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돼지 사육 이야기
史海寻踪——古代养猪趣谈
돼지는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동물로, 육축의 첫 번째로 꼽히며, 십이지신 중 마지막을 차지해 중국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역대 전해 내려온 돼지에 관한 문헌과 서적은 매우 방대하며, 《범승지서》, 《제민요술》, 《삼농기》, 《본초강목》 등에는 돼지와 신화 전설, 언어 문자, 민속 풍습, 식문화와의 관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명원 십이지신 돼지 머리 동상
(이미지 출처: 웨이보 《원명원 해연당 십이지신 동상 머리 그림》)
가축화된 돼지는 야생 돼지에서 사육화된 것으로, 현재 알려진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가축화된 돼지는 약 7,000년 전 허난성 무양현 자호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당시 중원 지역에서는 이미 대규모 돼지 사육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나라와 주나라 시대의 돼지 사육 기술의 혁신은 돼지의 거세 수술이었습니다. 《역경》에는 “거세한 돼지의 이빨은 길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거세한 돼지가 성질이 순해져 날카로운 이빨이 있어도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예기》에는 “돼지는 강하고 털이 거칠며, 돼지 새끼는 살이 찌고 엉덩이가 둥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거세되지 않은 돼지는 피부가 두껍고 털이 거칠며 “돼지”라고 불렸고, 거세한 돼지는 살이 찌고 엉덩이가 둥글게 자라 “돼지 새끼”라고 불렸습니다. 거세술은 돼지 사육 역사상 중요한 사건으로, 고대인들이 돼지의 고환 기능과 생리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 것을 보여줍니다. 이후 거세 기술은 고대 민間に 널리 퍼져 농민들로부터 큰 환영을 받았다.
원시 양돈업은 현대와 달리 방목이 주를 이뤘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진한 시대에 “목시인”이라는 방목꾼이 있었다. 고대에는 곡물이 부족했지만 황무지가 많아 잡식동물인 돼지를 방목하기에 적합했다. 또한 고대 돼지 사육은 모두 거세를 하지 않았으며, 거세하지 않은 돼지는 맛이 강해 주로 하층민들이 자주 섭취했습니다. 송대 소동파는 돼지고기 조리법을 개선해 양념을 넣고 오래 끓여 '동파육'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습니다.
고대 돼지 사육은 농업 생산과 함께 발전했으며, 단순히 고기 섭취를 위해만이 아니라 비료 생산을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한대 사람들은 비료와 토양의 관계에 대해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한대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 돼지 우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사육장과 방목장을 결합한 사육 방식이 이미 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료 생산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돼지 우리를 설계했습니다: 독립형 돼지 우리, 화장실과 연결된 연모 우리, 작업장과 연결된 돼지 우리 등입니다. 한대에는 돼지 품종 선발 분야에서도 상당한 발전을 이뤘습니다. 방이치(方以智)가 지은 《물리소식(物理小識)》에는 “목이 짧고 부드러운 털이 없는 것이 좋고, 한쪽에 세 개의 이가 있는 것은 버려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당시 이미 돼지의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돼지 품종 품질 향상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河南省 무양현 가호 유적지에서 출토된 돼지 머리뼈
(사진 출처: 신랑 블로그 - 《고고학 중국》 전시회 중 '구시 편')
발굴된 고대 돼지우리 토기 모형
(사진 출처: 안유 돼지 문화 박물관 웹사이트)
위, 진, 남북조 이후로 일반 백성들의 돼지 사육 경험이 점차 쌓여갔으며, 이를 문자로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북위 시대의 《제민요술》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우리(돼지 우리)는 작아도 상관없다. 우리를 작게 만들면 돼지가 빨리 살찐다. 우리를 더러운 곳에 두어도 상관없다. 더러운 흙은 더위를 피할 수 있다. 봄과 여름에는 풀이 자라면 그때마다 방목시키고, 8~9월에는 방목만 시키고 먹이를 주지 않는다. 모든 쭉정이와 껍질은 겨울과 봄 초에 돼지에게 먹이로 준다.” 이 기록은 당시 사람들이 방목과 사육의 결합, 계절에 따라 다른 사육 방식의 적용, 방목을 통해 사료 절약 등 중요한 개념을 이미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隋와 唐 이후 생산력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양돈은 농민들이 수익을 늘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조야찬재》에는 “당나라 홍주에 돼지를 키워 부자가 된 사람이 있어 돼지를 ‘우금’이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고대 양돈 전문 가구를 의미합니다. 또한 《신당서·루기전》에 따르면 당시 관영 양돈장의 돼지 수는 수천 마리에 달했으며, 이는 당대 중국의 양돈 산업 규모를 보여줍니다.
