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창하는 음식점 마케팅 대전|검토해야 할 5가지 방법 및 성공 사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여전히 많은 음식점이 손님 감소와 매출 하락으로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케팅의 생각과 방법을 도입하는 가게들이 늘고 있다.
飲食店が無意識的に行っているマーケティング活動
(음식점이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는 마케팅 활동)
- 来店顧客情報をためる(管理する)
(방문 고객 정보를 모은다 [관리한다]) - SNSによる情報発信
(SNS를 통한 정보 발신) - 店頭でのチラシ配り
(매장에서 전단지 배포) - スタンプカードによる来店促進
(스탬프 카드에 의한 방문 촉진)
사실 평소 SNS 등을 통한 정보 발신이나 판매 촉진, 전단지 배포 등은 마케팅 활동의 일환이기 때문에 '마케팅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가게에서도 의도치 않게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음식점에서의 마케팅의 필요성과 실제로 해야 할 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음식점에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
애초에 음식점에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장에서는 먼저 마케팅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케팅이란?
마케팅의 정의는 광의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마케팅(marketing)은 기업 활동에서 '팔리는 구조의 구축'과 관련된 활동의 총칭이다. 시장과 고객의 수요를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품을 만들고, 상품의 존재를 널리 알리면서 수요를 불러일으키고,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켜 궁극적으로 자사의 이익으로 연결시키는 일련의 전략적 기업 활동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인용: weblio 사전|마케팅
즉, 음식점에 대입해 보면 시장조사 후 상품(요리, 서비스)을 만들고, 고객을 유치하고, CRM을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마케팅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CRM이란?
CRM은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고객 관계 관리)의 약자로 '고객 관계 관리'라고도 불리며, 고객과 친밀감을 형성하여 단골이나 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하지만 위의 정의는 새로운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존 음식점에서는 집객이나 홍보와 함께 매장이 번창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을 CRM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CRM이 단순히 개념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CRM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툴을 포함하여 CRM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CRM은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이 될까?
그렇다면 위와 같은 CRM을 음식점의 활동에 적용했을 때 실제로 어떤 행동이 연결되는지 표 형식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매장에서의 활동 CRM에 대입하면
손님의 정보를 노트에 저장한다 | 고객 정보의 일원 관리 |
손님과의 대화를 통해 친분을 깊게 한다 | 고객과의 좋은 관계 구축, 고객의 기호나 성향 파악 |
항상 찾아와 주는 손님에게 특별히 한 가지를 서비스한다 | 고객과의 좋은 관계 구축, 고객 만족도 향상 |
많이 방문하는 요일이나 시간대를 조사한다 | 고객 정보 분석 고객 니즈 파악 시장 조사 |
새로운 메뉴나 유익한 정보를 일괄 발신한다 | 고객을 끌어들임 단골 확보 |
위와 같은 구체적인 예가 CRM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툴을 활용하면 고객에 대한 정보를 일원화하여 효율적으로 마케팅 방법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여유가 있는 매장은 꼭 활용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CRM을 숙지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성공적인 마케팅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CRM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 음식점 고객관리(CRM)란? 시스템 도입의 장점까지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으니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음식의 맛과 서비스만으로는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에 마케팅은 필수입니다.
지금까지 마케팅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결론적으로 음식점은 음식의 맛과 서비스만으로는 살아남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도 있지만, 맛있는 음식과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면 '잘되는 가게'가 된다는 법칙이 무너지고 있다. 테이크아웃, 음식 배달 등 식사 방법이나 가게의 선택지가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케팅이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고 매출을 올리는 것에만 집중해 무작정 새로운 메뉴를 구상하거나 쿠폰을 배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마케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한 후, 판매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과 노력이 바로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점이 해야 할 마케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한다고 해서 특별한 것을 생각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고객을 더 잘 아는 것, 그리고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면 되는 것입니다.
