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식량문제와 현황|기후변화가 미치는 노동성 저하에 대해
世界の食料問題と現状|気候変動が与える労働性低下について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식사'. 세계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식량 문제'가 과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분쟁이나 무력 충돌로 인한 피난,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 그리고 이로 인한 식량 가격 폭등 등 다양한 문제가 얽혀 식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세계 기아 인구는 한때 감소세를 보였으나 이러한 문제로 인해 다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지금도 그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대책을 세워야 하는 상황입니다.
현재 세계에는 어떤 문제가 있으며, 문제에 대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이 기사에서는 세계 식량 문제와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해 정리하고 있습니다.
1. 식량문제의 개요
식량문제와 그 개요 및 그 배경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식량문제에 대해
식량문제는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단순히 식량이 부족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그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얽혀 있습니다. 식량문제의 주요 측면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식량부족에 대해
- 영양 부족: 세계의 많은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사람들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기아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편중도 포함됩니다.
- 식량 분배 불균형: 세계에는 음식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그 분배가 불균형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과잉 식량이 있고 다른 지역에서는 극심한 부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식량 문제의 원인에 대해
- 기후 변화: 기후 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상 조건은 농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 경제적, 사회적 요인: 빈곤, 경제적 불평등, 교육의 부족, 인프라의 미비 등이 식량 접근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정치적, 분쟁 요인: 정치적 불안정이나 분쟁은 식량 공급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식량 문제로 인한 영향에 대해
- 건강 문제: 영양 부족은 성장 장애, 질병 위험 증가, 학습 능력 저하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 경제적 영향: 식량 부족은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의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식량 생산과 분배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비정부 조직, 민간 기업, 그리고 개별 시민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출처: 아시아경제연구소 '목표 2 기아를 제로로 - 현재와 미래 세대에 충분한 식량을 공급한다(시미즈 다쓰야)'(2022년 1월)
目標2 飢餓をゼロに――現在と将来の世代に十分な食料を供給する(清水 達也) - アジア経
今日、日本に住む多くの人々は、豊かな食生活を楽しむことができます。スーパーでは一年を通して、新鮮な肉や魚、野菜や果物を手頃な価格で買うことができます。外出中におなかが減れ
www.ide.go.jp
(2) 세계 기아의 현황
세계 기아의 현황은 심각하여 수억 명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2018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기아 인구는 8억 2천만 명 이상으로, 세계 총인구의 약 9명 중 1명이 기아에 직면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특히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두드러지며, 주요 원인은 경제적 불평등, 기후변화, 정치적·군사적 분쟁입니다.
이는 농업 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식량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와 NGO가 식량 원조를 실시하고 있지만 문제는 뿌리가 깊고, 지속 가능한 농업의 추진과 경제적 안정화, 교육의 향상이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중요합니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과 자원의 공유가 필요합니다.
출처: 아시아경제연구소 『목표 2 기아를 제로로 - 현재와 미래 세대에 충분한 식량을 공급한다(시미즈 다쓰야)』(2022년 1월)
출처: 세계 식량의 날 World Food Day 2019
2.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성 저하
기후변화가 식량 공급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기후변화란?
기후변화는 지구의 기후시스템에 장기적으로 일어나는 변화입니다. 여기에는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기상 패턴의 변화, 극단적인 기상 이변의 증가가 포함됩니다. 기후변화에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이 있습니다. 자연적 요인에는 대기의 내재적 변동, 해양의 변동, 화산 활동으로 인한 에어로졸의 증가, 태양 활동의 변화 등이 있습니다. 특히 바다는 대기와 열, 수증기를 교환하여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편, 인위적인 요인으로서는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 증가, 삼림 파괴 등이 있습니다. 이는 지표 온도의 상승과 물 순환, 지구 표면의 반사율 변화를 일으킵니다. 화석연료의 대량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인위적인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기상청 '기후 변화'
(2) 기후변화가 식량 공급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이상기후로 인해 세계적으로 식량에 대한 다양한 영향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평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곡물 수확량의 증감, 축산 및 양식업의 질병 발생, 어획량에 대한 영향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수확량 감소폭이 작아지거나 작물에 따라 수확량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저위도 지역에서는 수확량 감소폭이 커집니다. 옥수수 수확량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대부분의 기후 시나리오 하에서 감소하고, 더 극단적인 시나리오가 될수록 감소폭도 커집니다.
