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 발전 과정, 과제, 그리고 녹색 생산의 전망에 대한 고찰
PORK PRODUCTION SYSTEMS IN CHINA: A REVIEW OF THEIR DEVELOPMENT, CHALLENGES AND PROSPECTS IN GREEN PRODUCTION
Shuai ZHANG1 , Xin WU2 , Dandan HAN1 , Yong HOU3 , Jianzhuang TAN4, Sung Woo KIM5, Defa LI1, Yulong YIN2, Junjun WANG (✉)1
소속 기관
- 중국 농업농촌부 동물영양 국가중점실험실, 중국농업대학교 동물과학기술대학 사료산업센터 (중국 베이징 100193)
- 중국과학원 아열대농업연구소 아열대지역 농생태과정 중점실험실, 가축 및 가금 생산의 오염방지 및 폐기물 이용 국가공정실험실, 후난성 건강한 가축 생산 공정연구센터, 남중부지역 동물영양 및 사료과학 관측·실험소 (중국 후난성 창사 410125, 농업농촌부 소속)
- 중국농업대학교 자원환경과학대학, 국가농업녹색발전연구원, 식물-토양 상호작용 교육부 중점실험실 (중국 베이징 100193)
- 테크뱅크식품유한회사 (중국 난징 211800)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학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롤리 27695)
주요어(Keywords)
중국, 사료, 돼지고기 생산, 지속가능성
핵심 요약(HIGHLIGHTS)
- 향후 중국에서는 대규모 산업형 돼지고기 생산 기업이 선호될 전망이다.
- 녹색 돼지고기 생산에 대한 주요 도전 과제로는 배출가스, 사료 부족, 잔류물 문제가 있다.
- 녹색 생산을 위한 잠재적 해결책으로는 정밀 사양관리와 분뇨 재활용이 제시된다.
이 이미지는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The pork production systems in China)**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그래픽 초록(Graphical Abstract)**이다. 다음은 이 그림의 내용을 문어체 평서체로 정리한 번역이다: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
1. 발전 과정 (Development)
- 개혁·개방 이전에는 전통적인 소규모 양돈이 중심이었다.
- 이후 대규모 공장식 양돈 생산자가 등장하였다.
- 점차 집약화, 현대화, 표준화가 이루어지며 발전하였다.
2. 조직화 유형 (Organization)
- 중국은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성장하였다.
- 생산 체계는 두 가지 방식으로 조직된다:
- 기업 + 농가 모델 (enterprise + farmer mode)
- 자가 운영 모델 (self-support mode)
3. 한계점 (Limitations)
- 소농의 비율이 여전히 높다.
- 생산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4. 도전 과제와 전망 (Challenges and Prospects)
- 과도한 배출과 환경 압력이 문제로 대두된다.
- 사료 원료의 부족 및 이용 효율 저하가 지속된다.
- 항생제와 중금속 잔류물 문제가 존재한다.
→ 이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Possible solutions)**이 모색되고 있다.
이 도식은 중국의 양돈산업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 어떤 구조적 문제와 환경적·기술적 도전에 직면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준다.
본 논문은 세계에서 가장 큰 돼지고기 생산 및 소비 국가인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구조 변화에 대해 검토한다.
중국의 양돈 산업은 1990년대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었으며, 과거의 전적으로 가족 중심이던 양돈 방식은 대규모 집약적 생산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현대적인 번식, 사양, 백신접종, 경영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농가가 전체 생산의 상당 부분을 여전히 차지하고 있다.
양돈 산업의 집약화 및 전문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인식과 압력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중국 양돈 산업이 직면한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 국내산 사료의 상대적 부족,
- 사료 원료의 낮은 이용 효율,
- 질소와 인의 대기 및 수질 오염 배출,
- 항생제의 과다 사용,
- 분뇨 내 중금속 잔류물 문제 등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 신규 사료 자원의 활용,
- 정밀 사양관리,
- 저단백질 사료 설계,
- 항생제 대체제 개발,
- 분뇨 재활용 확대 등의 기술적 접근이 중요하며,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경영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중국에서도 보다 지속가능한 양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1. 중국 돼지고기 생산 부문의 개요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부문은 농업 산업 전반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8%를 차지하는 중국 인구는,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의 거의 50%를 소비하고 있다(Fig.1).
이처럼 막대한 소비 수요는 특히 최근 수십 년간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산업을 크게 자극하였다.
돼지 도축 마릿수는 약 10년 전부터 연간 6억 6천만 마리를 초과하였으며, 연간 돼지고기 생산량은 5천만 톤 이상에 달했다(Fig.2)[2].