먼저 마케팅을 하기 위해서는 고객층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명한 마케팅 퍼널에 대해 알아보고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점의 사용자층
음식점의 사용자층을 분류해 봅시다. 마케팅에서는 자신의 가게를 알고 있는지,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등 각각에 맞는 최적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략하고자 하는 타깃에 따라 소구 방법이 다르고 효과도 다르기 때문에 방법을 잘못 선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음식점 마케팅의 유저층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비인지층: 매장의 존재를 모르거나 관심도가 낮은 고객층
- 잠재층: 매장은 모르지만 같은 장르의 매장이나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 현재층(가시화된 층) : 매장을 알고 있고 관심은 있으나 아직 이용해보지 않은 고객층
- 고객층 : 이미 매장을 이용한 경험이 있음
역삼각형 구조
非認知層 (히닌치소) | 비인지층 (존재나 필요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 |
潜在層 (센자이소) | 잠재층 (문제나 필요는 있지만 아직 명확히 인식하지 않음) |
顕在層 (켄자이소) | 현재층 (문제나 필요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음) |
顧客層 (코캬쿠소) | 고객층 (구매 경험이 있는 고객) |
来店 (라이텐) | 방문 (매장에 실제 방문한 상태) |
이 그림은 마케팅에서 고객을 층별로 나눈 구조를 보여준다.
고객은 비인지층 → 잠재층 → 현재층 → 고객층 → 방문층 순서로 이동한다.
각 층의 특징과 마케팅 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非認知層 (비인지층)
- 특징
문제나 상품 자체를 아예 모르는 사람들이다. - 사람 수
가장 많다. - 관심도
가장 낮다. - 마케팅 전략
존재를 알리는 것이 최우선이다.
TV광고, 유튜브 광고, 버스 광고처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활동이 필요하다.
2. 潜在層 (잠재층)
- 특징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지만, 구체적인 해결책을 찾지는 않는 상태다. - 사람 수
많다. - 관심도
낮다. - 마케팅 전략
"당신에게 이런 문제가 있지 않나요?"라고 문제를 자각시키는 접근이 필요하다.
블로그 글, 문제 해결형 광고, 무료 상담 이벤트 등이 효과적이다.
3. 顕在層 (현재층)
- 특징
문제를 명확히 인식하고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사람들이다. - 사람 수
중간 정도다. - 관심도
높다. - 마케팅 전략
바로 상품이나 서비스로 연결해야 한다.
경쟁사와 비교해서 "왜 우리 제품이 좋은지"를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
상품 비교표, 후기 마케팅, 할인 쿠폰 제공 등이 유효하다.
4. 顧客層 (고객층)
- 특징
이미 한 번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 사람 수
적다. - 관심도
높다. - 마케팅 전략
다시 구매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회원 전용 쿠폰, 생일 축하 이벤트, 포인트 적립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来店 (방문)
- 특징
매장을 실제로 방문한 사람들이다. - 사람 수
가장 적다. - 관심도
가장 높다. - 마케팅 전략
방문 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환대, 샘플 제공, 후기 요청 등을 통해 감동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정리
사람 수는 위로 갈수록 많고, 관심도는 아래로 갈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윗단에서는 브랜드 인지에 집중하고, 아랫단에서는 구매 전환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가게의 매출을 늘릴 수 있는지 다음 단계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게의 상태를 파악한다
- 고객 파악하기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 수립하기
1단계: 가게의 상태를 파악한다
먼저 가게의 상태를 다시 한 번 점검해 봅시다.
입지, 고객층, 인기 메뉴, 단골손님의 방문 빈도 등 이른바 가게의 특징을 분석한다.
입지 하나만 보더라도 '주택가에 있다' 뿐만 아니라 '주택가에 있고 근처에 초등학교가 있다'와 같이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주변 환경도 검토해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모델 케이스로 다음과 같은 가게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이 카페는 런치 시간만 영업하는 업태이며, 교외 주택지에 위치해 있다.
