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생산 시스템의 대규모 구조 개혁: 과학과 국토를 최대한 활용한 혁신
연구 대표자: 후藤 타카후미 (가고시마대학교)
1. 연구 배경과 목표
현대 축산업은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수입 사료 의존 → 국제 시세 변동으로 경영 불안정
- 가축 분뇨 처리 불능 → 환경 부담
- BSE 등 식품 안전 문제
- 마블링 위주 시장 → 경직된 소비 구조
- 집약적 사육 → 동물복지 이슈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사 프로그래밍(Metabolic Programming)”**이라는 새로운 생물학적 개념을 적용하여,
- 송아지 시기부터 대사를 제어,
- 국내 자원 기반의 방목 사육 시스템을 개발하며,
- ICT 기술과 윤리적(에시컬) 소비 시장을 연계해
지속가능한 쇠고기 생산 체계의 혁신을 목표로 한다.
2. 주요 연구 성과 및 사회적/학술적 영향
(1) 대사 프로그래밍 연구
- 송아지 초기 대사를 제어하여 풀사육(초식)만으로도 고급육 생산 가능함을 입증
- 흑모화우(와규)의 유전자 발현, 메타볼로믹스, DNA 메틸화 분석 수행
- 지방교잡 15~20% 수준의 적절한 마블링 구현
- 불포화지방산 증가 → 건강한 고기 생산
(2) ICT 방목 사육 시스템 구축
- 귀표 이미지 분석 기반 개체 인식 시스템 개발
- 원격 자동 급이기, 체온 센서로 발정 감지 시스템 구축
- 드론을 이용한 방목지 상태 및 소 위치 추적도 실험
(3) 에시컬(윤리적) 소비자 마켓 구축
- WEB 설문조사 결과:
→ 사육 정보 제공 시 소비자는 수입육 구매를 꺼리고 국산육 선호 - 고소득층일수록 “사육 방식+품질” 정보를 중시
(4) 사회·산업적 파급력
- 대사 프로그래밍을 축산에 적용한 최초 사례 중 하나
- “방목 + ICT + 윤리 소비”의 새로운 축산 모델 제안
- 일본 농업의 6차 산업화(생산+가공+판매)로 확대 가능성
3. 구체적 실증 결과
- 풀로 사육한 흑모와규도 30개월령 시점에 고품질 고기 생산 가능
- DNA 메틸화 분석, 8759개의 유전자 발현 변화 확인
- 14개월 이후 대사 조절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남
4. 미래 전망
- 국내 미활용 산림·유휴지·도서 지역 자원 활용 확대
- 방목+ICT 시스템 상용화, 드론+AI 연계 기술 개발
- 일본이 현재 수입하는 **호주·뉴질랜드산 목초육 시장(3000억 엔 규모)**을
→ 일본산 방목육으로 대체하는 전략 추진 - 직접 판매(Direct marketing) + 소 개체 정보 추적 기반 소비자 맞춤형 고기 유통 체계 구축
5. 종합 결론
“곡물 기반 집약적 비육”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일본은 이제 풀과 기술로 고기의 미래를 만든다.
지방 농촌, 방목 가능한 산지, ICT 기술이 결합될 때
소고기 생산은 국토 활용 + 식량 안보 + 지역 비즈니스 혁신으로 발전할 수 있다.