그러나 2019년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영향으로 돼지 사육두수와 생산량이 급감하였으며,
연간 도축 마릿수는 5억 4천만 마리, 생산량은 4,300만 톤으로 감소하였다[2].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고,
전년 대비 사육두수는 11.7%, 생산량은 10.8% 감소하였다(Fig.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산업계는 2020년 이후 돼지고기 생산의 회복을 전망하였다.
이는 최근 몇 년간 돼지고기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상당한 시장 잠재력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2016년 약 20kg, 2018년에는 약 23kg에 달하였으며, 이는 전체 육류 소비의 약 63%를 차지하는 수치다[4].
2029년까지 중국의 연간 돼지고기 생산량은 6천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4].
돼지고기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경영 부실, 규제 미비,
그리고 작물 생산과 양돈 시스템 간의 공간적 분리와 결합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심각하게 유발하였다.
특히 분뇨 및 액비의 부적절한 처리와 사료 자원의 낭비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5,6].
2017년 기준, 연간 돼지 분뇨 발생량은 6천만 톤을 초과하였고,
그중 종합 이용률은 50% 이상으로 추산된다[7].
양돈 부문은 축산업 전체 오염원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축산업 전체가 유발하는 오염량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8].
중국 내 주요 양돈 생산 지역은 중서부 지역, 북부 지역, 그리고 화이허강 이남 지역이다[9].
특히 쓰촨성, 허난성, 후난성, 산둥성, 윈난성은 전국 돼지 분뇨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한다[9].
2018년 기준, 비육돈의 평균 사료전환율은 약 2.6:1이며,
사료 총소비량은 1억 9,500만 톤을 초과하였다(Fig.2).
이 중 옥수수 소비량은 1억 1천만 톤, 대두 소비량은 5천만 톤 이상이었다[2].
과거에는 작물 부산물이 돼지 사료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점점 외면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과 영양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6,10].
이 파이 차트는 2018년 기준 전 세계 주요 돼지고기 생산국의 비중을 보여주고 있으며, 출처는 FAO(세계식량농업기구)이다. 아래는 도표 내용의 해석이다:
🔹 2018년 세계 주요 돼지고기 생산국 (Fig.1)
- 중국 (China) –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 세계 돼지고기 생산량의 절반 가까이를 생산
- 유럽연합 (European Union) – 두 번째로 큰 비중
- 미국 (USA) – 세 번째
- 그 외 주요 생산국:
- 브라질 (Brazil)
- 캐나다 (Canada)
- 필리핀 (Philippines)
- 멕시코 (Mexico)
- 대한민국 (South Korea)
- 일본 (Japan)
- 기타 국가 (Others)
📝 주석
- "Janpan"은 오타로 보이며, **Japan(일본)**이 맞는 표현이다.
- 시각적으로도 중국의 압도적인 생산 비중이 확연히 드러난다.
이 자료는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얼마나 큰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 그림(Fig. 2)은 중국의 최근 15년간 돼지 도축 두수, 돼지고기 생산량, 사료 사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세 개의 막대 그래프이다.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 (a) 연간 돼지 도축 마릿수 (Annual swine slaughter, billion heads)
- 2005년 약 **6억 마리(0.6 billion)**에서 시작하여
- 2013~2014년에 **정점(약 7억 마리)**을 찍은 후
- 2019년, 특히 2020년 1~9월에는 급격히 감소
- 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COVID-19의 영향으로 해석됨.
🔹 (b) 돼지고기 생산량 (Pork production, Mt)
- 생산량도 도축 마릿수와 유사한 추세를 보임
- **2014~2015년에 약 5,500만 톤(Mt)**으로 정점
- 이후 완만히 감소하다가 2019년과 2020년에 급감
- 2020년 1~9월 기준 약 2,000만 톤 이하 수준까지 하락
🔹 (c) 돼지 사료 사용량 (Pig feed use, Mt)
- 2007년 약 7000만 톤에서 시작해
- 2017년 약 2억 톤 이상까지 꾸준히 증가
- 그러나 2018년과 2019년에는 감소세
- 이는 생산량 감소 및 ASF 여파로 해석 가능
📝 해석 요약
- 2005~2014년: 돼지 도축, 생산량, 사료 사용 모두 꾸준히 증가
- 2015~2017년: 생산량은 정체, 사료 사용은 증가세 유지
- 2018~2020년: ASF와 팬데믹으로 도축·생산·사료 사용 모두 급감
이 데이터는 중국 양돈 산업이 질병과 외부 변수에 얼마나 민감한지, 그리고 대규모 생산 체계의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2.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 발전 과정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은 아래의 세 시기로 나누어 발전해 왔다(Fig. 3 참조)[11,12].
