제품 대표성 66% 이상**을 확보할 경우,
EU 규정(1308/2013 등)에 따라 **Erga Omnes(공동규정)**으로
산업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14가지 주요 규정을 보여줍니다.


핵심 내용 요약

  • OI IntercarneItalia는 전체 생산량의 66% 이상을 대표할 경우,
    아래 14가지 규정을 ‘Erga Omnes’(공동의무)로 산업 전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이 권한은 산업의 품질, 지속가능성, 환경, 공공복지, 정보 제공, 연구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공급망 전체의 규범을 통합적으로 설정·강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4가지 Erga Omnes 적용 규정(요약 번역)

  1. 생산 및 시장 동향 파악
  2. EU·국가 기준보다 엄격한 생산 규정 도입
  3. EU 규정에 부합하는 표준계약서 작성
  4. 유통·상업화 규정
  5. 환경 보호
  6. 제품 홍보 및 가치 제고 활동
  7. 유기농, 원산지·품질·지리적 표시 보호 등 보호 활동
  8. 공중보건에 위험을 주지 않는 신기술 등 부가가치 연구
  9. 제품 품질 향상 연구
  10. 환경·토양 보전, 동물·식물 위생을 위한 재배·사육 연구
  11. 최소 품질 및 포장·표시 기준 설정
  12. 공인 종자 사용 및 품질 통제
  13. 동물·식물 연구 및 식품 안전성 연구
  14. 부산물 관리 규정

제도적 배경 및 시사점

  • Erga Omnes(공동규정)란?
    •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e)이 일정 대표성을 확보할 경우
      산업 전체에 ‘강제적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제도
    • 프랑스 Interbev 등 유럽 선진국에서 이미 보편화
  • OI IntercarneItalia는 이 권한을 통해
    • 소고기 산업의 품질·지속가능성·연구·공공복지·환경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급망 전체의 규범을 통합적으로 설정·운영할 수 있습니다.
    • 각 규정은 생산자·가공업체·유통업체 등 모든 공급망 주체에 적용됩니다.
  • **노동조합 감시위원회(Collegio di Vigilanza) 등 외부 감시·자문 시스템도 함께 운영**되어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화합니다2.

요약

  • OI IntercarneItalia는 전체 생산량의 66% 이상 대표 시,
    14가지 핵심 규정을 Erga Omnes(공동규정)으로 산업 전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이로써 품질, 환경, 공공복지, 연구, 정보 제공 등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공급망 전체 차원에서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됩니다.

 

2023년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 Erga Omnes(공동기금) 징수 예시

이 이미지는 2023년 기준 이탈리아 비육우(12~24개월령, Vitellone) 부문에서 Erga Omnes(공동기금) 징수 구조와 산출 예시를 보여줍니다.


1. Erga Omnes(공동기금) 적용 대상 및 금액

 

2. 징수 방식 및 특이사항

  • 사육농가:
    • 생산된 소 1두당 1유로(€1.00) 징수
  • 도축업체:
    • 도축된 소 1두당 0.80유로(€0.80) 징수
    • 도축업체는 ‘공급망 징수자’ 역할을 맡으며,
      행정비용을 감안해 농가보다 낮은 금액(0.80유로)만 부담
  • 유통업체:
    • 별도 징수 없음

3. 총 징수액(2023년 기준)

  • 사육농가: 1,356,759두 × €1.00 = €1,356,759
  • 도축업체: 1,356,759두 × €0.80 = €1,085,407
  • 총계: €2,442,166

4. 주요 해설

  • Erga Omnes(공동기금)는 OI IntercarneItalia(상호직능조직)가
    소고기 산업 전체 발전(품질, 연구, 홍보, 지속가능성 등)을 위해
    공급망 전 주체로부터 의무적으로 징수하는 기금
    입니다.
  • **도축업체는 징수·관리 행정비용을 감안해 농가보다 낮은 금액을 부담**합니다.
  • 유통 단계에서는 별도 징수하지 않습니다.