쇠고기 생산 시스템의 대구조 개혁: 과학과 국토를 최대한 활용한 대혁신
牛肉生産システムの大構造改革:科学と国土をフル活用した大革新
연구대표자:
고토 다카후미(後藤 貴文) 가고시마대학(鹿児島大学)
공동연구자:
Stephen Smith 텍사스 A&M대학(Texas A&M University)
우상건(虞 尚建) 도호쿠대학대학원 농학연구과(東北大学大学院農学研究科)
Michael Pfaffl 뮌헨공과대학(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다카하시 히데유키(高橋 秀之) 큐슈대학대학원 농학연구원(九州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
야베 미쓰히로(矢部 光保) 큐슈대학대학원 농학연구원(九州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
오카야스 다카시(岡安 崇史) 큐슈대학대학원 농학연구원(九州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
초식동물의 물질순환 기능과 첨단기술을 고도로 활용한
일본 독자적인 환경보전적이고 지속가능한 생산 시스템 구축:
🟥 일본형 푸드체인 시스템 구축
🟢 Biology 생물과 환경
풀을 먹이로 하는 소를 키우기 위한 새로운 사육기술: 소의 체질 제어,
대사 프로그래밍
📌 가고시마대학, 농림수산성
📌 텍사스 A&M대학
📌 도호쿠대학, 도쿄대학
📌 뮌헨공과대학
📌 생명과학 컨소시엄
📌 연구소, 웨스트버지니아대학
📌 도쿄의과대학
🟩 국내의 조사료와 곡물사료
🟩 국내 초원자원의 전면 활용: 초원 이용, 경작포기지 활용
(행정기관과의 연계: 가고시마현, 후쿠오카현, 가고시마시, 오이타현)
🟦 New technology
IT 기술을 활용한 고도 방목 관리 시스템
🟩 방목 관리
🔁 자연 - 배설물(비료) - 반환 또는 재활용
자연 순환형으로 환원 재활용
🟥 New Market (Web business)
🟦 쇠고기 생산 GQ Beef
🟩 안전성과 품질 관리
🟩 새로운 육질 평가와 시장 창출
📌 큐슈대학, 덴츠, 트루바
📌 DMG, 코데, 덴츠
📌 소와 코퍼레이트
📌 하루나비, 하시니쿠쇼텐 등
📝 그림 하단 캡션: 그림 1. 4가지 항목에 의한 프로젝트 개요
제목:
“초식동물의 물질 순환 기능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일본형 지속가능 쇠고기 생산 시스템 구축”
중심 주제:
환경 보전형・자원 순환형・윤리적 축산을 위한 “일본형 쇠고기 식품체인(フードチェーン)” 시스템 구축
🔍 4대 구성요소 분석
1. 🧬 Biology & 생물학 기반 기술
- 목표: 풀사육에 적합한 '체질'을 가진 소 만들기
- 핵심 기술: 대사 프로그래밍 (代謝プログラミング)
→ 송아지 시기에 생리적 체질을 조절하여 건강하면서도 고급육이 가능한 소 생산 - 참여기관: 가고시마대, Texas A&M, 東北대, 東京대, Munich공대, 의과대 등
핵심 포인트: '마블링'을 넘어서 지속가능한 생체조절형 고기 생산
2. 🌱 국내 사료자원 활용 (Nature & 방목)
- 내용:
- 국내 자원 기반 조달 (조사료 + 방치된 경작지 활용)
- 초지 방목 기반
- 가축 배설물의 퇴비화 및 자연 순환형 사육 시스템 구축
- 키워드:
- “국산 사료 자립도 향상”
- “배설물 → 퇴비 → 토양으로 환원 (Return & Recycle)”
핵심 포인트: 사료 수입에 의존하지 않는 지속가능한 내순환 시스템
3. 🛰 New Technology (ICT 기반 스마트 방목)
- 핵심 기술:
- 위성 & 드론 기반 소 개체 위치 관리
- 체온·행동감지 센서 → 건강 모니터링
- 모바일 앱으로 방목 상황 실시간 확인
- 협력:
- JAXA(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정보처리연구소, 큐슈대학 등
핵심 포인트: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목을 위한 첨단화 (고령화된 농가 대응)
4. 🛍 New Market & 소비자 연결
- 고기 브랜드화: GQ Beef
- 품질 기준 & 안전 기준에 부합
- '마블링' 위주에서 벗어나 지방 조성 + 향기 성분 중심 평가
- Web 기반 직거래 마켓 구축
- 생산자 → 소비자 직접 연결
- 이력 추적 시스템 + 소비자 맞춤형 정보 제공
핵심 포인트: 윤리적 소비, 에시컬 소비자층 공략을 위한 고급 브랜드화
1. 연구의 배경과 달성 목표
현재 축산업은 사료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급등하는 수입 사료 시세에 휘둘리는 경영난, 순환되지 않는 과잉 약처리 문제, BSE 등 식품 안전 문제, 지방 과다 쇠고기 지향으로 경직된 시장 문제, 더욱이 집약적 사육에 따른 동물 복지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새로운 생물과학 개념인 '대사 프로그래밍' 연구를 시즈로 소의 몸의 대사를 조기에 제어하고, 그 사료에는 일본의 풍부한 식물 자원을 활용하는 방목이나 국내 자원을 통한 사료 개발로 고도 개발하고, 그 사육 관리를 위해 첨단 ICT를 구사한다.