주요 고객층은 30대에서 50대 여성, 특히 주부층이 중심이다.
인기 메뉴는 오반자이 플레이트이고, 단골 고객은 한 달에 1~2회 정도 방문한다.
가게 주변에는 도보 거리 내에 세계유산이나 큰 공원이 있다.
2단계. 고객 파악하기
매장을 찾는 고객은 어떤 사람들이 많이 오는가? 를 알아보자.
대략적인 느낌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시 한 번 수치 등 데이터로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예를 들면
- 예약 정보(일별,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몇 일 전에 예약했는지 등)
- 방문 횟수(단골이 많은지, 신규 고객이 많은지)
- 코스-요리 주문 수(어떤 코스 메뉴-요리가 인기가 있는지, 단가는 얼마인지 등)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평일에는 거의 예약이 들어오지 않지만,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전날이나 당일에 1~3건 정도 예약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단골 고객은 주로 평일에 많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관광 목적의 고객이나 아이를 동반한 고객이 많다.
인기 메뉴는 1,500엔 런치 세트로, 전체 고객의 약 80%가 이 메뉴를 주문한다.
나머지 20%는 3,500엔짜리 코스 요리와 1,300엔 정도의 단품 요리를 반반 정도 나누어 주문한다
마케팅에서 고객관리(CRM)는 필수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는 평소에 '고객을 얼마나 잘 관찰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고객 관리는 고객 유치를 위한 필수적인 첫 번째 단계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관리(CRM)란 매장과 직원, 고객과의 관계를 일원화하여 파악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툴을 사용하면 지금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고객관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CRM을 사용하면 '고객관리가 훨씬 쉬워진다',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 '고객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관련 기사 ' 음식점 고객관리(CRM)란? 시스템 도입의 장점까지 설명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단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한다.
매장과 고객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실제 정보를 바탕으로 매출 증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모델 케이스의 경우,
- 입지는 교외 주택가
- 인근에 세계문화유산이나 큰 공원이 있음
- 고객층은 30~50대 여성, 특히 주부층이 비교적 눈에 띈다.
- 단, 평일 점심은 거의 주부층, 주말과 공휴일은 관광객이나 어린이 동반이 주를 이루는 등 시간대에 따라 고객층이 달라진다.
- 1,500엔짜리 런치 세트(메인 메뉴는 반찬 플레이트)가 주문의 80%를 차지한다.
등의 특징이 보이는 경우,
- 평일 점심을 먹으러 오는 주부층에게 다음번부터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배포한다.
- 인근 관광시설에 전단지를 설치한다.
- 인근 공원에서 먹을 수 있는 간식 테이크아웃을 준비한다.
- 코스요리를 주문한 고객에게 오리지널 인근 지도를 증정한다.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모든 고객에게 무언가를 해주자는 것이 아니다! 라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파악이 되었다면 타깃을絞った施策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케팅은 매일매일 전략을 짜고 실행하고, 검증하고, 다시 실행하는 반복입니다. 어렵게 느껴지기 쉽지만, 조금씩 노력하는 것이 가게의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한 방법 외에도 STP 분석, 5P 분석 등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보다 심도 있는 전략 수립과 분석을 하고자 한다면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식점 디지털 마케팅 방법 5가지
음식점의 대표적인 마케팅 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 홈페이지
- MEO
- SNS
- 동영상 배포
- 맛집 사이트
홈페이지
홈페이지는 가게의 기본 정보 외에도 최신 정보, 이벤트 정보, 블로그 글 등 다양한 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공간이다.
확산성은 그다지 기대할 수 없지만, SNS 등에 비해 고객의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얻으려고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기업의 문의나 여행투어 이용 등 큰 거래와 관련된 경우에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연락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블로그에 SEO를 적용하면 구글 등 검색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
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검색엔진 최적화'를 의미하며, 검색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기 위한 시책을 말합니다.