■ 1978년 이전
이 시기에는 돼지고기 생산 수준이 낮고 공급도 매우 부족하였다.
전국 연간 돼지고기 생산량은 800만 톤 미만이었으며,
국민에게 돼지고기를 공급하기 위해 돼지고기 배급권(쿠폰) 제도가 운영되었다.
생산은 **농촌의 수많은 가족 단위 소농(자급농)**에 의해 이루어졌고,
풀사료, 조사료, 밀기울·주박 등 폐기물이 주요 사료원으로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주요 품종은 **요크셔(Yorkshire), 버크셔(Berkshire), 소련 백돼지(Soviet White)**였다.
당시에는 돼지 분뇨와 오줌을 농경지 비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양돈과 작물 재배가 긴밀히 연계된 전통적인 방식이었다[13].
■ 1980년대 이후: 개혁개방과 공장식 생산 도입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대규모 공장식 양돈 시스템이 출현하였다.
특히 광둥성 일부 돼지고기 생산자들은 중외합작 기업을 설립하고
유럽과 미국의 장비와 기술을 도입하여 산업화된 양돈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1980년대 후반에는 도시 식품기지(Urban Food Bases) 및 채소 바구니 프로젝트(Vegetable Basket Project) 시행에 따라
중국 각지에서 공장형 양돈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었고, 돼지고기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1997년에는 전국 생산량이 3,600만 톤에 도달해 1990년 대비 58% 증가하였으며,
1인당 소비량은 29kg으로 미국을 추월하였다[2,4].
1985년에는 중국 최초의 돼지 사양 기준이 제정되었고,
복합사료, 프리믹스, 사료첨가제 등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덴마크 랜드레이스, 영국 요크셔, 미국 듀록 등 고기형 개량 품종도 수입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대부분의 생산자는 연간 도축 두수 500두 미만 수준이었다.
한편 정부 보조를 받은 값싼 화학비료가 작물 생산에 도입되면서,
돼지 분뇨는 더 이상 주요 비료로 쓰이지 않게 되었고,
분뇨의 운반과 관리에 필요한 상업 기술의 부족도 작용하여,
분뇨는 점점 폐기되거나 매립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6].
이처럼 양돈의 현대화와 화학비료의 보급은
결과적으로 **양돈과 작물 재배 간의 분리(탈동조화)**를 초래하였다.
■ 2000년대 이후: 집약화와 환경 문제 대두
대규모 양돈의 확대로 인해, 양돈 산업은 점차 집약화, 현대화, 표준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분자육종 기술 등 첨단 번식 기술, 유즙대체사료 등의 전문 사료도 보급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표적으로는
- 사료 자원 낭비,
- 전염병의 확산,
- 항생제 남용,
- 식품 안전 문제,
- 특히 분뇨와 슬러리의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환경 문제는 지속가능한 양돈 및 농업 시스템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분뇨 처리 및 재활용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게 되었다[14].
현재는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가 유기물 재활용의 핵심 경로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바이오가스와 **소화 잔여물(digestate)**이 생산된다[6].
2015년까지 약 4,200만 농가가 혐기성 소화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1만 개의 대형 혐기성 시설이 정부 보조를 받아 운영되고 있었다[6,15].
하지만 이 시스템은 소화조 비우기 및 슬러지 관리의 노동 강도가 높고,
특히 소규모 농가에서는 비경제적이어서 많은 시설이 폐기되었다[6,15].
이러한 현실에서, 분뇨의 고형분을 액-고체 분리 후 퇴비화하는 방식이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방식은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며, 악취와 병원성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16,17].
2008년에는 3,000개 이상의 퇴비화 공장이 건설되어
약 2,500만 톤의 상업용 유기질 비료를 생산한 바 있다[13].
다만 잔여 액상 분획물에 대해서는 여전히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처리 방법이 부족하다.
■ 2015년 이후: 환경정책과 산업 구조조정
2015년, 신환경보호법 시행 이후 돼지고기 산업은 전례 없는 규제를 받게 되었고,
이에 따라 중소규모 농가는 산업을 떠나고, 대형 기업 중심 구조로 재편되었다(Fig. 4 참조)[18].