또한 판매에는 윤리적(倫理的)인 다이렉트 마켓을 구축하여 젊은 농업인이 미래에 희망을 갖고 산업으로서 세계와 싸울 수 있도록 축산업을 구조개혁하고 대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그림 1).
2.주요 연구성과와 사회, 학술에 미친 영향
(1) 대사 프로그래밍 연구: 새로운 생물과학 개념인 '대사 프로그래밍' 연구를 시즈로 소의 대사를 조기에 제어하고, 사료에는 일본의 풍부한 식물자원을 방목으로 고도 활용하여 산육량 증대와 육질 향상을 목표로 했다. 흑모와종에 대한 '대사 프로그래밍'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진행하여 그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혀내고 일본의 식물자원을 이용한 쇠고기 생산, 이른바 단백질 생산의 최적 메커니즘의 일부를 구축했다. 유전자 발현 분석,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대사체 분석, DNA 메틸화 분석을 진행하여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혀냈다.
(2) 첨단 ICT를 이용한 사육관리 시스템 구축: 배설물/폐약 등을 활용한 방목 사육에 적합한 첨단 ICT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사육관리에는 첨단 ICT 방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ICT 방목 관리 시스템: 방목 비육우의 송아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귀표의 영상 분석을 통한 개체 인식을 기반으로 한 원격 개체 급이 시스템의 구조를 구축했다. 임플란트 체온 센서를 통한 소 발정 감시 시스템의 구조를 구축했다.
(3) 윤리적 시장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국내 식물 자원에서 생산되는 목초 소고기의 마케팅 구축과 관련하여 윤리적(윤리적인) 직접 시장 구축에 기여했다. 소고기 소비와 관련하여 웹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산지 정보의 유무가 소고기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해외산 소고기 구매를 억제하고 국산산 소고기 구매를 증가시키는 경향 등이 나타났다.
(4) 사회, 학술에 대한 영향
소 사육에 있어서의 대사 프로그래밍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건강 의학 등에서 비만이나 체질에 기인하는 질병 예방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개념을 식품 생산에 적용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이 연구 영역을 개척했다. 일본 각지에 남아있는 와규 자원의 특징을 후성유전학을 기반으로 한 대사 프로그래밍으로 수입 사료가 아닌 목초 등 식물 자원을 통한 비육으로도 발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일본의 식물 자원을 활용한 순환형 생산 시스템에 의한 세계적으로도 시사적이고 의미 있는 축산 시스템을 일본에서 세계로 전파했다.
생산 패키지로 많은 민간 기업과도 연계하여 첨단 ICT 기술에 의한 방목 비육 청어의 관리, 나아가 그 판매에 있어서는 다이렉트 마켓 기술을 이용한 윤리적(도덕적) 마켓 구축을 실시하여 경작 포기지와 산림을 이용한 방목 사육의 경비 절감에 대한 기술을 선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생산된 소고기는 소고기 자체로서 생산에 대한 윤리적 의미를 포함하여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최근 붉은 소고기 붐의 트렌드도 있어 향후 본 연구 성과가 사회적으로 더욱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3.연구 성과
(1) 대사 프로그래밍 연구: 신생아기의 대사 프로그래밍 처리에 의해 초식 위주로 비육해도 30개월령의 육질이 크게 변화하는 것이 밝혀졌다. 신생아기의 대사 프로그래밍이 흑모와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석, 대사체 분석, DNA 메틸화 분석을 통해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다. 대사 프로그래밍을 실시한 소의 3, 10, 14, 20 및 30개월령에 채취한 흉최장근의 바이오프시 샘플 및 도축 시 채취한 샘플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8759개의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에 관한 유전자군이 발견되었다. 쇠고기의 적당한 지방 교잡(15-20%)은 고기의 육즙과 풍미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 동물로 생산함으로써 지방산 구성도 건강에 기여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발표자들은 이번에는 골격근 내 지방 형성에 주목했다. 처리 직후 10개월령에 대사 프로그래밍은 지방 형성과 관련된 많은 대사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히트맵 분석에서는 대사 프로그래밍 처리 후 유사한 비육 사육에서도 대사 프로그래밍 처리의 영향이 시사되는 동적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보여 14개월령 이후 초식화로의 대사 프로그래밍의 효과로 소의 신진대사 반응, 예측 및 조절 효과가 인정되었다. 후보 유전자에 대해서는 심포지엄에서 소개한다. 근육과 간 샘플을 이용한 대사체 분석 및 DNA 메틸화 분석에 대해서는 심포지엄에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2016년 8월 후쿠오카시에서 아시아 태평양 축산학회가 개최되어 학회 공식 심포지엄으로 '아시아의 미래 쇠고기 생산'을 주최하고 세계 7개국에서 첨단 연구자를 초청하여 의견을 교환했다. 200명에 가까운 참가자가 있었다.