SEO는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외주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게에 맞는 스타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중 하나다.
SEO를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여 홈페이지 내 자체 제작한 예약 양식으로 유도할 수 있다면,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고객 정보를 축적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MEO
MEO는 Map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지도 검색엔진 최적화'를 의미한다.
주로 구글 지도에서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시책을 일컫는 마케팅 용어입니다.
앞서 설명한 'SEO의 구글맵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웹에서 음식점을 찾기 위해 '프렌치 신주쿠', '오코노미야키 오사카'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맛집 사이트가 검색 상위에 표시되어 해당 맛집 사이트 내에서 추가 검색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구글 맵의 검색 결과가 검색 상위에 표시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해 MEO에 힘을 쏟는 음식점이 늘고 있다.
MEO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구글 비즈니스 프로필(구 구글 마이 비즈니스)에 등록해야 한다.
구글 비즈니스 프로필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합니다.
- 가게 이름
- 주소
- 전화번호
- 이메일 주소
- 홈페이지 주소
- 영업시간
- 정기휴일
- 점포 외관 및 내부, 요리 사진
- 가게의 장르
- 결제 방법(카드 결제, 전자화폐 등)
그 외 가게의 특징이나 특징 등 다양한 입력 항목이 준비되어 있다.
가능한 한 상세하게 입력하는 것이 MEO 대책에 효과적이라고 하니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자.
또한 Google 비즈니스 프로필에는 고객의 입소문이 게시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며, 작성된 입소문에 대한 답글을 다는 것은 MEO 대책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입소문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절한 답변을 작성하도록 하자.
리뷰에 대한 답글은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리뷰를 참고하여 방문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령 나쁜 후기라 할지라도 의견을 써준 사람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부정적인 표현은 피하면서 성실하게 답장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MEO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사 ' 음식점의 MEO 대책이란? 고객 유치를 위한 3가지 요령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SNS
도표 2-3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용 상황
(※ 막대 그래프 데이터는 해석 없이 텍스트 중심으로 정리할게)
- 전체 (n=31,958)
→ 인터넷 이용자 중 SNS 이용 비율은 73.8% (2020년) / 69.0% (2019년) - 6~12세 (n=1,903)
→ 24.1% (2020년) / 37.6% (2019년) - 13~19세 (n=2,486)
→ 86.1% (2020년) / 86.5% (2019년) - 20~29세 (n=3,045)
→ 90.4% (2020년) / 90.0% (2019년) - 30~39세 (n=2,524)
→ 83.0% (2020년) / 81.0% (2019년) - 40~49세 (n=4,337)
→ 81.5% (2020년) / 75.8% (2019년) - 50~59세 (n=3,760)
→ 75.8% (2020년) / 70.4% (2019년) - 60~69세 (n=4,543)
→ 60.6% (2020년) / 51.7% (2019년) - 70~79세 (n=3,094)
→ 47.5% (2020년) / 40.7% (2019년) - 80세 이상 (n=559)
→ 42.8% (2020년) / 46.7% (2019년)
위 표는 인터넷 이용자 중 SNS 이용자를 연령별로 나타낸 표입니다.
2019년과 2020년의 데이터를 비교해보면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SNS는 이용자가 많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확산성이 높기 때문에 신규 고객 유치와 재방문자 확보에 필수적인 존재 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위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라인 등 다양한 SNS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어떤 SNS를 시작할지 고민이라면 타깃 연령층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SNS는 연령대에 따라 이용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가게의 타깃층에 맞는 SNS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연령층에 접근하고 싶다면 SNS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아래 표는 SNS별 연령대별 이용률입니다.