2017년 말 기준, 연간 500두 이상 도축 가능한 생산자 비율은 45%를 초과하였고[4],
상위 10대 대형 생산업체의 생산 비중은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같은 시기 **미국은 40%**에 달해 여전히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4].
2020년 기준 세계 15대 돼지고기 기업 중 중국 기업이 5곳 포함,
그중 상위 6개 안에 모두 진입하였다(Table 1 참조)[19].
그러나 2018~2019년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유행으로 인해
중소규모 농가는 다시 한 번 대거 산업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 분뇨 관리의 사례: 허난성
농가 규모에 따라 분뇨 처리 방식은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허난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이 확인되었다[20]:
- 소규모 농가(연간 50~2000두):
- 약 36.8%가 슬러리를 농장 외부 도랑에 직접 방류
- 고형분은 작물 비료로 재사용
- 혐기성 소화조를 설치하고 슬러지 처리 가능한 농가 비율: 약 18%
- 중규모(2000~5000두) 및 대규모(5000두 이상) 농가:
- 약 70%가 혐기성 소화 방식 활용
- 이는 정부 인센티브의 영향으로 분석된다[20].
이처럼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은
전통적 자급농에서 산업화, 그리고 환경 중심의 재구조화로 이어지며
지속가능성과 경제성 사이에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이미지는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도식화한 것이다. 아래는 그림(Fig. 3)의 내용을 문어체 평서체로 정리한 해석이다:
Fig. 3. 중국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의 발전 단계 요약
시각 자료 설명
- 왼쪽 사진: 1980년대 초 중국농업대학교 돼지 사육장 – 전통식 사육 모습
- 오른쪽 사진: 현대 중국농업대학교의 자동화된 대형 돈사 – 현대화된 사육 환경
이 도식은 중국 양돈 산업이
- 소규모 자급농 기반 → 산업화된 대규모 시스템 → 지속가능한 순환농업 기반으로의 전환
이라는 흐름 속에서 생산량 증가와 함께 분뇨 관리 방식의 변화까지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3. 중국의 현대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의 조직 구조
현대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사료 생산, 사료 가공, 모돈(어미돼지) 생산, 이유자돈 생산, 비육돈 생산, 도축장 운영, 그리고 분뇨 및 폐기물 관리(Fig. 5).
이 구조는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 현대 양돈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이다[21–25].
중국의 대규모 현대 양돈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기업+농가 모델(enterprise plus farmer model)
- 자가 운영 모델(self-support model)[21] (Fig. 6)
또한 최근 정부의 장려 정책에 따라 **양돈 협동조합(cooperative)**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제3의 생산 모델로 부상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기업+농가 계약 모델’**이다.
이 방식은 생산 규모 확대를 빠르게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계약형 모델에서 농가는 비육 단계만 담당하며,
기업 또는 대형 양돈 회사는 자돈, 사료, 백신, 그리고 전문 기술 지도를 제공한다.
비육이 완료되면, 기업이 출하된 돼지를 회수하고, 유통·판매 및 정산을 수행하며,
계약 및 시장 가격에 따라 농가와 수익을 분배한다.
중국 국내 대표 양돈 대기업인 **Wens(원스)**는 이 모델을 최초로 확립한 기업이며,
현재 가장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외에도 CP Foods, New Hope Group, 정방그룹(Zhengbang), Twins Group 등이
이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대형 기업들이다.
반면 **자가 운영 모델(self-support model)**은 기업이
자돈부터 사료, 생산, 출하 및 판매까지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무위안(Muyuan)**이 있으며,
COFCO Group(중량그룹) 등도 이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에서 소규모 가족 중심 생산 방식이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유럽과 유사하지만,
북미 및 브라질과는 다른 구조이다.
미국의 사례와 비교
미국의 양돈 시스템은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21]:
- 1970~1980년대
- 이 시기에는 양돈 농가 수가 급감하였다.
- 1970년대 말 기준 약 65만 농가가 있었고, 이 중 78%가 100두 미만 규모였다.
- 1989년에는 총 농가 수가 30만 가량으로 줄었고,
많은 소규모 농가가 산업을 떠났다.
- 1990년대
- 연간 5,000두 이상 생산하는 대규모 농장이 등장하고 급속히 확장되었다.
- 2000년에는 전체 농가 수가 8만 6천으로 감소했고,
이 중 2,000개 이상의 농장이 5,000두 이상을 생산하였다. - 이는 동물 유전, 영양, 사료 장비, 수의 서비스, 생산 조직·관리 기술의 혁신과 도입 덕분이었다.
