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지소는? 장점과 단점,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소개합니다.
地産地消とは?メリットやデメリット、具体的な取り組み事例をご紹介

뉴스나 신문에서 '지산지소'라는 말을 접할 기회가 있을 텐데, 구체적으로 어떤 일인지 모르는 분들도 많지 않을까요?
이번 기사에서는 '지산지소'가 무엇인지, 장점과 단점,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소개합니다.
끝까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지산지소는

지산지소'는 '지역생산'과 '지역소비'를 연결한 말입니다. 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지산지소'라고 합니다. 경제 활성화와 환경부하 경감, 전통적인 식문화의 계승 등을 목적으로 전국 각지에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산지소와 6차 산업과의 관계

지산지소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곳에서 듣게 되는 '6차 산업'.
사실 지산지소와 관련이 있는 활동입니다.
여기에서는 6차 산업에 대해, 그리고 지산지소와 6차 산업의 관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6차 산업이란
'6차 산업'은 1차 산업(농림수산산업), 2차 산업(가공업), 3차 산업(서비스업 등)을 일관되게 수행하는 활동입니다.
분담하던 것을 집약하여 지역산업의 활성화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양이 나빠서 그대로 출하할 수 없는 식재료를 가공하여 이벤트나 직판장에서 판매하는 것 등이 6차 산업에 해당합니다.
지산지소와 6차 산업
'지산지소'와 '6차 산업'은 생산에서 가공까지를 일관되게 생산자가 하는 점이 공통점입니다.
'6차 산업'이 진행되면 비수기에도 생산자가 이익을 창출할 수 있고, 완성된 상품을 현지에서 판매함으로써 '지산지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차 산업을 도입한 분들 중에는 비수기에 가공과 판매를 진행하여 수입이 증가했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앞으로 오랫동안 지속하기 위해서도 '지산지소'와 '6차 산업'에 대한 노력은 중요합니다.
지산지소의 이점

많은 지자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지산지소인데 구체적으로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여기에서는 지산지소의 장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신선한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
지산지소는 수확된 식재료를 현지에서 판매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신선도가 좋은 신선한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것이 매력입니다.
신선도가 좋은 식재료는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아 소비자에게 환영받습니다.
운송에 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식재료 운송에는 막대한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지산지소는 운송을 위한 에너지가 수입 식품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CO2 감축에 도움이 됩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됩니다.
지산지소를 도입하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가 가까워집니다.
거리가 가까워지면 생산자는 소비자의 목소리를 듣고 소비자에 맞춘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생산자의 동기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식품 폐기물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지산지소는 일본 전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 로스 감소에도 연결됩니다.
식품 로스는 본래 먹을 수 있는데 어떤 이유로 식품이 버려지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판매할 수 없는 흠집 난 식재료도 포함됩니다.
또한 지산지소는 식재료를 그대로 판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공품 생산도 합니다.
이때 흠집 난 과일과 채소를 사용하면 식품 로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지산지소의 단점

지산지소는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지산지소의 단점을 설명합니다.
상품 가격이 비싸다.
지산지소 식재료는 신선하고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량 생산이 어려워 수입품보다 가격이 비쌀 수 있습니다.
지역에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건비도 발생하여 가격이 더 치솟게 됩니다.
소비자는 상품의 질이 좋은 것을 원하지만, 가격 차이가 너무 크면 저렴한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가격 상승은 매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생산자에게 부담이 된다.
지산지소는 지역에서 생산부터 가공까지 하기 때문에 상품 판매와 홍보는 생산자가 해야 합니다.
판매와 홍보를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맡기는 방법도 있지만, 인건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확실히 이익이 날지 모르는 상태에서 외부에 위탁하는 것은 위험이 높고 생산자의 부담이 됩니다.
지산지소의 구체적인 실천 사례