(2) 첨단 ICT를 활용한 휴경지 등의 방목 비육 실증 시험: 방목 사육으로 많은 관리 작업이 절약되지만, 농가가 분만과 발정을 알 수 있고, 방목 사육에서도 발정에 따라 보조 사료 급여를 조절하는 관리에 대해서는 ICT 기술의 활용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원격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T를 활용하여 국토의 완전한 활용을 목표로, 연중 방목에 따른 방목용 소의 개체 식별 기능이 있는 보조 사료 급여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방목 비육용 소의 송아지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개체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 귀표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개체 인식을 기반으로 구축하고 클라우드에 연계한 원격 개체 급이 시스템의 구조를 구축하였다.
농가의 노동력 절감을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앱을 한 번만 클릭하면 소를 불러오는 것부터 먹이 주기까지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도록 시스템의 완전 자동화를 도모했다(그림 2).
방목 사육으로 많은 관리 작업이 노동력 절감되지만, 농가가 분만과 발정을 알거나 발육에 따라 보조 사료 급여를 조절하는 등의 관리에 대해서는 AI나 ICT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제공 및 원격 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소의 분만 및 발정 시 체온이 변화하지만, 그 변화는 1°C 이하로 방목 사육과 같은 야외 환경에서 감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T 기업과 협력하여 체온 센서 및 통신 시스템의 시제품 장비를 통한 데이터 취득 및 평가, 그리고 획득한 데이터와 발정, 분만 등과 관련된 행동과의 관계를 평가했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체온 센서를 이용한 소 발정 감시 시스템의 구조를 구축했다(이러한 연구는 일부 아래의 연구와 함께 실시되었다. 농림수산성 혁신 기술 개발 사업·긴급 농업 개척 사업, 그중 인공지능 미래 농업 창조 프로젝트, 과제명: AI×ICT를 활용한 연중 무휴 부모와 자식 방목을 통한 수익성 높은 송아지 생산 기술 개발).
연구 중 드론을 이용한 방목 비육우 감시 및 방목지 관리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경작포기지, 한계촌락, 미이용 산림 및 낙도 등의 식물자원을 방목 활용하기 위한 관리를 노동력 절감 및 효율화하는 ICT 시스템의 일단을 구축할 수 있었다.
図2. 個体識別遠隔自動給餌システムの概念図
▶ 개체 인식 원격 자동급이 시스템 개념도
🔍 구성 요소별 분석
① 방목지 (放牧地) 내 가축 3두 (소1, 소2, 소3)
- **귀표 또는 얼굴 인식 (画像認識)**으로 개체별 ID 부여
- 인식장치(カメラ付きステーション)를 통해 정확한 개체 확인 수행
② 급이소 스테이션 (スタンション給餌・採食装置)
- 인식된 소 개체에게 맞는 사료를 자동 분배
- “개체마다 다르게 사료 배급” → 맞춤 급이
➡ 기능: 개체 식별 → 사료 종류와 양 제어 → 자동 급이
③ 중앙 관리 시스템 모듈들
- 개체인식 모듈: 카메라/센서를 통해 소 ID 확인
- 영상촬영 제어 모듈: TP카메라로 행동 분석
- 급이제어 모듈: 정확한 급이 타이밍 조절
- 급이기 모듈: 물리적으로 사료 작동 및 투입 제어
④ Cloud 모듈 및 원격지 관리자 앱
- 모든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
→ 개체 행동 데이터 / 급이량 / 위치 정보 - 관리자(농가)는 스마트폰 앱으로
- 개체별 상태 모니터링
- 급이량 조절
- 체온/건강 이상 등 실시간 확인
🔄 전체 흐름 요약
- 소가 급이소에 접근하면 →
- 카메라/센서가 개체 인식 →
- 클라우드 서버에 ID 매칭 →
- 해당 개체의 사료 종류/양 결정 →
- 사료 투입 모듈이 자동 분배 →
- TP카메라가 섭취 상태 감시 →
- 모든 정보는 클라우드로 →
- 농가는 스마트폰 앱으로 실시간 관리
(3) 윤리적 시장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국내외에서 생산된 쇠고기에 대한 자세한 사육 환경 정보 제공이 소비자의 쇠고기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웹 조사를 통해 밝히는 것이었다.