- 이 시기에는 전문 비육 농장도 등장하였으며,
2004년까지 전체 생산자의 80%가 이 시스템에 속하게 되었다.
- 21세기 이후
- 미국의 양돈 산업은 성장 속도는 둔화되었지만,
규모화는 지속되었고, 사육 두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특히 도축 및 가공 기업의 통합이 생산 확장을 주도하였다.
- 2010년 기준, 미국 상위 4개 도축·가공 기업(스미스필드 포함)은
**미국 전체 도축·가공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였다[21].
- 미국의 양돈 산업은 성장 속도는 둔화되었지만,
이러한 미국의 경험은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산업화 모델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 막대그래프(Fig. 4)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내 돼지 생산 농가 규모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출처는 **중국 농업농촌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Affairs of China)**이다.
🔍 범례 설명
- 검은색 (상단): 연간 도축 10,000두 이상
- 짙은 회색: 연간 도축 500~9,999두
- 밝은 회색: 연간 도축 50~499두
- 진회색 (하단): 연간 도축 1~49두
📈 주요 해석
- 소규모 농가(1~49두):
- 2007년에는 전체의 약 40% 이상을 차지
-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18년에는 약 20% 이하 수준으로 축소됨
- 중간 규모 농가(50~499두):
- 전반적으로 비중이 일정하게 유지됨
- 그러나 전체 구성 비중은 다른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음
- 중대형 농가(500~9,999두):
- 2007년~2018년 사이에 가장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비중을 차지
- 전체 양돈 구조에서 중심적인 위치
- 대형 농가(10,000두 이상):
- 2007년에는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 2018년에는 약 10% 수준까지 증가하며 성장세가 뚜렷함
📝 종합 분석
- 2007~2018년 동안 중국의 돼지 생산 구조는
소규모 분산형 구조에서 대형 집중형 구조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음. - 특히 대형 농장의 비중 증가와 중소농가의 탈락 현상이 뚜렷하다.
- 이는 환경규제, 수익성, 기술력, 정부 인센티브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 자료는 중국 양돈 산업이 점차 기업화·집약화되며,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요 해석 및 분석
- 상위 6위 중 5개가 중국 기업으로, 중국의 산업 집중도가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
- **Wens(원스)**와 **Muyuan(무위안)**은 각각 1,300천두와 1,283천두로 세계 최대 수준의 사육 규모를 갖추고 있다.
- 미국은 Smithfield, Triumph, Pipestone, Seaboard, Iowa Select 등 5개 기업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Smithfield Foods는 3위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다. - **브라질과 유럽(프랑스, 스페인)**에서도 각각 대기업이 포함되어 있으나,
중국과 미국 중심 구조가 확연하다.
이 표는 글로벌 양돈 산업의 기업화와 규모화,
그리고 중국 대기업들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그림(Fig. 5)은 현대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의 생애주기(life-cycle) 기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각 단계는 사료 생산부터 도축, 분뇨 처리까지의 과정을 포함한다.
📦 현대 돼지고기 생산 시스템의 구조 (생애주기 관점)
- Feed ingredients (사료 원료)
→ 사료 생산과정에 투입됨. - Feed production (사료 생산)
→ 곡물, 부산물 등을 활용하여 사료 원료를 생산. - Feed processing (사료 가공)
→ 원료를 혼합·가공하여 사용 가능한 사료로 제조.
→ 이 가공 사료는 양돈장 전체 시스템에 공급됨.
- Sow production (모돈 생산)
→ 번식용 어미돼지를 관리하고 새끼를 생산. - Nursery pig production (이유자돈 생산)
→ 젖을 뗀 자돈을 일정 시기까지 키움. - Growing and finishing swine (비육돈 생산)
→ 자돈을 출하 가능한 체중까지 비육함.
- Abattoir operations (도축장 운영)
→ 비육돈은 도축되어 **소비용 돼지고기(pork)**로 전환됨.
- Manure and waste management (분뇨 및 폐기물 관리)
→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뇨는
환경으로 유출되거나
퇴비화, 에너지화(바이오가스), 정화 등의 방식으로 처리됨.
⚡ 외부 자원 투입 요소
- 전기, 열, 물, 화석연료 등의 에너지 자원이 전체 과정에 사용됨.
🌱 환경적 영향
- 분뇨 및 에너지 소비 등으로 인해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지속가능성 평가 및 환경정책 수립 시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된다.