표 5-1-1 [2021년] 주요 소셜 미디어 관련 서비스/앱 이용률 (전체·세대별)
조사 대상
- 전체
-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 남성, 여성
주요 서비스별 이용률 (요약)
LINE | 전 세대에서 압도적으로 높다. 전체 평균 92.5% 이용. 특히 30~60대에서 90% 이상 이용. |
10대(66.2%)와 20대(53.5%)에서 이용률이 높다. 30대 이상은 점차 감소. | |
40대(44.1%), 50대(48.9%)에서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높다. 젊은 층에서는 낮다. | |
10대(48.5%), 20대(71.6%), 30대(57.0%) 이용률이 높다. 40대 이후 감소. | |
mixi | 전 연령대에서 이용률이 낮다. (거의 1%~5% 수준) |
GREE |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이하) |
Mobage | 전 세대에서 사용률이 극히 낮다. (1~4% 정도) |
Snapchat | 10대(21.1%)와 20대(7.4%) 일부만 사용. 다른 세대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TikTok | 10대(27.5%), 20대(23.4%)에서 꽤 사용. 30대 이후 급격히 낮아진다. |
YouTube | 전 세대에서 골고루 사용. 특히 10대(95.3%)와 20대(94.9%) 이용률이 매우 높다. |
추가 사항
- 남성보다 여성 쪽에서 Instagram, TikTok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 남성 쪽은 YouTube와 LINE 사용률이 특히 높다.
정리하면,
10~20대는 Instagram, TikTok, Twitter, YouTube를 활발히 이용하고,
30대 이상은 LINE, Facebook, YouTube를 주로 이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SNS는 이용자가 많고 확산성이 높기 때문에 여러 개의 SNS를 운영하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계속 관심을 갖도록 하려면 1일 1회 정도의 잦은 업데이트가 필요하므로, 시간이 여의치 않다면 한 가지 SNS에 집중하여 일거양득을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
- Twitter는 전 세대 공략에 적합하지만 10~30대 중심이다.
- Facebook은 20~40대 비즈니스 이용자가 많고 확산력은 다소 약하다.
- Instagram은 10~30대 여성 소비층 공략에 적합하다.
- LINE은 재방문 유도와 단골 고객 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 YouTube는 브랜딩과 신뢰 구축에 좋고, 반복 노출 효과가 기대된다.
- TikTok은 10~20대 타깃이라면 빠른 확산과 인지도 확보에 유리하다.
음식점이 해야 할 SNS 시책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관련 기사 ' 음식점 집객 아이디어 8가지! 매출 증대 요령과 집객 툴을 소개합니다 」에서 설명하고 있으니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영상 배포
스마트폰의 성능 향상과 통신 환경의 인프라가 갖추어지면서 동영상 게시의 문턱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스마트폰의 동영상 편집 앱도 발달하고, PC 없이도 바로 올릴 수 있는 간편함도 있어 개인으로 동영상을 올리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시청자 측면에서도 인터넷 이용자 중 동영상 SNS 이용률은 유튜브 87.9%, 틱톡 25.1%, 니코니코동화 15.25% 등 동영상 콘텐츠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
아래 표는 동영상 미디어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을 연령별로 '휴일'과 '평일'로 구분하여 데이터화한 것입니다.
도표 2-2-2 [2021년도][휴일] 동영상 미디어 평균 이용 시간 (전체·세대별)
(참고) [2020년도][휴일] 동영상 미디어 평균 이용 시간 (전체·세대별)
- 빨간색 막대: TV 계열 영상
- 파란색 점선 막대: 인터넷 계열 영상
- 노란색 막대: DVD·BD·비디오 계열 영상
인용: 2022년 8월 총무성 정보통신정책연구소|2022년 8월 정보통신 미디어 이용시간과 정보행태에 관한 조사 보고서
전 연령대 평균 평일 217.9분, 휴일에는 260.8분이나 되는 시간을 동영상 콘텐츠 시청에 할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로 미루어 볼 때, 인터넷을 이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웹상의 동영상 콘텐츠를 수용하고 즐기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음식점과 관련된 동영상도 많은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으며, 특히 가게의 히스토리를 곁들여 준비 과정이나 영업 중인 풍경을 촬영한 동영상은 수만~1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인기 프로그램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가게에 담긴 정성과 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동영상 콘텐츠는 신규 고객 유입을 위한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재방문 고객의 방문 빈도를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음식점의 동영상에 원하는 것은 주로 '가게를 시작하게 된 계기', '어떤 재료로 어떤 공정을 거쳐서 어떤 음식이 만들어지는지', '인기 메뉴의 레시피와 만드는 방법' 등 입니다 .
