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가져오는 비정상적인 식량 위기
気候変動がもたらす尋常でない食糧危機
봄에는 사과 가격이 치솟았지만 가을이 되면 배추 가격이 급등락한다. '금사과'와 '금배추'는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후로 인한 풍작 부진에 따른 것이다. 고온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히트플레이션'(열기+인플레이션)은 우리만의 현상이 아니다. 지구 온난화로 올 해 올리브와 코코아 생산량이 급감하여 가격이 치솟고, 각종 식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세계 각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생산량 감소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 등이 발간한 '2024년 세계 식량 위기를 둘러싼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2022년에는 12개국 5700만 명이, 지난해에는 18개국 7700만 명이 심각한 식량불안에 시달렸다.
식료품 가격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커지고 있지만, 온라인·오프라인 시장에서 음식을 쉽게 구할 수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에서 식량 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는 실감이 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조속히 대책을 세워 실행하지 않으면 멀지 않은 미래에 한국이 심각한 식량 위기 국가가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1970년 86.2%에서 2021년 44.4%로 떨어졌다. 이것마저도 쌀 덕분이다. 쌀을 제외하면 2021년 기준 식량 자급률은 11.4%에 불과하다. 2022년 한국의 식량 안보 지수는 세계 113개국 중 39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였다.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의 남재철 특임교수는 '여섯 번째 대량 멸종 신호, 식량 전쟁'이라는 책에서 앞으로도 우리가 원할 때 언제든지 외국에서 식량을 싸게 수입할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2050년까지 식량생산량이 최대 30% 감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식량가격은 50%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주요 국가들은 식량안보 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중국은 농지의 다른 용도 전환과 식품 로스를 방지하는 내용 등을 담은 '식량안보보장법' 시행에 들어갔다. 외신은 세계 최대의 농산물 수입국인 중국이 동법을 통해 해외 식량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자급자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도 최근 25년 만에 처음으로 식량안보 강화에 초점을 맞춘 방향으로 농업기본법을 개정했다. 일본 언론은 “국내 생산 확대를 기본으로 수입국의 다각화와 식량 비축으로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을 모색하려 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연간 수요량의 약 80%(1800만 톤)를 해외에 의존하는 세계 7위의 곡물 수입국이다. 국제 식량 가격 상승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식량 위기의 대한민국'의 저자인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은 “식량 위기는 더 이상 아프리카 등이 경험하는 다른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라 한국이 10년 안에 경험하게 될 문제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신품종 개발, 도시농업과 수직농법 확대, 남는 쌀을 활용한 가루쌀 개발 등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위한 대안을 만들고 실행해야 할 때이다.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모두의 노력도 절실하다. 지구가 계속 불타면 가까운 장래에 우리는 국내산 사과와 배추를 전혀 먹을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기후위기와 식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식량과 농업'을 강타하는 기후 위기 (1) | 2025.01.26 |
---|---|
앵글: 기후변화로 심각해지는 식량 위기, 대응이 시급한 영국 (1) | 2025.01.26 |
일본인은 온난화에 따른 식량 위기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0) | 2025.01.26 |
식량자급률이 낮은 일본에서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 구축을 생각한다 (0) | 2025.01.26 |
세계의 식량문제와 현황|기후변화가 미치는 노동성 저하에 대해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