송대에는 경제 발전으로 인해 사육 방법과 돼지고기의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습니다. 소동파가 민간을 여행하며各地의 돼지고기를 맛보았는데, “불을 강하게 태우고 물을 적게 넣고, 불이 충분히 익으면 자연히 맛이 난다. 매일 아침 한 그릇씩 먹으면 배부르니 남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동파 고기의 가장 실제적인 표현입니다. 《동경몽화록》에는 북송 말기 수도開封에서 매일 남훈문으로 돼지를 몰아넣는 상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민간에서 도축한 돼지는 반드시 이곳을 통해 경으로 들어가야 하며, 매일 저녁에는 한 무리당 만 마리씩이었다.” 이는 당시 도시 발전이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를 얼마나 높였는지, 그리고 송대 양돈업의 발전 상황을 보여줍니다.
원대는 남북 분열을 종식시키고 “농사와 양잠을 급선무로 삼았다”고 강조했으며, 이에 따라 양돈업도 크게 발전했습니다. 왕정의 《농서》는 양돈 기술 측면에서 귀중한 경험을 창안했으며, 책에는 “강남의 수지 지역은 호수가 많아, 부레풀과 물가 식물을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되었습니다. 성장 속도가 빠른 수초를 돼지 사료로 활용해 사료 원천을 확대했습니다. 《마코 폴로 여행기》에는 중국 저장성 구저우의 농축 산업 상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양이 없지만, 수소, 암소, 물소, 산양이 많으며, 돼지의 수는 특히 많습니다.” 이는 원대 농경 지역에서 돼지 사육을 중시했으며, 번영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명대에는 중국의 돼지 사육 산업이 한 번의 대재앙을 겪었으며, 이는 돼지 사육 역사상 유일한 참사였습니다. 명대 황제의 성이 주(朱)로 돼지와 발음이 같았기 때문에, 정덕 14년에 돼지 사육을 금지하는 칙령이 내려졌고, 위반자는 군에 보내졌습니다. 다음 날, 멀리 가까운 곳에서 돼지를 모두 죽이고 싼 가격에 팔았으며, 어린 돼지는 묻어버렸습니다. 이로 인해 한때 큰 혼란이 일어났습니다. 《만안현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정덕 중, 전국적으로 돼지 사육을 금지했으며, 한때 묻어버린 돼지가 모두 사라졌습니다. 진씨(陳氏)는 땅을 파서 돼지를 기르며, 그 종자를 전승했습니다.” 어떤 어려움도 노동 인민의 돼지 사육 전통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진씨가 땅을 파서 돼지를 기른 사례는 노동 인민이 돼지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 지배자와 투쟁한 사례로, 이로써 돼지 사육 산업이 계승되고 발전되었습니다. 《본초강목·수부·시》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돼지는 천하에서 기르지만 각각 다르다: 생청, 충, 서, 회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귀가 크고; 생연, 기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피부가 두껍고; 생량, 용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발이 짧고; 생료동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머리가 하얗고; 생허주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입이 짧고; 생강남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귀가 작아 강돼지라고 하며; 생령남 지역에서 태어난 것은 하얗고 매우 살찐다.” 중국의 각 지역별 풍부한 돼지 품종 자원과 특성을 생생하게 묘사했습니다.
청대 아편 전쟁 이전에는 양돈업이 비교적 발달했습니다. 전국 각 지방의 지서에는 돼지를 '물산'으로 기록했으며, 일부 특산 명품 돼지 품종에 대한 기록은 더욱 상세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18세기 중국 돼지가 영국으로 도입되어 현지 요크셔와 버크셔 토종 돼지와 교배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요크셔와 버크셔 돼지가 육성되었으며, 이후 미국으로 도입되어 현지 돼지와 교배되어 보중 돼지와 체스터 화이트 돼지가 육성되었다. 아편 전쟁부터 해방 직전까지, 중국의 돼지 사육 산업은 지속적으로 쇠퇴했습니다. 전쟁, 자연 재해, 질병의 유행으로 인해 돼지 사육 산업은 심각한 타격을 입어 쇠퇴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고대 노동자들의 지혜와 근면함 덕분에 현대 돼지 사육 산업이 번영할 수 있었습니다. 물을 마시며 우물을 파는 사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고대 돼지 사육 지식을 더 많이 배우면, 일상적인 연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으며, 돼지로부터 더 큰 가치를 발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속돼지사육 #양돈문화 #고대축산 #돼지거세술 #동파육 #종돈개량 #전통농업 #중국역사 #축산사 #농업사많은 해시태그
史海寻踪——古代养猪趣谈----亚热带农业生态研究所
猪是大家及其熟悉的动物,为六畜之首,十二生肖属相中作为压阵排在最后,可见猪在中国传统文化中的重要地位。历代留传下来的有关猪的文献典籍浩如烟海,如《泛胜之书》、《齐民要
www.isa.cas.cn
'축산과 식육산업의 역사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천 년 동안 중국인과 함께 해온 돼지는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0) | 2025.04.27 |
---|---|
중국 축산업사 (0) | 2025.04.27 |
육류 소비의 미래는 무엇일까? (0) | 2025.04.19 |
영국 육류시장 스미스필드의 역사 (3) | 2025.04.15 |
영국 육류시장 스미스필드의 역사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