🧩 핵심 요약
이 도식은 현대 양돈 시스템이 단순한 사육이 아닌
복합적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료 → 사육 → 도축 → 폐기물 처리까지
하나의 순환 체계로 운영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는 환경 영향 최소화, 생산성 극대화, 안전한 식품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축산 시스템 설계의 기준이 된다.
이 그림(Fig. 6)은 중국의 대규모 현대 양돈 시스템에서 주요하게 활용되는 두 가지 조직 모델을 비교한 도식이다. 각각은 다음과 같다:
🅰️ The enterprise plus farmer model (기업 + 농가 계약 모델)
🔄 구조 및 흐름
- **기업(Enterprise)**이
- 자돈(Piglets),
- **사료 및 백신(Feed and vaccines)**을 생산함
- 이 자원을 **농가(Farmers)**에 공급(Supply)
→ 농가는 자돈을 **사육장(Pig farms)**에서 **비육(Fatten)**함 - 농가는 **계약(Contract)**에 따라 기업의 **지침(Guide)**을 받고 사육을 진행
- 완성된 돼지(Finished pigs)는 기업이 회수 후 판매(Sale)
→ **시장(Market)**으로 출하됨
📌 이 모델은 분업 기반의 계약 시스템으로, 농가는 사육에 집중하고
기업은 자재, 기술, 유통을 맡음.
대표 기업: Wens, CP Foods, New Hope 등.
🅱️ The self-support model (자가 운영 모델)
🔄 구조 및 흐름
- **기업(Enterprise)**이
- 자돈(Piglets),
- 사료 및 백신(Feed and vaccines),
- 사육장(Pig farms) 등을 직접 구축(Build) 및 관리
- **전 사육 단계(비육까지)**를 자체적으로 수행
→ 자돈 → 완성돈(Finished pigs)으로 일원화된 경로 - 제품은 기업 주도로 직접 시장에 판매(Sale)
📌 이 모델은 기업이 생산 전 과정을 통제하는 수직통합형 구조로,
비용은 높지만 품질·위생·추적관리 측면에서 강점이 있음.
대표 기업: Muyuan, COFCO Group 등.
이 그림은 중국 양돈 산업이 규모화와 전문화에 따라
다양한 조직 모델을 혼합해 운영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4. 녹색 돼지고기 생산의 과제와 전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간 도축 두수가 500두 미만인 **소규모 생산자(smallholders)**는 여전히 중국 전체 양돈 생산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소규모 농가는 자원 사용량은 높고 생산 효율은 낮은 구조를 보이며, 대규모 산업형 양돈 시스템과 병존하는 형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 및 자원 이용에 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 과제가 되고 있다.
4.1 환경 오염 및 배출 부담의 저감 필요성
최근 생애주기 평가 연구에 따르면, 사료 생산이 양돈 시스템 전체 환경 영향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온실가스 배출 및 비재생 자원의 사용과 직결된다[26].
또한 분뇨 관리는 산성화 및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분뇨 내 질소 및 인이 수계로 유출되는 현상에서 비롯된다[26,27].
이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 부산물(co-products)의 사료 내 활용 비율 증대
- 저단백질 사료와 합성 아미노산의 결합 사용
- 사료 소화 효율을 높이는 효소의 첨가 등[26,27]
또한, 양돈과 작물 생산을 연계한 순환형 농업 체계를 구축하면
분뇨 처리 및 자원 순환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결과적으로 양돈 산업의 환경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28].
4.2 사료 원료의 상대적 부족과 저효율 문제
세계 인구 증가로 인해 동물성 식품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곡물(특히 곡류 및 유지종자)**을 가축에게 먹이는 것이
인간 식량 수급과 경합 관계에 놓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29].
예를 들어, 동물 사료용 곡물 1kg을 생산하기 위해 약 1.2㎥의 물이 필요하다[30].
이는 복합사료를 급여하는 축산이 간접적으로 많은 수자원을 소비함을 의미한다.
2018년 기준으로 중국은 총 1억 1,600만 톤의 곡류 및 유지작물을 수입하였으며,
그중 70% 이상이 사료용으로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 사료 자원의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2].
또한 중국의 평균 사료 이용 효율과 모돈당 연간 자돈 생산 마릿수는
유럽·북미에 비해 각각 15%, 30% 낮은 수준이다[21].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
- 농업 부산물 등 대체 사료 자원 개발
- 생물학적 발효 등 경제적 가공 기술 개발
- 정밀 영양(nutrition precision) 기반 사료 설계
정밀 영양은 사료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인간과 가축 간의 식량 자원 경쟁을 줄이며,
환경 오염까지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32].