동영상 촬영 시간이 부족하다면 수십 초에서 몇 분 분량의 짧은 동영상을 추천하며, Tik Tok을 비롯한 짧은 시간 동안 부담 없이 시청할 수 있는 짧은 동영상이 현재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직원과의 대화나 평소 요리하는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을 자주 올리면 문의나 방문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You Tube, Tik Tok, 니코니코 동화 등 동영상 위주의 SNS는 텍스트나 이미지 위주의 SNS와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번 기사에서는 구분하여 설명합니다.
맛집 사이트
맛집 사이트인ぐるなび, 먹방, 핫핫도그 등 맛집 사이트는 신규 고객 유치에 높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특히 상위 플랜에 가입하면 맛집 사이트 내 검색에서 상위에 노출되거나 눈에 잘 띄는 곳에 가게 정보가 배치되는 등 이용자들의 눈에 띄기 쉬워지기 때문에 즉각적인 집객 효과가 뛰어납니다.
하지만 월 약 1만 원~수십만 원의 기본 요금과 예약 건당 송객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맛집 사이트에 의존한 집객은 비용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맛집 사이트뿐만 아니라 홈페이지, SNS 등 집객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점의 아날로그적 마케팅 방법 5가지
디지털을 활용한 마케팅은 편리하지만, 반대로 매장에 따라서는 아날로그 마케팅이 더 좋은 경우도 있다.
음식점이 활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적 마케팅 방법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5가지다.
- 매장 내 전단지 배포
- 인근 회사나 주택에 포스터 붙이기
- 디스플레이 간판이나 깃발 설치
- 기존 고객에 대한 다이렉트 메일 발송
- 음식 관련 잡지 출판사에 '보도자료' 보내기
매장 등에서 전단지 배포
첫 번째 방법은 매장 입구나 때로는 역 앞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서서 전단지를 배포하는 것이다. 전단지는 특히 새로운 음식점 개척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왠지 모르게 받아보기 쉽기 때문에 폭넓은 타깃층에게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단지의 디자인이 뛰어나거나 전단지를 받은 사람만 받을 수 있는 쿠폰 등 혜택이 있다면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전단지에 쿠폰을 함께 넣으면 효과적이다.
전단지를 나눠줄 때 무작정 미소와 인사를 의식하며 “부탁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길가는 사람들이 음식점을 찾아 걸어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전단지에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단지 안에 '첫 방문 시 음료 1잔 무료', '원하는 메뉴 100엔 할인' 등의 혜택이 있는 쿠폰을 기재해 두는 것은 어떨까요? 전단지를 배부할 때 쿠폰이 기재되어 있다는 것을 어필하면 전단지를 받는 사람이 늘어날 것이다.
쿠폰의 시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 방문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것', '친구 추천 혜택을 부여하는 것', '이메일 주소 등 개인정보를 기입하게 하는 것' 등 4가지가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관련 기사 ' 음식점 쿠폰 정책으로 고객 이탈을 막는다! 이용률을 높이는 방법도 설명 '을 참고해 주세요.
주변 회사나 주택에 게시하기
점포 주변의 회사나 주택에 게시하는 것도 전단지 배포와 마찬가지로 모든 타겟층에 효과적인, 즉각적인 효과가 뛰어난 집객 방법입니다.