그 결과 고소득자 계층에서는 안전·건강 지향으로 스테이크용으로 100g에 2000엔 이상의 가격에도 국산 방목 쇠고기나 대사 프로그래밍을 한 방목 비육우의 구매자가 일정 수 존재하고 있는 것이 명확히 확인되었다(그림 3).
또한, 이 경우보다 정확한 구매 행동 정보를 얻기 위해 일상적으로 국산 와규를 구매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연간 가구 소득 1000만 엔 이상층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소득계층에 따라 구매 행동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1000만 엔~1499만 엔층과 1500만 엔층으로 나누어 구매 행동을 비교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응답자와 설문조사 비응답자의 개인 속성이 다를 경우, 그 사실이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설문조사 응답 유무에 따라 그룹간 비교도 실시하여 보다 일반적인 소비자행동 분석을 하는 것도 목적으로 했다. 쇠고기 구매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는 WEB 조사로 실시했다. 조사대상자는 조사회사에 등록한 가구소득 1000만엔 이상으로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를 무작위로 표본추출했다.
먼저 모니터 5,000명에게 설문조사 요청 이메일을 발송했다. 응답 기간 중 응답자는 1,475명, 미응답자는 3,525명이었다.
그중에서 응답자에 대해서는 소의 사육 정보의 유무 × 2가지 소득계층(가구소득 1,500만엔 이상과 1,000만엔~1,499만엔)의 4구분, 각 구분에서 200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했다. 한편, 비응답자에 대해서는 2가지 소득계층에서 각각 400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했다.
총 1,600건의 샘플에 대해 응답자로부터 모니터 등록 정보와 설문조사 응답 정보를 얻었으며, 비응답자로부터는 모니터 등록 정보만 얻었다.
그 결과 쇠고기 소비에 관해 웹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육 정보의 유무가 쇠고기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해외산 쇠고기 구매를 자제하고 국내산 쇠고기 구매를 늘리는 경향이 나타났다.
⾁⽜⾁의 소비에 관하여 웹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사육 정보의 유무가 ⾁⽜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6가지 ⾁⽜⾁의 구매 순위로 평가되었다. ⾁⽜의 사육방법과 품질에 대한 정보제공은 3가지 종류의 국산 ⾁⽜에 대한 구매행동을 더욱 강화하고 외국산 ⾁⽜의 구매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약간이지만 보여주고 ⾁⽜ 선택의 순위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 다시 말해, 해외산 쇠고기의 구입을 자제하고 국산 쇠고기의 구입을 늘리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국산 쇠고기 3종목 중 유기가축 쇠고기, 국내외 사육법별로 국산 일본소, 국산 쇠고기, 국산 서양소 Beef, 국산 방목 쇠고기로 각각 나뉘어 증가한 부분, 각 쇠고기별로 특이적으로 높은 의욕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처럼 소득이 높은 소비자들이 국산 쇠고기에 대한 의식이 높기 때문에 우선 국산 쇠고기로 품질과 냄새, 그리고 생산 방식을 환경보전형 윤리적 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국내 식육 소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출생 전후에 비해 사료 프로그래밍을 한 흑모화우를 사가현 가시마시의 경작 포기지에서 ICT 방목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방목 비육하고, 그 비육우의 시식회를 도쿄도의 레스토랑에서 실시했다. 고쿠시마시 서쪽도 참가하여 성황리에 개최되어 호평을 받았다.