지산지소는 현재 전국 각지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산지소의 구체적인 추진 사례를 소개합니다.
휴게소 및 직판장에서의 판매
직판장은 농가가 생산 및 가공한 상품을 가지고 와서 판매하는 곳입니다.
개인으로 운영하는 분도 있지만, 단체로 운영하는 분도 많습니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휴게소로 이용되는 휴게소에서도 현지 채소와 과일, 가공품을 취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식재료를 사러 휴게소를 찾는 사람들도 적지 않습니다.
휴게소나 직판장에서는 슈퍼에서는 볼 수 없는 희귀한 식재료나 그 지역 특유의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현지인뿐만 아니라 그 지역을 방문한 사람들도 지역의 특산품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지역 슈퍼에서의 판매
대기업 슈퍼는 재고 관리가 어려워 지역 식재료나 식품을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지역에 밀착된 슈퍼는 대기업 체인점보다 취급하는 상품이 적기 때문에 지산지소(地産地消)의 노력을 도입하기 쉽습니다.
지역에서 수확한 채소와 과일이 진열되어 있는 것은 다른 점포와의 차별화에도 도움이 되어 고객 유치에도 도움이 됩니다.
학교 급식이나 복지 시설에서의 식재료 이용
학교나 시설 내에서 식사를 만드는 경우 식재료를 소량으로 거래하기 위해 지역 식재료를 이용하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교외학습으로 생산자를 방문하는 학교도 많습니다.
복지시설에서는 농장과 연계하여 실제로 작물을 재배해 보거나 수확한 식재료를 직판장에서 판매하는 시설도 있습니다.
또한 가공 제품을 만들어 장애인들을 고용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지산지소

지산지소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힘을 합침으로써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우리 소비자가 할 수 있는 지산지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지역산 식재료를 구입한다.
평소 구입하는 식재료를 지역산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지산지소가 됩니다.
슈퍼마켓에서는 수입된 식재료를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중에는 지역산 식재료를 취급하는 슈퍼마켓도 있습니다.
매장에 따라서는 현지산 식재료에 생산자의 얼굴 사진을 올리거나, 현지 식재료 코너를 만드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근처 슈퍼마켓에서 현지 식재료를 구할 수 없는 분은 직판장으로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직판장은 현지 농민들이 직접 도매에 오기 때문에 신선하고 몸에 좋은 식재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지역 생산 지역 소비에 기여하고 싶은 분은 물론 가족의 건강이 걱정되는 분은 현지 식재료를 선택합시다.
현지 식재료를 사용한 레스토랑에 가기
외식을 할 때 현지산 식재료를 사용한 레스토랑을 선택하는 것도 지산지소(地産地消)가 됩니다.
그 땅에서만 얻을 수 있는 희귀한 식재료나 제철 식재료 등 살고 있어도 잘 알지 못하거나 평소 먹지 않는 식재료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지역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도 꼭 현지 식재료를 사용한 레스토랑에 가 보십시오.
직판장과 이벤트에서 생산자와 교류하기
직판장과 이벤트는 생산자가 직접 식재료를 가져오기 때문에 직접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식재료의 먹는 방법이나 제철 식재료 등 평소에는 물어볼 수 없는 것을 물어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에게도 의미 있는 시간이 됩니다.
정리
지산지소는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있지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입니다.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도 지산지소를 의식함으로써 살고 있는 지역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번 기사를 바탕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지산지소에 힘써 봅시다.
地産地消とは?メリットやデメリット、具体的な取り組み事例をご紹介 | ふるなび公式ブログ ふるさと納税DISCOVERY
'지산지소 (지방 소멸 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생산을 통한 지역 소비의 장점과 단점 (0) | 2025.01.29 |
---|---|
지역 소비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0) | 2025.01.29 |
지산지소는? 장점과 SDGs와의 관계에 대해 (0) | 2025.01.26 |
地産地消とは?(지산지소란?) (1) | 2025.01.26 |
가고시마 흑돼지 맛의 비밀 (1)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