이를 위해서는:
- 사료 원료의 실제 영양가 평가
- 돼지 성장 단계별, 환경 조건별 영양 요구량의 정밀 산정
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장비를 활용해,
스마트 센서 및 자동 사료기를 통한 정밀 영양 관리 실현이 가까운 미래에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4.3 항생제 및 금속류 잔류물 문제
항생제는 그동안 돼지 사료에 성장촉진제로 사용되었고,
구리(Cu), 아연(Zn) 등 금속류는 특히 자돈의 장 건강 유지 목적으로 고용량 투입되었다[33].
그러나 항생제와 금속류의 사용은 다음과 같은 우려를 낳고 있다:
- 식품 체계를 통해 인체로 유입
- 토양 및 수계의 생태계에 직접적 영향
- 항생제 내성균 발생 가능성
유럽에서는 이미 2010년 이전(예: 네덜란드 2006년)부터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였으며,
미국은 2017년부터 성장촉진용 항생제 사용을 금지하였다.
중국도 2020년 7월 1일부터 사료 내 항생제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구리·아연 사용량 상한선을 설정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였다[4].
이러한 조치에 따라, 항생제와 금속류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물질 개발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현재 식물성 정유, 한약 추출물, 유기산, 프로바이오틱스, 항균 펩타이드 등
다양한 대체제가 연구·상용화되고 있다[33–35].
4.4 기타 지속가능성 관련 도전 과제
지속가능한 양돈 생산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도 여전히 큰 위협이다:
- 돼지고기 가격의 불안정
- 전염병 발생
- 모돈의 생식 관련 질병
특히 **2018년 이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확산은
중국은 물론 아시아 및 유럽 일부 국가에서 돼지 개체 수를 급감시켰고,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 병은 단기간에 종식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병원체 발생 및 확산 통제,
모니터링 강화,
백신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36].
또한, 소규모 농가 대상 기술교육 및 방역지도 강화,
시장 개입을 통한 가격 안정화 역시 병행되어야 한다.
모돈 번식 질병 중 하나인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PRRS)**은
심각한 생산성 저하와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
- 항생제 치료
- 예방적 관리
-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종합적 적용[37]
이러한 여러 도전 과제를 극복함으로써,
중국의 양돈 산업은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5. 결론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은 지난 30년간 빠르게 발전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여전히 전체 생산자의 약 50%는 소규모 농가이며,
이들은 생산 효율이 낮고,
이로 인해 영양분 배출, 항생제 잔류물, 구리·아연 등의 중금속 문제로
환경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중국은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으로도 지속가능한 양돈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중대형 산업형 양돈기업이 중심이 되는 조직 형태가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 대체 사료 자원 개발,
- 정밀 사양관리,
- 저단백 사료 구성,
- 항생제 대체 기술,
- 분뇨 재활용 확대 등은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자 정책 과제로 꼽힌다.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돼지고기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FAOSTAT: 축산물 가공 통계. 2020년 8월 1일 기준 FAO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함.
- 중국 국가통계국(NBSC). 연간 농업 통계 데이터. 2020년 8월 1일 기준 NBSC 웹사이트에서 확인함.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2020년 12월 30일, 10월 정례 기자회견 자료에서 인용.
- 중국 농업전망보고서(China Agriculture Outlook, 2020–2029). 2021년 1월 19일, CAO 웹사이트에서 제공됨.
- Hou Y 외. EU-27 국가의 가축 사료 이용 및 질소 배출량 분석.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2016, 218: 232–244.
- Jia W 외. 중국 내 작물잔사 및 가축분뇨의 생산량과 지리적 분포 평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8, 188: 954–965.
- 중국 농업농촌부. 제13차 5개년 계획 하의 국가 양돈 생산 및 발전 계획(2016–2020). 2021년 1월 19일 기준 MARAC 웹사이트에서 확인함.
- Peng X Y. 돼지 사육 농가의 바이오가스 기술 채택 행태 및 녹색 보조정책에 관한 연구. 중국농업과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중문).
- Wu S H 외. 중국 축산분뇨의 발생량 및 이용 실태 분석. 중국공학원 전략연구(CAE), 2018, 20(5): 103–111 (중문).
- Wei S 외. 도시주변 양돈의 환경·경제·사회적 분석.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6, 129: 596–607.
- Pan Y C. 중국 특색의 양돈산업 발전 경로. Chinese Journal of Animal Science, (연도 미기재).