4. 향후 전개
앞으로 더욱 국내 식물자원, 즉 경작포기지, 한계촌락, 미이용 산림 및 낙도 등의 식물자원을 활용하여 노동력 절감, 저비용으로 쇠고기 생산을 향상시키는 소의 대사 프로그래밍 메커니즘 탐구와 그 실증 연구를 추구해 나갈 것이다.
ICT 방목관리 시스템은 IT 제조업체 및 기타 관련 기업과 연계하여 보다 최적화된 스마트 방목관리 시스템을 창조하고 축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며,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도 창출해 나갈 것이다.
또한 최근 일본이 호주와 뉴질랜드에 의존하고 있는 목초 쇠고기 3000억엔 이상의 시장을 국내산 목초 쇠고기로 조금이라도 대체하기 위한 계몽 활동과 웹과 연계한 다이렉트 마케팅을 구축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일본의 축산업을 발전시키는 동시에 국토의 완전한 활용을 기반으로 특히 단백질 생산성에서 사료 안보와 비즈니스 창출, 낙도 및 소에 대한 실효 지배를 하는 국토 안보 정책의 제안 등 일본의 지속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식물자원을 활용한 소의 대사 프로그래밍에 의한 비육 시스템은 아직 보고는 적지만, 현재의 쇠고기 생산은 곡물 사료의 다급식 시스템으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 지속적 지속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의 미이용지에서의 방목을 활용한 쇠고기 생산은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확신한다. 또한 ICT에 의한 방목 관리 시스템도 날마다 발전하는 네트워크 및 센서 기술을 버전업함으로써 비즈니스 혁신을 일으킬 것이다.
또한 지역 식물자원을 활용한 쇠고기 생산은 다이렉트 마켓에 대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일본 전역의 소비자를 상대로 한 지방 비즈니스 창출로 이어져 농업의 완전히 새로운 모습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5.발표 실적
(1) Ouanh, P., Takahashi, H., Ha, M.T., Shiotsuka, Y., Matsubara, A., Sugino, T., McMahon, C., Etoh, T., Fujino, R., Furuse, M. and Gotoh, T. * 일본 흑우의 혈장 및 초유 내 대사산물과 성장호르몬 축의 호르몬 농도에 대한 영양 상태의 영향. Animal Science Journal, 88, 4, 643-652 (2017)
(2) Albrecht, E., A., L. Schering, Y. Liu, K. Komolka, C. Kühn, K. Wimmers, T. Gotoh, and S. Maak. 소의 근육 내 지방 조직 발달과 세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Animal Science, 95, 2244-2254 (2017)
(3) Takahashi, H., A. Matsubara, A. Saito, O. Phomvisith, A. Shiga, H.T. Mai, T. Sugino, C.D. McMahon, T. Etoh, Y. Shiotsuka, R. Fujino, M. Furuse and T. Gotoh. 이유 전 우유 대체제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일본 흑우의 이유 후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치가 높아집니다.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Technology, 8:1, 409 (2017) (doi: 10.4172/2157-7579.1000409)
(4) Lu, J., L. Zhang, D. Zhang, S. Matsumoto, H. Hiroshima, R. Maeda, M. Sato, A. Toyoda, T. Gotoh, N. Ohkohchi. 축산 및 의료 기술 혁신을 위한 동물용 이식형 무선 센서 노드 개발. 센서 18, 979, http://dx.doi.org/10.3390/s18040979 (2018)
(5) 고토 T., 니시무라 T, 쿠치다 K, 만넨 H. 일본 와규 산업: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 - 리뷰, 아시아-오스트랄라시아 동물과학 저널, 31(7):933-950 (2018) (DOI: https://doi.org/10.5713/ajas.18.0333)
(6) Stephen BS, Gotoh T., Paul LG.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for global beef production: overview of special issue.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31(7): 927–932 (2018) (DOI: https://doi.org/10.5713/ajas.18.0405)
(7) 고토 다카후미: (초청 강연) 일본 후성유전학 연구회 제11회 연례 학술대회, 쇠고기 생산에 있어서 후성유전학의 응용과 그 가능성, 히토쓰바시 대학 히토쓰바시 강당, 2017년 5월 23일
(8) 고토 다카후미: (초청 강연) 일본 아미노산학회 제7회 여름 심포지엄, 대사 프로그래밍의 쇠고기 생산에 대한 적용의 잠재력, 하코네 유모토 온천 텐세이엔, 2017년 8월 18일
(9) 고토, T. (초청 강연) 대사 프로그래밍과 근육 내 지방 생성. 연례 성장 및 발달 심포지엄: 근육 내 지방 조직에 대한 새로운 관점 (미국 동물과학회)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2016년 7월 19-23일).