요약:
2023년 이탈리아 비육우(12~24개월령) 부문에서

  • 사육농가(1두당 1유로), 도축업체(1두당 0.8유로)로부터
    총 2,442,166유로의 Erga Omnes(공동기금)가 징수
    되며,
  • 이 기금은 산업 발전, 품질·지속가능성·홍보·연구 등에 사용됩니다

 

2023년 이탈리아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부문 Erga Omnes(공동기금) 징수 구조

이 이미지는 2023년 기준 이탈리아 화이트비프(0~8개월령 송아지, Vitello a carne bianca) 부문에서
**Erga Omnes(공동기금)**이 어떻게 징수되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1. 징수 구조 및 금액

 

2. 징수 방식 및 특이사항

  • 사육농가:
    • 생산된 송아지 1두당 0.50유로(€0.50) 징수
  • 도축업체:
    • 도축된 송아지 1두당 0.40유로(€0.40) 징수
    • 도축업체는 ‘공급망 징수자’ 역할을 맡으며,
      행정비용을 감안해 농가보다 낮은 금액(0.40유로)만 부담
  • 유통업체:
    • 별도 징수 없음

3. 총 징수액(2023년 기준)

  • 사육농가: 549,452두 × €0.50 = €274,726.00
  • 도축업체: 549,452두 × €0.40 = €219,780.80
  • 총계: €494,506.80

4. 주요 해설

  • Erga Omnes(공동기금)는 OI IntercarneItalia(상호직능조직)가
    화이트비프 산업 전체 발전(품질, 연구, 홍보, 지속가능성 등)을 위해
    공급망 전 주체로부터 의무적으로 징수하는 기금
    입니다.
  • **도축업체는 징수·관리 행정비용을 감안해 농가보다 낮은 금액을 부담**합니다.
  • 유통 단계에서는 별도 징수하지 않습니다.

요약:
2023년 이탈리아 화이트비프(0~8개월령) 부문에서

  • 사육농가(1두당 0.50유로), 도축업체(1두당 0.40유로)로부터
    총 494,506.80유로의 Erga Omnes(공동기금)가 징수
    되며,
  • 이 기금은 산업 발전, 품질·지속가능성·홍보·연구 등에 사용됩니다

 

 

SELMA: 유럽 지속가능 축산·육류 협회(2023년 창립) 해설


설립 배경 및 참여국

2023년 8월 브뤼셀에서

  • OI Intercarneitalia(이탈리아)
  • INTERBEV(프랑스)
  • FEBEV(벨기에)
  • EDOK(그리스)
  • Provacuno, Interovic(스페인)
  • PZBM(폴란드)
    등 유럽 주요 6개국의 소·양·염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Interprofession)과 생산자단체가
    SELMA(Sustainable European Livestock & Meat Association),
    즉 “유럽 지속가능 축산·육류 협회”를 공식 창립했습니다1456.

SELMA의 목적과 의의

  • 대표성:
    SELMA는 유럽 내 소·양·염소고기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대표하며,
    생산~가공~유통 등 공급망 전반의 이해관계를 아우르는
    최초의 초국가적 상호직능조직 연합입니다245.
  • 주요 목표:
    • 유럽식 지속가능 축산 모델(환경·동물복지·품질 중심) 보존·홍보
    • EU 정책·입법 과정에서 업계의 공식 목소리 역할
    • 자유무역협정(FTA) 등에서 유럽산 고기 기준 강화 촉구
    • 공공정책(동물복지, 환경, 표시제 등) 협력 대응
    • 소비자·시장 대상 유럽산 축산물의 신뢰·지속가능성 홍보
  • 설립 필요성:
    • EU 농식품 정책, 무역협정, 환경·복지 규제 등
      주요 결정이 브뤼셀(EU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업계의 공동 대응과 공식 협의 창구가 필수적임을 인식한 결과입니다46.