밀 수확량에 대한 영향은 전 지구적으로 보면 미미하지만 남아시아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두드러집니다. 빈발화가 예상되는 폭염으로 인한 열 스트레스는 질병에 대한 가축의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번식성, 산육량, 젖 생산량이 감소합니다. 기후 변화와 강수량 변화는 기생충과 질병의 발생 분포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일부 어종의 감소, 회유성 변화, 질병 위험의 증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대기 중 CO2 농도의 상승이 해양 산성화로 이어져 조개류, 오징어류, 맹그로브, 산호초와 관련된 어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적도 바로 아래의 열대 해역에서는 온도가 너무 높아져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러 나라가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공급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출처: 농림수산성 '4. 기후 변화가 식량 공급 등에 미치는 영향' P.58
(3) 기후변화로 인한 노동생산성 저하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는 특히 야외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노동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고온으로 인한 열 스트레스는 피로를 증가시키고 집중력이나 신체 능력을 저하시키며 열사병의 위험이 높아져 노동자의 결근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농업이나 건설업 등 야외에서 작업이 많은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경제학자에 따르면 기온 상승은 전반적인 경제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특히 열대 지방과 건조 지대에서 그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노동 생산성의 저하는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노동 환경 개선과 열사병 대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출처: 유엔대학 '기후 변화의 경제 분석에서 간과되는 생산성 손실'(2014년 11월 4일)
気候変動の経済分析において見逃される生産性損失 - 国連大学
2014年11月4日 2014年9月16日、「New Climate Economy(ニュー・クライメイト・エコノミー)」の報告書が発表され、注目を集めた。この報告書の主旨は、「環境に優しいエネルギー生産、輸送、およ
jp.unu.edu
3. 세계 식량문제에 대한 대처
세계 식량문제에 대해 국제기구와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업추진, 식량원조, 기술혁신, 정책개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대처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식량문제에 대한 대처
식량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의 한 예로 국제기구의 '기후 스마트 농업' 추진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대처는 기후변화에 강하고 환경친화적인 농업방법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후 스마트 농업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면서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접근 방식입니다. 이 노력은 농업 생산성 향상, 기후 변화 적응, 온실가스 배출 감소라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농업의 실천에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이 포함됩니다. 우선 지속 가능한 토지 관리와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으로 농지의 비옥도를 유지하면서 수확량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관개 시스템 개선과 빗물 수집 시스템 도입을 통해 수자원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후에 강한 작물 품종을 도입하여 가뭄과 고온 등 극단적인 기후 조건을 견딜 수 있는 농업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 외에도 농촌 공동체에 대한 교육과 기술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방법의 보급을 도모합니다.
스마트 농업의 실현은 지구 온난화 진행을 완화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는 데 중요합니다. 국제기구, 정부, NGO, 농업 공동체가 협력하여 스마트 농업의 이념과 실천을 확산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농업의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미래의 식량 위기에 대처하고 지역 공동체의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출처: 독립행정법인 농축산산업진흥기구 '스마트 농업 실현을 위한 노력의 현황과 향후 전망'
(2) 일본의 식량 지원 노력
일본의 식량 문제에 대한 노력은 주로 식량 자급률 향상, 식품 로스 감소, 그리고 지속 가능한 농업 추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아래에 이러한 주요 노력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식량 자급률 향상
- 국산 농산물 이용 촉진: 국산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여 국내 농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신기술 도입: 농업 분야에서 선진 기술 도입과 혁신적인 재배 방법 개발을 통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 식품 폐기물 감소
- '식품 폐기물 감소 추진법': 2019년에 시행된 이 법은 식품 폐기물 감소를 위한 국가와 기업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 소비자 계몽: 소비자에게 식품의 적절한 보관 방법과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차이에 대한 계몽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지속가능한 농업의 추진
- 환경을 배려한 농법: 유기농업과 저농약 재배의 촉진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지역별 특색 있는 농업: 지역 특유의 농산물을 활용한 지산지소(地産地消)의 추진과 지역별 특색 있는 농업의 진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4. 국제협력
- 해외 농업기술 지원: 일본은 해외 개발도상국에 농업기술 지원과 식량 원조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식량 안보 강화와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 구축을 위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제한된 자연자원과 높은 식량 의존도 속에서 이러한 과제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출처: 식품 로스 통계조사(가구조사, 외식산업조사): 농림수산성
4. 요약: 식량 문제의 현황과 향후 대처 방안에 대해 알아봅시다.
세계적인 식량 문제는 인구 증가, 기후 변화, 자원의 불평등한 분배로 인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25억 톤 이상의 식품 로스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8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기아로 고통받고 있는 현실이 있습니다. 기업으로서 이러한 과제에 대처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촉진, 식품 로스의 감소, 신기술의 도입, 지산지소를 통한 식량안보 향상에 기여합시다.
또한 국제협력을 포함한 광범위한 노력을 통해 세계적인 식량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사의 협력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큰 걸음이 될 것입니다. 친환경 제품 개발과 사업전략을 통해 이 글로벌 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합시다.
'기후위기와 식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식량과 농업'을 강타하는 기후 위기 (1) | 2025.01.26 |
---|---|
앵글: 기후변화로 심각해지는 식량 위기, 대응이 시급한 영국 (1) | 2025.01.26 |
일본인은 온난화에 따른 식량 위기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0) | 2025.01.26 |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비정상적인 식량 위기 (0) | 2025.01.26 |
식량자급률이 낮은 일본에서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 구축을 생각한다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