다만, 전단지는 읽히지 않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질보다는 양을 추구하는 것이 성공하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송년회, 크리스마스, 설날 등 계절에 맞는 디자인을 준비해 던져 넣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디스플레이 간판이나 깃발 설치
메뉴가 적힌 칠판이나 사진 보드 등 '디스플레이 간판'이나 '깃발'은 도로를 걷는 사람들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다양한 타깃층에게 효과적이다.
단, 주의할 점은 음식점을 찾을 목적으로 지나가는 사람이 아니면 효과가 없다는 점이다. 또한, 음식점을 찾고 있는데도 눈에 잘 띄지 않는 디자인이나 점포의 장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면 집객의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 고객 대상 다이렉트 메일
다이렉트 메일은 오래전부터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아날로그적인 마케팅 방법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기존 고객 한 명 한 명에게 맞춤화된 내용의 메일을 보내면 충성도 향상과 재방문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이렉트 메일을 제작할 때, 대량으로 발송하는 것이 아니라면 손글씨로 작성하거나 손글씨 느낌의 글꼴로 디자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손글씨에는 사람의 손길이 묻어나는 따뜻함이 느껴지기 때문에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음식 관련 잡지사에 '보도자료' 보내기
보도자료는 가게의 서비스나 상품 등의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것으로, 모든 타깃층에게 효과적인 집객 수단이다.
새로 오픈하는 경우, 매장 공식 홈페이지나 SNS로는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음식 관련 잡지 발행인에게 홍보를 진행합니다.
이미 오픈한 지 오래 된 매장이라면 어렵지만, 신규 오픈이나 리뉴얼과 같은 화제성이 있는 경우에는 소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신규 경영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아날로그적인 마케팅 방법뿐만 아니라 음식점 집객 전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음식점 집객 아이디어 8가지! 매출 상승을 위한 팁과 집객 툴을 소개합니다 '를 함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음식점 마케팅 성공 사례
'트레타'의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 성공 사례를 소개합니다.
SMS를 활용하여 비상사태 선언에 따른 테이크아웃으로 예상 이상의 매출 달성|야키니쿠 고깃집 고기의 다이센
미츠노 오오야마는 긴급사태 선언에 따라 2020년 4월~5월 말경까지 매장 영업을 휴업하고, 그 기간 동안 도시락과 '집에서 오오야마'라는 이름의 고기 세트 등의 테이크아웃을 시작했다.
이때 '테이크아웃 정보를 누구에게 전달하면 기뻐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끝에 핵심 팬들을 대상으로 '트레타'의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로 공지사항을 보내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과제
・SMS를 보내는 데에도 비용이 들기 때문에 반응을 기대할 수 있는 고객을 선별할 필요가 있었다
・알림 SMS를 성가시게 받아들이지 않도록 해야 했다
대책
・'Treta'의 고객 정보 중에서 방문 횟수, 거주 지역, 성별 등의 정보를 검토하여 인근 단골 고객을 중심으로 SMS를 발송했다.
SMS를 보내기 전에 “좋은 정보가 있으면 알려드려도 될까요?”라고 미리 허락을 구했다
・SMS 내용은 간단한 문장으로 간결하게 용건만 기재하고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했다
결과
・2일 동안 150건의 SMS를 보냈더니 48건, 약 30%의 고객이 테이크아웃을 선택했다 .
- 이후에도 테이크아웃은 순조롭게 진행되어 매장을 오픈한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상승
URL:https://toreta.in/case/2020-11-30/2509/
'트레타 스탬프' 활용으로 고객층 확대 목표 달성|시라카와 정심 본점
나고야 명물 '히츠마부시'를 주력 상품으로 하는 시라카와씨. 이전부터 인쇄식 포인트 카드 시책을 시행하고 있었지만 문제점도 있었고, 고객층을 넓힌다는 목표도 있었는데, '트레타 스탬프'가 그 해결책으로 잘 작동했다고 한다.