SELMA의 활동 및 구조

  • 회원사:
    • OI Intercarneitalia(이탈리아), INTERBEV(프랑스), FEBEV(벨기에), EDOK(그리스),
      Provacuno·Interovic(스페인), PZBM(폴란드)145.
  • 대표단:
    • 회장: Guillaume Gauthier(INTERBEV, 프랑스)
    • 부회장: Alessandro de Rocco(OI Intercarneitalia, 이탈리아)
    • 재무: Michael Gore(FEBEV, 벨기에)4.
  • 주요 활동:
    • EU 집행위·의회 등 정책 결정자와 직접 협상·자문
    • 무역협정, 환경·복지·표시제 등 이슈별 공동 입장 표명
    • 유럽산 고기·축산물 소비 촉진 및 오해 해소 캠페인
    • 회원국 확대 추진(향후 추가 가입 예상)246.

시사점

  • SELMA 창립은 유럽 축산·육류 산업이
    지속가능성, 품질, 동물복지 등 핵심 가치를
    EU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보호·홍보하고,
    정책·시장 환경 변화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역사적이고 전략적인 연합
    입니다246.
  • **유럽산 축산물의 신뢰, 지속가능성, 경쟁력 제고**에
    SELMA가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전망입니다.

요약:
SELMA는 2023년 8월, 이탈리아·프랑스·벨기에·스페인·그리스·폴란드 등
유럽 6개국의 소·양·염소고기 산업 상호직능조직이
브뤼셀에서 창립한 유럽 지속가능 축산·육류 협회로,
EU 정책 협의, 지속가능성 홍보, 업계 공동 대응의 공식 플랫폼입니다

 

 

이미지 해설 및 결론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대표 소고기 생산자 조직 연합인 A.O.P. Italia Zootecnica의 공식 발표자료 마지막 슬라이드로,
**“CONCLUSIONI”(결론)**라는 제목과 함께 이탈리아 비육우 농장의 실제 모습이 배경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결론(Conclusioni):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전략적 방향

  • **A.O.P. Italia Zootecnica**는 이탈리아 농림부(MASAF) 공식 인정 생산자조직 연합으로,
    이탈리아 소고기 생산량의 70% 이상을 대표합니다24.
  • 최근 유럽연합(EU) 공식 지원(예: EUCAREBEEF 프로젝트, 2024~2025년, 272만 유로 규모) 하에
    이탈리아산 소고기(곡물 비육우, 피에몬테제 파소네 등)의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 및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우산 브랜드 홍보와
    지속가능성, 품질, 동물복지, 추적성 등 핵심 가치 제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245.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은
    • 공식 인증(SQNZ) 확대
    • 생산자조직 간 협력 강화
    • 지속가능성(환경·경제·사회) 기준 도입
    • 통합 브랜드(Consorzio Sigillo Italiano)로 시장 차별화
    • 소비자 인식 개선 및 투명한 정보 제공
    • 유럽 및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등을 전략적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24.

요약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미래는 “지속가능성, 품질, 인증, 협력, 투명성”에 달려 있습니다.
  • **A.O.P. Italia Zootecnica**는
    • SQNZ 공식 인증 확대,
    • Consorzio Sigillo Italiano 브랜드 강화,
    • 생산자조직 협력과 혁신,
    • 소비자 신뢰 회복을 통해
      이탈리아산 소고기의 글로벌 경쟁력과 시장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24.

이 결론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현황과 미래 전략, 그리고 생산자조직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탈리아 축산농가의 국가(농림부 MASAF)-주(Region) 회의 요청사항 요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축산농가가 **국가 농림부(MASAF)와 주정부 회의(Conferenza Stato-Regioni)**에 공식적으로 제출한 주요 요구사항을 정리한 슬라이드입니다.