- Xiong Y Z. 중국 양돈산업의 발전 경로. Today Animal Husbandry and Veterinary Medicine, 2007, 11: 14 (중문).
- Yang Y L 외. 중국의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정량 평가 및 에너지 활용 잠재성 분석.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0, 14(9): 3050–3058.
- Westerman P W, Bicudo J R. 유기성 폐기물의 농업 이용에 대한 관리 고려사항. Bioresource Technology, 2005, 96(2): 215–221.
- NDRC 및 MARAC. 제13차 5개년 계획 하의 국가 농촌 바이오가스 개발계획. 2021년 1월 19일 기준 NDRC 웹사이트에서 확인함.
- Onwosi C O 외. 퇴비화 기술의 현황, 문제점, 향후 과제.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7, 190: 140–157.
- Bernal M P 외. 가축 분뇨의 퇴비화 및 퇴비 성숙도 평가에 대한 화학적 기준 고찰. Bioresource Technology, 2009, 100(22): 5444–5453.
- 중국 축산수의연감(2007–2018). 베이징: 중국농업출판사 (중문).
- National Hog Farmer (NHF). "Top Stories". 2020년 8월 1일 기준 NHF 웹사이트에서 확인함.
- Chou H G 외. 허난성을 사례로 한 양돈 분뇨 종합 이용 비용 및 보조정책 분석. 중국인민대학교 농촌경제개발학부, 2016. 그린피스(GREENPEACE) 웹사이트에서 2020년 12월 30일 기준 확인함.
- Liu W T, Gu L W. 중국과 미국의 양돈산업 비교 연구. Chinese Journal of Animal Science, 2016, 52(6): 3–7 (중문).
- Mackenzie S G 외. 캐나다 양돈시스템의 환경영향 평가에서의 불확실성 반영. Journal of Animal Science, 2015, 93(6): 3130–3143.
- Ali B M 외. 브라질에서의 사료 부산물 활용이 돼지 사육의 환경·경제적 영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7, 162: 247–259.
- Noya I 외. 스페인 갈리시아 지역의 돼지 생산에 대한 생애주기 평가 사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7, 142: 4327–4338.
- Wang X L 외. 중국 북부 대규모 양돈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평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5, 102: 144–164.
- Mackenzie S G 외. 사료 부산물 활용을 통해 양돈시스템의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는가?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016, 115: 172–181.
- Mosnier E 외. 생애주기 평가를 통한 사료용 아미노산의 환경 영향 분석. Animal, 2011, 5(12): 1972–1983.
- Bouwman L 외. 1900–2050년 가축 생산이 유발한 농업 내 질소·인 순환 변화 분석. PNAS USA, 2013, 110(52): 20882–20887.
- Le Cotty T, Dorin B. 가축 사육에 필요한 식량작물 수요의 미래 전망. Animal, 2012, 6(9): 1528–1536.
- Faust D R 외. 북미 대평원 지역에서의 통합 작물·가축 시스템과 수질의 관계 고찰.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018, 47(1): 1–15.
- Tan B, Yin Y. 중국 동물생산의 환경 지속가능성 및 영양 전략 분석. Annual Review of Animal Biosciences, 2017, 5(1): 171–184.
- Andretta I 외. 양돈 생산에서의 정밀 급이 프로그램의 환경영향. Animal, 2018, 12(9): 1990–1998.
- Wu Y 외. 최근 27년간 양돈 영양의 발전 현황.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020, 100(14): 5102–5110.
- Wang S 외.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항균 펩타이드의 활용 가능성.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6, 17(5): 603.
- Liao S F, Nyachoti M. 돼지 장 건강 및 영양 활용도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활용. Animal Nutrition, 2017, 3(4): 331–343.
- Dixon L K 외.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한 최신 연구. Antiviral Research, 2019, 165: 34–41.
- Pozzi P, Loris A. 모돈의 번식 질병(집돼지): 문헌 고찰. Israel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2012, 67(1): 24–33.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양돈업의 공간 분석 및 특성 (2) | 2025.06.09 |
---|---|
베트남 돼지고기 공급 동향과 양돈 부문의 구조적 특징 (2) | 2025.06.07 |
파머존(Farmer John) 도축장이 폐쇄된 지 수개월이 지난 지금, 노동자들은 새로운 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 2025.06.06 |
2025회계연도 1분기, 스미스필드 푸즈 전년 대비 강력한 이익 성장 보고 (0) | 2025.06.06 |
WH그룹, 스미스필드 분사 및 해외 진출 지원 (1)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