과제
・고객에 대한 안내가 거의 우편 DM으로 이루어져 고객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포인트 카드 제작에 드는 비용 부담이 큼
대책
・'토레타스탬프'의 기능을 활용하여 LINE 공식 계정에서 고객 대상 정보 전달
・종이 포인트 카드에서 '토레타스탬프'로 전환 전환
결과
・1개월 만에 1만 명 이상이 등록
・「토레타 스탬프」에서 추첨 시책을 도입한 결과, 방문 수 대비 스탬프 비율이 5%에서 25% 정도로 향상
・포인트 카드를 디지털화하여 포인트 카드 제작 비용이 들지 않게 됨
URL: https ://toreta.in/case/2022-07-26/2653/
단골손님이 만족하는 서비스를 준비하여 단골손님으로 붐비는 가게로|텐단 아카사카점
개인실을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맨들의 휴식처인 텐단(아카사카점). 입구에 물이 흐르고 있는 등, 접대하는 손님이 만족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한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개인실은 총 14석이며, 안쪽의 연회장도 연회가 없을 때는 칸막이를 만들어 반 개인실처럼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과제
・단골 고객 만들기 시책으로 두 번째 방문 시 다음 방문을 유도하는 시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고객의 방문 횟수를 파악하기 어려워 고객 관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대책
「트레타」로 고객 관리를 실시하여 고객의 방문 횟수, 특징 등을 전 직원이 태블릿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
결과
・고객의 방문 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 . 고객의 방문 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주 3회 정도만 근무하는 아르바이트 직원도 단골 고객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고객 정보를 통해 고객의 주문 내역과 취향을 확인하고 대화를 나누면서 가게와 고객의 관계가 자연스럽게 돈독해져 재 방문으로 이어졌다
URL:URL:https ://toreta.in/case/2015-09-01/2404/
디지털 도구 도입에는 보조금-지원금 활용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디지털 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외식업 경영자들의 속마음은 '그런 툴을 도입할 수 있는 비용이 없다'는 것이 아닐까? '비용 절감'이라는 과제는 외식업계의 과제에서도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활용을 고려하고 싶은 것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급여-보조금 제도입니다. 정부에서는 음식점이 각종 툴을 도입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지속화 보조금', '사업재구조화 보조금', 'IT 도입 보조금'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리|음식점은 마케팅으로 집객력을 높인다.
지금까지 음식점 마케팅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시 한 번 본 기사의 결론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음식점에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
- 신규 고객 확보와 재방문율을 높이고 매출 증대를 위해
- 매출 향상을 위해 '가게'와 '고객'의 특징을 깊이 이해하고, 고객이 원하는 음식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초에 마케팅이란?
- 고객이 '고객이 찾아오는(팔리는) 구조의 구축'에 관한 활동 전반을 마케팅이라고 한다.
- 기존 음식점은 신규 고객 유치와 단골 고객 만들기에 관한 시책을 마케팅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신규 고객 유치 못지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단골과 팬을 만드는 것이 마케팅에 있어 중요함
음식점이 해야 할 마케팅이란
- 가게의 상태를 파악한다
- 고객을 파악한다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을 세우다
음식점 마케팅 방법 5가지
- 홈페이지
- MEO
- SNS
- 동영상 배포
- 맛집 사이트
음식점 마케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외식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키니쿠집 경영은 어렵다? 개업에 필요한 지식과 비용, 실패를 방지하는 요령을 설명 (0) | 2025.04.07 |
---|---|
활기찬 정육점 만들기 -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매장 운영을 목표로 (0) | 2025.04.05 |
시가 정육점 매출 2배 증가! 롱테일 SEO로 실현하는 지역 밀착형 집객 전략! (0) | 2025.04.05 |
정육점의 매출을 2배로 늘리다! 교토의 정육점에 특화된 콘텐츠 마케팅 실천 가이드 (0) | 2025.04.05 |
정육점의 마케팅 전략은? 슈퍼마켓과의 차별화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