핵심 요청사항

  1. 국가 소고기 산업 부문 테이블(전략회의) 설치 및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di Settore)’ 수립
    • MASAF에 소고기 산업 부문 전략회의(Decreto) 설치
    •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Piano di Settore) 마련 및 국가-주 회의에서 공식 승인 추진
  2. MASAF 내 ‘소고기 OCM(공동시장기구)’ 기금 조성
    • 산업계획 내에 소고기 OCM 기금 설치
    • 공식 인증 생산자조직(Organizzazioni Produttori)들의 집적·성장 지원
  3. 2025년부터 환경·사회·경제 지속가능성 인증(Disciplinare riconosciuto di Sostenibilità Ambientale, Sociale ed Economica) 도입
    • PSN(국가 전략계획) 내에서 Ecoschema 1, 직접지불(연계보조금)과 연계해
    • 이미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내에 도입된 공식 인증 규약 적용
  4. 2022년 12월 16일자 ‘국가 축산품질인증제(SQNZ)’ 신설령의 신속한 이행 및 재정지원
    • 각 지역에서 통보된 신규 인증 규약의 신속한 반영
    • SQNZ 인증 생산물의 홍보·확산을 위한 충분한 재정 지원
  5. ‘식품주권(Sovranità Alimentare)’ 법령 개정 및 구조적 재정지원 확대
    • 해당 법령을 구조적으로 개정해,
      이탈리아산 송아지(ristalli) 생산 확대(특히 젖소 농가 포함)를 위한 재정지원 강화

배경 및 시사점

  • 이 요청들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 자급률 제고, 공급망 조직화, 지속가능성, 공식 인증 확대, 재정지원 등을 포괄합니다.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와 공식 인증 생산자조직의 역할 강화,
    재정지원 확대, 정책적 인센티브
    가 핵심 전략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지속가능성(환경·사회·경제) 기준의 공식 인증화,
    생산자조직의 집적·성장, 법적·재정적 지원 확대

    이탈리아 축산농가의 현장 요구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요약:
이탈리아 축산농가는

  • 국가 소고기 산업계획 수립,
  • OCM 기금 조성,
  • 지속가능성 인증 도입,
  • SQNZ 인증제 확산,
  • 식품주권 법령 개정 및 재정지원 확대
    등을 국가와 주정부에 공식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번역 및 해설


슬라이드 원문 번역

Obiettivo del Piano Carni Bovine Nazionale:
Redigere un PIANO DI SETTORE per la ZOOTECNIA BOVINA DA CARNE coinvolgendo l’intera FILIERA
(Allevatori, Macellatori, Distribuzione)

Grazie per l’attenzione!
(감사합니다!)


해설 및 맥락

이 이미지는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국가 전략계획(Piano Carni Bovine Nazionale) 발표의 마지막(감사의 인사) 슬라이드로,
핵심 목표와 추진 방향을 명확히 요약하고 있습니다.

핵심 메시지

  • 최종 목표:
    이탈리아산 소고기 산업의 미래를 위해
    사육농가(Allevatori), 도축업체(Macellatori), 유통업체(Distribuzione) 
    **공급망 전체(FILIERA)를 아우르는 ‘소고기 부문 국가계획(PIANO DI SETTORE)’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 목표임을 강조합니다.

배경 및 시사점

  • 이 계획은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자급률 제고, 품질·지속가능성 강화, 공식 인증 확대, 산업 구조화 등을 위해
    생산~도축~유통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235.
  • A.O.P. Italia Zootecnica(이탈리아 대표 소고기 생산자조직 연합)가 주도하며,
    전체 생산량의 70% 이상을 대표하는 조직입니다.
  • SQNZ(국가 축산품질인증제) 확대, Consorzio Sigillo Italiano(이탈리아 인증마크 협회) 브랜드화,
    생산자조직 협력, 산업 공동기금(Erga Omnes) 조성 등
    이 주요 추진 수단입니다235.

하단 정보


요약

  • 이탈리아 소고기 산업의 국가 전략계획은
    “공급망 전체(사육, 도축, 유통)를 아우르는 부문별 국가계획(PIANO DI SETTORE) 수립”이 핵심 목표
    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 이는 산업의 지속가능성, 경쟁력, 품질, 자급률, 소비자 신뢰를 모두 높이기 위한
    국가적 통합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결론 슬라이드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