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물 수출은 미국 쇠고기 산업에 부가가치를 제공한다
Variety meat exports provide value to the U.S. beef industry
관세 부과는 쇠고기 부산물 제품에 대한 국제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인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수요가 크지 않지만, 쇠고기 부산물(오프알이라고도 불림)은 종종 해외 소비자들의 식탁에 오른다. 쇠고기 부산물에는 이 수프에 사용된 양(tripe)과 같은 제품이 포함된다.
최근 미국산 돼지고기 부산물 수출에 대한 기사 이후 “쇠고기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이 제기됐다.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미국산 쇠고기도 상당량이 매년 수출된다. 2024년 기준으로 미국 전체 쇠고기 생산량의 약 11%가 수출됐으며, 미국 쇠고기 주요 수출국 상위 5개국은 일본, 멕시코, 한국, 중국, 캐나다였다.
미국 농업 시장, 특히 쇠고기 산업은 현재 무역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2025년 2월 초 이후, 미국의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발표·시행됐고 일부는 연기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세 조치의 대상에는 미국 쇠고기 수출 상위 5개국 중 캐나다, 중국, 멕시코가 포함됐다. 상황은 계속 유동적이며, 해당 국가들의 추가 보복 조치가 뒤따를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가 미국산 쇠고기 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024년 캐나다, 중국, 멕시코는 미국 전체 쇠고기 수출 물량의 40%를 구매했으며(그림 1 참조), 이는 2009년 이후 이 세 나라로 향한 미국산 쇠고기 수출 비중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수출 시장은 미국 쇠고기 생산자의 수익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출을 통해 미국산 쇠고기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4년 미국산 쇠고기의 캐나다, 중국, 멕시코 수출액은 총 30억 달러를 넘어섰다.
그림 1. 미국산 소고기 총 수출량, 2010-2024년
미국 쇠고기 수출에서 부산물의 역할
돼지와 마찬가지로 소 도축 시에도 버려지는 부분은 거의 없다. 미국 내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수요가 낮지만, 쇠고기 부산물(오프알로도 불림)은 해외 소비자들의 식탁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쇠고기 부산물에는 양(tripe, 위 점막)과 스위트브레드(sweetbreads, 흉선 또는 췌장)와 같은 제품이 포함된다. 2024년 기준, 쇠고기 부산물은 미국 전체 쇠고기 수출 물량의 22%를 차지했으며, 미국 쇠고기 산업에 약 11억 달러의 수익을 안겨줬다.
캐나다, 중국, 멕시코는 미국산 쇠고기 부산물의 주요 수출 시장으로, 이는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이 세 국가는 2024년 가장 많이 수출된 쇠고기 부산물 품목인 간(beef liver)의 수출량 중 15.4%만을 차지했으며, 이 품목의 약 60%는 이집트로 수출됐다. 그러나 캐나다, 중국, 멕시코는 냉동 쇠고기 부산물 수출량의 41.4%, 양(tripe) 수출량의 거의 90%를 차지했다. 미국산 쇠고기 입술(beef lip)의 경우, 무려 99.9%가 멕시코로 수출됐으며, 현지에서는 일부 타코 요리에 인기 있는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멕시코와 중국은 쇠고기 심장(hearts)과 장(intestines) 수출의 주요 시장으로, 각각 해당 품목 전체 수출의 81.5%와 59.8%를 차지했다.
그림 2. 2024년 미국 쇠고기 부산물 수출량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요는 국내 소매 시장, 국내 외식업, 수출 시장이라는 세 축으로 지탱되는 3발 의자로 비유할 수 있다. 특히, 해외로 수출되는 많은 쇠고기 제품들은 미국 내 소매점이나 외식업에서는 소비되지 않는 부위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 수출은 폐기물을 줄이고, 미국 생산자들이 출하하는 가축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전 세계 무역 정책이 계속 변화하는 상황에서 국제 시장이 미국 쇠고기 산업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결국, 만약 미국의 쇠고기 무역 파트너십이 약화된다면, 우리는 미국산 쇠고기 입술(beef lips)을 모두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Variety meat exports provide value to the U.S. beef industry - Beef
Variety meat exports provide value to the U.S. beef industry
The imposition of tariffs could affect international demand for beef variety meat products.
www.canr.msu.edu
'해외 축산 식육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양돈 연구 10년 : 경영·유통·소비 (0) | 2025.05.17 |
---|---|
축산업 현장에서 바라본 일본 축산의 과거와 미래 (0) | 2025.05.17 |
미국산 돼지고기와 쇠고기의 중국 시장 접근 회복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인가? (0) | 2025.05.15 |
벨기에 최고의 수출 품목: 돼지고기와 소고기 (0) | 2025.05.11 |
벨기에 VANDERPOORTEN (0) | 2025.05.11 |