고토 다카모토: (초청 강연) 방목형 축산에 대한 활용: IT 기술을 활용한 고도 방목 관리 시스템. 공익사단법인 일본 축산학회 제125회 대회 공개 심포지엄 '스마트 축산: IoT, 인공지능, 로봇 기술의 활용'(2019년 3월 28일, 아즈미노 대학에서)
- 発表実績
(1) Ouanh, P., Takahashi, H., Ha, M.T., Shiotsuka, Y., Matsubara, A., Sugino, T., McMahon, C., Etoh, T., Fujino, R., Furuse, M. and Gotoh, T.* Effects of nutrient status on hormone concentration in the somatotropin axis and metabolites in the plasma and colostrum of Japanese Black cows. Animal Science Journal, 88, 4, 643–652 (2017)
(2) Albrecht, E., A., L. Schering, Y. Liu, K. Komolka, C. Kühn, K. Wimmers, T. Gotoh, and S. Maak. Factors influencing bovine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d cellularity. Journal of Animal Science, 95, 2244–2254 (2017)
(3) Takahashi, H., A. Matsubara, A. Saito, O. Phomvisith, A. Shiga, H.T. Mai, T. Sugino, C.D. McMahon, T. Etoh, Y. Shiotsuka, R. Fujino, M. Furuse and T. Gotoh. Higher Intake of milk-replacer pre-weaning enhances post-weaning insulin-like growth factor 1 levels in Japanese Black cattle.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Technology, 8:1, 409 (2017) (doi: 10.4172/2157-7579.1000409)
(4) Lu, J., L. Zhang, D. Zhang, S. Matsumoto, H. Hiroshima, R. Maeda, M. Sato, A. Toyoda, T. Gotoh, N. Ohkohchi. Development of Implantable Wireless Sensor Nodes for Animals Husbandry and MedTech Innovation. Sensors 18, 979, http://dx.doi.org/10.3390/s18040979 (2018)
(5) Gotoh T., Nishimura T, Kuchida K, Mannen H.. The Japanese Wagyu beef industry: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A review, Asian-Australasian Journal Animal Sciences, 31(7):933–950 (2018) (DOI: https://doi.org/10.5713/ajas.18.0333)
(6) Stephen BS, Gotoh T., Paul LG.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for global beef production: overview of special issue.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31(7): 927–932 (2018) (DOI: https://doi.org/10.5713/ajas.18.0405)
(7) 後藤貴文:(招待講演)日本エピジェネティクス研究会第11回年会、牛肉生産におけるエピジェネティクス応用とその可能性、一橋大学一橋講堂、平成29年5月23日
(8) 後藤貴文:(招待講演)日本アミノ酸学会 第7回夏のシンポジウム、代謝プログラミングの牛肉生産への応用のポテンシャル、箱根湯本温泉 天成園、平成29年8月18日
(9) Gotoh, T.(招待講演)Metabolic programming and intramuscular adipogenesis. Trennial Growth and Development Symposium: New Perspectives on Intramuscular Adipo Tissue (American Society of Animal Science) (Salt Lake City, USA, July 19–23, 2016).
後藤貴文:(招待講演)放牧型畜産への利活用:IT技術を活用した高度放牧管理システム。公益社団法人日本畜産学会第125回大会公開シンポジウム「スマート畜産:IoT・人工知能・およびロボット技術の利活用」(2019年3月28日、麻布大学にて)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질랜드산 소고기: 건강상의 이점, 품질 (0) | 2025.04.02 |
---|---|
뉴질랜드 소고기의 차이를 강조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 (0) | 2025.04.02 |
아카게와규를 알아보자 (0) | 2025.04.01 |
부문별 트렌드 분석 – 미국의 육류 트렌드 (0) | 2025.03.30 |
2월 9일은 고기의 날|소고기 vs 돼지고기 vs 닭고기 삼파전! 일본인이 좋아하는 고기는? 소비량 도도부현 랭킹도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